-
-
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차별을 당하는 사람은 있는데 차별을 한다는 사람은 잘 보이지 않는다. (…) 차별은 분명 양쪽의 불균형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모두에게 부정의함에도, 희한하게 차별을 당하는 사람들만의 일처럼 이야기된다. 이게 어떻게 된 걸까? 산술적으로 생각해도 내가 차별을 당할 때가 있다면, 할 때도 있는 게 아닐까?”
책의 초반, 프롤로그에 적힌 저자의 글을 읽고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느낌이었다. 차별을 하고 싶어서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인데, 왜 세상엔 차별적인 발언들과 그것을 당한 사람들의 에피소드가 넘쳐날까?
차별에 대해 연구를 하는 저자는 어떤 강연 장소의 많은 장애인들 앞에서 ‘결정 장애’라는 말을 써서 지적을 받은 일을 이야기한다. 아주 사소하고, 흘러가는 이런 말들 속에도 누군가를 비하하고 열등한 존재로 취급하는 ‘차별’이 존재한다. 차별을 당하는 사람과 차별을 하는 사람의 경계는 항상 뚜렷하게 나누어져 있지는 않다.
세상에는 다양한 차별이 있다. 인종, 성별, 학벌, 직업,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난민)……. 시대가 변하고, 평등을 외치는 목소리는 커졌다 하더라도 어디선가 차별은 목격된다. 저자는 이에 관한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흔히 우리가 하는 착각과도 같은 생각들을 지적한다. 이를테면 비장애인은 교통수단을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다는 사실을 ‘특권’이라 생각지 못한다. 그러나 이것은 누군가에게는 ‘장벽’이다. 사회적으로 약한 집단을 이용한 농담들을 듣고 때로 우리는 ‘웃겨서’ 웃고 ‘혼자 웃지 않는 게 이상해서’ 웃는다. 성소수자들이 거리에 나와 축제를 벌이는 것을 보고 눈살을 찌푸린다. 거리는 모두의 것이다. 그들은 이용할 자격이 없는가? 남들이 불쾌하다는 이유로 늘 숨어 있어야 하는가?
“정의는 누구를 비난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누가, 혹은 무엇이 변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저자는 비난의 대상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과 변화의 시작은 생각의 전환부터 시작된다는 믿음을 토대로 약간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러나 ‘모두’를 위한 이러한 해법들도 개인들의 생각이 바뀜으로써 온전히 실현될 수 있다.
이 책의 시작이 되었던 자기반성과 검열은 내게도 필요하다. 일상이 된 나의 언어는 누군가를 깎아내리고 있지는 않은가, 자기 비하의 농담을 핑계로 어떤 집단을 나보다 열등한 존재로 취급하지는 않은가. 혹시나 이 글에도 차별이 들어 있진 않은가. 내 언어를 점검하는 것은 분명 피곤한 일이지만, 가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
삶은 어떤 모습으로든 우리를 힘들게 한다. 게다가 기회가 주어지는 만큼 과업이 따르고, 높은 자리에 오를수록 책임이 무거워지는 법이다. 그러니 누구의 삶이 더 힘드냐 하는 논쟁은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모두가 똑같이 힘들다”는 말도 맞지 않다. 그보다는 서로 다르게 힘들다고 봐야 한다. 불평등한 구조에서는 기회와 권리가 다르게 분배되고, 그래서 다르게 힘들다. 여기서 초점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삶을 만드는 이 구조적 불평등이다. 그렇기에 불평등에 관한 대화가 “나는 힘들고 너는 편하다”는 싸움이 되어서는 해결점을 찾기 어렵다. “너와 나를 다르게 힘들게 만드는 이 불평등에 대해 이야기하자”는 공통의 주제로 이어져야 한다.
●
“당신들은 안 그럴 거라고 장담하지 마”
“서는 데가 바뀌면 풍경도 달라지는 거야.”
나는 어디에 서서 어떤 풍경을 보고 있는가. 내가 서 있는 땅은 기울어져 있는가 아니면 평평한가. 기울어져 있다면 나의 위치는 어디쯤인가. 이 풍경 전체를 보려면 세상에서 한발짝 밖으로 나와야 한다. 그럴 수 없다면 이 세계가 어떻게 기울어져 있는지 알기 위해 나와 다른 자리에 서 있는 사람과 대화해보아야 한다. 한국 사회는 정말 평등한가? 나는 아직까지 한국사회가 그 이상향에 도달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아직 차별을 부정할 때가 아니라 더 발견해야 할 때다.
●
한가지 분명한 사실이 있다. 유머의 중요한 속성 중 하나는 청중의 반응에 의해 성패가 좌우된다는 점이다. 그러니 “누가 웃는가?”라는 질문만큼 “누가 웃지 않는가?”라는 질문도 중요하다. ‘웃찾사’의 흑인 분장 사건처럼 웃지 않는 사람들이 나타났을 때 그 유머는 도태된다. 누군가를 비하하고 조롱하는 농담에 웃지 않는 것만으로도 “그런 행동이 괜찮지 않다”는 메세지를 준다. 웃자고 하는 얘기에 죽자고 달려들어 분위기를 싸늘하게 만들어야 할 때가, 최소한 무표정으로 소심한 반대를 해야 할 때가 있다.
●
그러니 내가 모르고 한 차별에 대해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 “몰랐다” “네가 예민하다”는 방어보다는, 더 잘 알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는데 미처 생각지 못했다는 성찰의 계기로 삼자고 제안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우리들은 서로에게 차별의 경험을 이야기해주고 경청함으로써 은폐되거나 익숙해져서 보이지 않는 불평등을 감지하고 싸울 수 있다. 우리가 생애에 걸쳐 애쓰고 연마해야 할 내용을 ‘차별받지 않기 위한 노력’에서 ‘차별하지 않기 위한 노력’으로 옮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