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요한 숲에서 우리 다시 만나! ㅣ 미래 환경 그림책 16
유다정 지음, 서미경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25년 9월
평점 :
*미래i아이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예전에 뉴스에서 밤을 밝히는 가로등이 곤충의 성장과 번식에 방해가 된다는 연구 결과를 본 적이 있다.
소음도 마찬가지다.
소음이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듯 동물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고요한 숲에서 우리 다시 만나!’는 소음공해가 동물(여우)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우의 입장에서 그려놓은 책이다.
도시와 가까운 산비탈에 여우 두 가족이 살고 있었다.
조용하고 깊은 산은 천적이 살아 살기 쉽지 않아 먹이를 구하기 쉬운 이곳을 선택했지만 여긴 소음이 문제다.
원래 여우는 새끼를 많이 낳지만 지속적인 소음은 번식에 방해가 된다.
두 가족도 각각 리아와 태산이 한마리씩 밖에 낳지 못한다.
두 어린 여우는 즐겁게 뛰어놀지만 도시 근처라 그런지 소음이 끊이지 않았다.
소음을 견디다 못한 두 가족은 다시 만나기로 약속하며 뿔뿔이 흩어진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삽화다.
여우는 색을 더해 실사에 가깝게 표현되어 있지만 무거운 분위기를 표현하듯 배경은 거의 흑백톤이다.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고 한편의 풍경화를 보듯 디테일하고 섬세하게 잘 표현해 놓았다.
그리고 열린 결말로 끝이 난다는 점도 장점 중 하나다.
뒷이야기를 상상하며 서로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또, 환경에 대해 생각할 거리도 잔뜩 안겨준다.
이 책은 최근에 읽었던 그림책 중 가장 진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웃음코드 1도 없는 잔잔하다 못해 슬픈 내용을 담고 있어 마음이 먹먹해진다.
소음에 시달려 몸이 아팠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여우들의 고통이 마음에 와 닿았다.
그때의 고통으로 인해 집에선 TV도 잘 켜지 않는다.
그래도 인간에겐 안전하게 머물 곳이 있지만 여우는 소음과 천적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한다.
인간의 삶이 편리하면 할수록 동물들의 삶도 불행하게 만들고 삶의 터전도 잃게 만드는 것 같다.
결국 부메랑이 되어 인간에게 돌아오지 않을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이 너무 무거워진다.
소음공해의 심각성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책 ‘고요한 숲에서 우리 다시 만나’
를 강추한다. 인간과 동물의 관계, 환경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