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꼬마요정 > [동화] 백만번 산 고양이

[동화] 백만번 산 고양이
 
내 친구가 근래에 읽은 동화책 중 가장 마음에 남는 이야기라고 한다.
 
** 100만번 산 고양이 / 사노 요코 글ㆍ그림 **



100만년 동안이나 죽지 않은 고양이가 있었습니다.
100만번이나 죽고서도 100만번이나 다시 살아났던 것입니다.
멋진 호랑이 같은 얼룩고양이였습니다.
10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그 고양이를 사랑하고,
10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그 고양이가 죽었을 때 울었습니다.
고양이는 한 번도 울지 않았습니다.




한때, 그 고양이는 임금님의 고양이였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임금님이 싫었습니다.
임금님은 그 고양이를 멋진 상자에 넣어
전쟁에 데리고 다니기도 했습니다.
어느날, 고양이는 날아온 화살에 맞아 죽어 버렸습니다.
임금님은 한창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동안에 고양이를 안고 울었습니다.
그리고 왕궁의 뜰에 고양이를 묻었습니다.




어떤때는 뱃사람의 고양이가 된 때도 있었습니다.
고양이는 바다가 싫었습니다.
뱃사람은 세계 곳곳의 바다나 항구에 고양이를 데리고 다녔습니다.
어느날, 고양이는 배에서 떨어져 버렸습니다.
뱃사람은 물에 젖은 걸레처럼 축 늘어져 버린
고양이를 안고 큰 소리로 울었습니다.
그리고, 먼 항구 마을의 공원 나무 밑에 고양이를 묻었습니다.




어떤때는 서커스의 요술쟁이의 고양이가 된 때도 있었습니다.
고양이는 서커스 따위는 싫었습니다.
요술쟁이는 매일 고양이를 상자 안에 넣고서는 톱으로 두동강을 내었습니다.
그리고는 살아남은 고양이를 상자에서 꺼내 보여 주면서
사람들의 박수갈채를 받았습니다.
어느 날 요술쟁이가 실수로 고양이를 진짜로 두동강이를 내버렸습니다.
요술쟁이는 두동강이가 되어 버린 고양이를
두 손으로 쳐들고는 큰소리로 울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죽는것 따위는 아무렇지도 않았습니다.




어떤때 그 고양이는 도둑의 고양이가 된 때도 있었습니다.
고양이는 도둑이 몹시 싫었습니다.
도둑은 개가 있는 집만 찾아서 도둑질을 하러 들어갔습니다.
어느날, 개가 고양이를 물어 뜯어 죽여 버렸습니다.
도둑은 훔친 다이아몬드와 함께 고양이를 안고서
큰소리로 울면서 어둠 속의 마을을 걸어다녔습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작은 뜰에 고양이를 묻었습니다.




어떤때 고양이는 혼자 사는 할머니의 고양이가 되기도 했습니다.
고양이는 할머니가 몹시 싫었습니다.
할머니는 매일 고양이를 안고 작은 창문 너머 밖을 내다보았습니다.
시간이 지나자 고양이는 나이가 들어 죽어버렸습니다.
늙어서 몸을 잘 가누지 못하는 할머니는
늙어서 죽은 고양이를 안고 하루 종일 울었습니다.
할머니는 뜰의 나무 밑에 고양이를 묻었습니다.




어떤때 고양이는 어린 여자 아이의 고양이가 되기도 했습니다.
고양이는 여자 아이가 매우 싫었습니다.
여자 아이는 고양이를 업어 주기도 하고, 꼭 껴안고 자기도 했습니다.
어느날, 고양이는 여자 아이의 등에 업혀 묶은 띠가 목에 감겨 죽었습니다.
머리가 흔들거리는 고양이를 안고서, 여자 아이는 하루 종일 울었습니다.
고양이는 죽는 것 따위는 아무렇지도 않게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어떤때, 그 고양이는 어느 누구의 고양이도 아닌 것이 되었습니다.
도둑 고양이였던 것입니다.
고양이는 자신이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비로소 자기 자신의 고양이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어떤 암고양이이건 그 고양이의 짝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커다란 물고기를 선물로 바치는 고양이도 있었습니다.
살이 통통하게 찐 쥐를 갖다 바치는 고양이도 있었습니다.
멋진 호랑이 무늬의 털을 핥아 주는 고양이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그런것에는 아무 관심도 없었습니다.
"난, 100만 번이나 죽었었다구. 이제 와서 뭐 새삼스럽게 그래.나 원 참!"
고양이는,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이 좋았던 것입니다.




하지만 딱 한 마리, 그 고양이를 거들떠 보지도 않는
눈부시게 희고도 아름다운 털을 가진 고양이가 있었습니다.
고양이는 흰 털을 가지 고양이 옆으로 가서,
"난, 100만 번이나 죽었었단 말이야!" 라고 말했습니다.
흰털 고양이는, "그럴 수도 있지." 하며 시큰둥하게 말했습니다.
"넌 아직 한 번도 죽어본 적이 없지?" 라고 물었습니다.
흰털 고양이는 그저 "그렇단다." 라고만 말할 뿐이었습니다.
고양이는 좀 화가 났습니다.
고양이는 자기 자신이 무척 좋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느 날, 고양이는 흰 털을 가진 고양이 앞에서
빙그르르 세 번이나 돌면서 말했습니다.
"난, 서커스의 요술쟁이의 고양이일 때도 있었어."
흰 털을 가진 고양이는 "그래" 라고 말할 뿐이었습니다.
"나는, 100만 번이나...." 하고 말을 잇다가
"네 옆에 있어도 돼?" 라고 흰털 고양이에게 물었습니다.
흰털 고양이는 "그렇게 하렴." 하고 가볍게 대답했습니다.




흰털 고양이는 귀여운 아기 고양이를 많이 낳았습니다.
고양이는 흰 털 고양이 옆에서만 지냈습니다.
고양이는 더 이상 "난, 100만 번이나...." 라는 말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고양이는 흰 털 고양이와 많은 아기 고양이를
자기 자신보다 더 사랑했습니다.




이윽고 아기 고양이는 점점 자라나 뿔뿔이 어딘가로 가 버렸습니다.
"저 놈들도 멋진 도둑 고양이가 되었구먼."
"정말 그렇군요."
흰털 고양이가 그렁그렁 부드럽게 목소리를 내며 대답했습니다.
흰털 고양이는 차츰 늙어가기 시작했습니다.
한층 더 부드럽게 "그렁그렁" 목을 울리곤 했습니다.
고양이는 흰털 고양이와 함께 언제까지나 살아있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느날, 흰 털 고양이는 그 고양이의 옆에서
조용히 움직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고양이는 처음으로 울었습니다.
밤이 지나고, 아침이 지나고, 또 밤이 오고, 아침이 오고..
고양이는 100만번이나 울었습니다.
그리고 밤이 지나고 아침이 지난 어느 날 한낮에,
고양이는 울음을 그쳤습니다.
고양이는 흰 털 고양이 옆에서 조용히 움직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는 다시는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stella.K > 2004 동인문학상 제7차 심사독회

“가장 앞서간 소설… 나도 이런걸 쓰고싶다”

김광일기자 kikim@chosun.com

 


▲ 서하진
2004 동인문학상 제7차 심사독회가 지난 2일 열렸는데, 시작부터 7인 심사위원들은 심윤경 장편 ‘달의 제단’(문이당)으로 뜨거운 논쟁이 붙었다. 근년 들어 처음 보는 광경이었다.

“저는 ‘달의 제단’을 흥미있게 봤습니다.”(이문열) “작가가 몇 살입니까?”(김주영) “등단한 지 삼사 년 됐지요, 아마….”(김화영) “서울 출신이라고 돼 있던데, 혹시 안동 출신 아녜요?”(이문열) “서울 출신 맞아요. 순전히 취재해서 쓴 게지요.”(김주영 김화영)

이문열 위원은 이 작품이 안동 지역의 종가에 대한 묘사가 너무도 걸출해서 작가를 서울 출신이라고 써놓은 것이 안 믿어질 정도라는 뜻이었고, 김주영 김화영 두 위원이 즉각 답변을 한 셈이다.

“작품 속의 서간문들은 작가가 지은 것 맞지요?”(박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안동 김씨에 대한 작가의 태도가 특히 눈에 띄었습니다.”(이문열) “큰일 낼 사람입니다.”(김주영) “그렇게 생각해요. 한문 답신 너무 좋잖아요. 절묘했어요.”(박완서) “작가의 태도가 이래야 합니다. 추억을 갖고 쓰지 말고 취재를 해서 써야지요.”(김주영)

“소설의 결말을 읽을 때는 소름이 쫙 끼칠 정도였어요.”(박완서) “옛날 문자를 아는 힘이 굉장했죠?”(유종호)

“서사 구조가 약간 무리더군요. 끝에서 불이 나는 장면 같은 경우죠.”(이문열) “나는 그 부분이 시원하던데….”(박완서) “그로테스크하고 읽기에는 재미 있지요.”(유종호) “소설을 이렇게 쓰기가 참 어렵습니다.”(김화영) “베낀 게 아니고 만든 문장들이 보물급이에요. 그러나 따져보면 소설 구조로는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도 느껴지고, 끝장면 방화는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를 떠올리게 하지요.”(이청준)


▲ 심윤경
심사위원들은 심윤경 때문에 약간 흥분하고 있었다. 한동안 말들이 진중하게 이어지지 않고 단편적으로 부딪쳤다. 극찬으로 치닫다 냉정으로 되돌아오는 사이클이 반복됐다.

“저는 참 앞서 가는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부장적 문화가 얼마나 허구 덩어리인가를 파헤친 작품인데, 페미니즘 티를 하나도 내지 않은 상태에서 페미니즘을 구현하고 있거든요. 가히 획기적인 발굴이라는 생각마저 듭니다. 가장 진부한 방법으로 가장 앞서 가는 소설을 쓴 것이지요. 나도 언젠가는 이런 식의 소설을 쓰고 싶었는데요.”(박완서) “남자 주인공이 충분히 형상화되지 못한 점이 있습니다. 사람이란 경험의 총화인데, 작가가 하고 싶은 얘기가 너무 많았던 탓인가 합니다.”(유종호)

“이 소설에서 제일 중요한 두 인물이 할아버지와 뚱뚱한 여자입니다. 그 중간에 끼어든 게 주인공 남자인 ‘나’이지요. 충분한 형상화를 기대하지 않아도 좋은 인물이었다는 겁니다. 이 소설은 단일민족 이데올로기가 허구일 수 있다는 것과, 스스로를 바라보는 자기객관화의 능력을 상실케 하는 허구성을 실감나는 종가 족보와 관련시켜 그로테스크하게 파헤친 것이지요.”(김화영)

“그러나 종가에 대한 파악도 과장된 측면이 있고 소재주의적 경향도 있습니다.”(이문열) “구성적으로 조금 미숙하지요?”(정과리) “더구나 30세 여성작가라는데…. 막 낳은 딸을 밟았다는 것은 또 뭡니까?”(이문열) “아, 할아버지가 밟았지요. 엎어 놓는 경우도 많았잖아요. 외아들이기 때문에 어디서 수양아들도 데려올 데가 없으니까 어떻게든 자기 집에서 낳은 것처럼 하려고 했던 것이지요.”(박완서) “10촌 너머까지도 양자를 할 수 있으니 할아버지가 굳이 손녀를 밟아 죽일 필요는 없었다는 것이죠.”(이문열) “남자가 모르는 여성 잔혹사가 많아요. 남자들은 그걸 인정해야 해요.”(박완서)

결국 심사위원들은 ‘달의 제단’, 그리고 서하진의 창작집 ‘비밀’(문학과지성사)을 새 후보로 올렸다. ‘비밀’은 “안정감과 현실감을 함께 갖췄다”(유종호), “서술·구성·문장 세 가지가 일치돼 있고 대상을 보는 시야가 넓다”(김화영)는 평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들은 때로 다른 이의 삶을 예단(豫斷)하고 그럴 거라고 믿어버린다.

아무것에도 얽매이지 않으려는 그 담담한 듯한 눈빛 속에,

그 가슴 깊은 곳에 잠겨 있는 선혈 같은 욕망에는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서하진, 그 겨울의 포장마차 90쪽>

 

그러므로 남인 것이다, 그들은.

그들은 결코 내가 될 수 없다.

<나의 생각>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icare 2004-07-07 1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또한 그들의 남인 것이다...나는 결코 그들이 될 수 없다
<한익해 생각>

플레져 2004-07-07 14: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습니다....................
 

어디까지가 습작화이고 어디부터가 본격적인 회화인지 잘라말하긴 어려워.

그저 할 수 있는 대로 많이 그리고,

결점도 갖고 우수함도 가진,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 되기로 하자.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