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전역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됐다.

세상은 어쨌든 변한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 우리의 후손은 전혀 새로운

결혼제도(혹은 결혼이 아닌 그 무엇들)로 사회를

꾸려나갈 것이다.

나는 이성애자이지만 동성애자들이 하는 사랑과

이성애자들이 하는 사랑이 뭐가 다른지 알 수 없다.

어떤 사랑이든 사랑은 그 자체로 숭고하다.

 

오바마 대통령의 목소리와 연설은 언제들어도 멋지다.

 

"This ruling is a Victory for America"


"This decision affirms what millions of Americans already believe in their hearts. 

When all Americans are treated as equal, we are all more fre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밤 미시령 창비시선 260
고형렬 지음 / 창비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형렬의 산문집<은빛 물고기>를 매우 감명 깊게 읽었다. 강원도 양양 남대천에 소상하는 연어를 소재로 한 서사 산문이었는데 하나의 소재로 그렇게 아름다운 산문을 써내는 작가가 또 누가 있을까? 삶과 생명에 대한 깊은 성찰과 사색의 결정이 응집된 고형렬의 산문 문장들은 글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얻기 어려운 문학적 희열을 제공한다.

 

 이번엔 고형렬의 시집 <밤 미시령>.

고형렬은 1979년 현대문학에 <장자>등이 추천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다.

이 시집<밤 미시령>에 수록된 시의 소재들은 평범하다.

그러나 시인이 형상화해낸 뒤의 그 평범한 소재들의 이미지는 독자들에게 전혀 새로운 차원의 이미지를 선사한다. <동물원 플라타너스>라는 시는 동물원에서 본 기린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사다리 같은 긴 목을 펼쳤다.

사과모양 입이 항문처럼 오물거린다.

그 주먹 안에 혀가 있어 잎사귀를 부드럽게 말아넣는다.

내 손바닥을 덥석 따 먹을 것처럼 친구 입은 벌레와 풀을 밟지 않는

발처럼 부드럽고, 고기를 모르기에 잎사귀들 네 몸에 얼룩얼룩 나타난다.

 

                                                                           -동물원 플라타너스-

 

 위의 시에서 시인은 기린의 작은 머리와 잎사귀를 따 먹는 기린의 입을 주먹과 사과, 항문에 비유해서 묘사하고 있는데, 사과모양 입이라는 형상과 항문처럼 오물거리는 근육의 물리적 운동이 기발하게 융합되어 나뭇잎을 먹고 있는 기린의 입을 재미있는 시각적 형상으로 이미지화하고 있다.

 

 덕분에 독자들은 시인의 독특한 사물 해석과 이미지화 덕분에 새로울 것 없는 기린에게서 전혀 다른 생명을 얻는데, 이것은 시를 읽는 독자들의 적지 않은 즐거움이다.

 

 또 마지막 행 “고기를 모르기에 잎사귀들 네 몸에 얼룩얼룩 나타난다” 라는 구절에 이르면 이 시인이 바라보는 평범한 한 마리 기린은 기린만의 개성을 초월하여 자신이 먹었던 잎사귀들이 몸에 얼룩얼룩 나타나게 되는 주와 객의 구분이 사라지고 윤회의 굴레를 벗어난 불교적 해탈자의 모습까지 보여주게 된다. 고형렬의 산문과 시 곳곳에서는 불교적 색채가 짙은 세계관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시인의 詩心에 걸리는 것들은 다양하다. <메뚜기들 죽은 곳>의 가을 메뚜기 떼, <젖, 차양을 쳐주어라>의 어미 진돗개, <폐차 통지서를 받고, 서울 45라 4706>의 9년 된 프라이드 승용차 등..

 

 이 흔해빠진 사물들도 인드라망처럼 질기게 연결된 인과의 그물에서 시적운율에 맟추어 고형렬의 시세계에 등장한다. <메뚜기들 죽은 곳>이라는 시에서 시인은 시적 기본기를 여실히 보여준다. 메뚜기의 얇디얇은 겉날개와 속 날개를 “풀잎 누런 겉날개 한 벌, 연노랑 속치마”로 이미지화하고 있는데 이런 시적 이미지는 뇌리에 깊게 각인된다. 평범한 메뚜기 날개하나로 인해 정신이 풍부해지고 윤택해지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또, <젖, 차양을 쳐주어라>에서 시인은 유기견인 진돗개의 출산과 새끼를 향한 본능을 무심한 듯이 바라보고 있는데 유기견 어미견을 보살로 인식하는 시인의 시선은 무척 따뜻하다.

 

 그의 산문 속에 등장하는 영북지방(강원도 속초,양양 등지를 말함)의 풍경은 비록 한번도 가보지 못한 곳이지만, 작가의 문학적 역량으로 인해 매우 친숙한 또 다른 고향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누구라도 그의 산문과 시를 읽는 사람이라면 영북지방으로의 여행을 꿈꾸게 한다.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고향을 꿈꾸게 만드는 능력을 가진 작가가 바로 고형렬이다.

 

 그만큼 그의 시들이 자아내는 영북의 이미지는 사람들이 가진 보편적 감수성을 자극한다. 그의 시들이 부추기는 이 여행은 실현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 아직은 계획에 불과하지만 그 여행이 성사되기까지 나는 영북지방의 아름다움과 유년의 눈부신 추억을 노래하는 고형렬의 글과 시들을 자양분처럼 의식에 간직하고 쌓아둘 것이다. 마침내 내가 언젠가 작가의 고향에 이른다면, 그동안 내가 쌓아왔던 자양분들은 비로소 그곳의 자연풍경과 온갖 사물에 녹아들어 그때 내가 바라보고 느끼는 모든 것들을 더욱 풍족하게 해주기를 기대한다.

 

ps: 이 글을 작성하고 2013년도 봄에 강원도 속초와 설악산 여행을 다녀왔다.

강원도 인제쪽에서 속초쪽으로 가려면 미시령을 넘어야 하는데 당시에도 미시령 터널공사가 완료되어 있었지만 고형렬의 시집<밤 미시령>을 접한 뒤라 터널이 아닌 미시령 옛길을 넘었다. 어차피 두 번 오기 힘들 곳이라는 생각에 미시령을 넘는 길을 택했는데 길은 험해 멀미가 나고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타는 냄새가 진동했지만 미시령 정상(아마 황철봉 주변일 것이다)에서 바라보는 동해와 속초 전경은 환상 그 자체였다.

 

 동해쪽에서 외설악을 타고 올라오는 시린 안개를 온 몸으로 받으면서 동해를 바라본 느낌도 잊을 수 없다. 설악 소공원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권금성에 올라 바라본 외설악의 장엄한 능선들도 감동이다. 그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토왕성폭포를 보고 있으면 세상에 이런 곳이 다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 설악산과 금강산 곳곳에 숱하게 전해내려오는 신선, 선녀 이야기들이 왜 생겼는지 짐작이 간다. 서북능선과 대청봉쪽으로 올라 공룡능선과 광대한 동해를 조망하면 조개껍질같은 도시에서 아웅다웅하며 사는 인간의 삶이란 얼마나 하찮은 것인가..

 

나는 이쪽 설악, 속초쪽 동네가 너무 마음에 들어 나중에 돈이 많이 생긴다면 이곳에 정착하면 어떨까하는 짧은 생각도 해봤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6-19 17: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파트라슈 2016-06-24 15:45   좋아요 0 | URL
나타샤 님 사연을 보니 파스칼 메르시어 소설<리스본행 야간열차>가 생각납니다.
한 권의 책이 인연이 되어 불같은 사랑을 찾아가는 아름다운 이야기..

저도 그 낙서의 뒷 이야기가 참 궁금하네요. 그런데 그렇게 갑자기 계정이 사라진 건 정말 무슨 사연이 있긴 있는 모양입니다. 아마도 미시령에 얽힌 사랑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그분과 계속 메일을 주고받았으면 <리스본행 야간열차>같은 또다른 아름다운 이야기가 탄생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사람의 삶이란 결국 무수한 사연과 이야기, 서사로 이루어지는것 같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비밀댓글인줄 모르고 공개댓글로 달았다가 수정했습니다.~~)
 

 

 

 

2003년 봄, 대학을 졸업하고 직업을 구하기 위해 그해  봄내내 서울과 경기도를 전전했다.

3월초인가.. 아침햇살이 좋은 어느날 면접보러 가다 면접펑크내고 무작정 들어간 종로의 한 극장(현재의 서울극장 인듯)에서 조조로 본 영화  클래식

미래에 대한 불안에 떨며 심신이 지쳐있을 때였는데 영화도 좋았고 사운드 트랙도 너무 좋았다.  

영화 ost중에서 한성민의 <사랑하면 할수록>이 흘러나오는 장면에서 그만 눈물을 찔끔..

<사랑하면 할수록>외에도 자탄풍의 <너에게 난, 나에게 넌>, 김광석의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도 눈물샘 자극하는 명곡들.. 

 

<사랑하면 할수록>,한성민

감상은 요기로..

https://www.youtube.com/watch?v=9iMU4cqrl5E

 

노을 지는 언덕너머 그대 날 바라보고 있죠 차마 말하지 못한 내 마음을 이미 알고 있었나요 왠지 모르게 우리는 우연처럼 지내왔지만 무지개 문 지나 천국에 가도 나의 마음 변함없죠 사랑하면 할수록 그대그리워 가슴아파도 이것만을 믿어요 끝이 아니란걸

 

<너에게 난, 나에게 넌>,자전거 탄 풍경

https://www.youtube.com/watch?v=5ysdHjaeGGU

 

너에게 해질녘 노을처럼
한편의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소중했던 우리 푸르던 날을 기억하며
음-후회없이 그림처럼 남아주기를
나에게 넌 내 외롭던 지 시간을
환하게 비춰 주던 햇살이 되고
조그맣던 너의 하얀 손위에
빛나는 보석처럼 영원의 약속이 되어
너에게 해질녘 노을처럼
한편의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소중했던 우리 푸르던 날을 기억하며
음-후회없이 그림처럼 남아주기를

나에게 넌 초록의 슬픈 노래로
내 작은 가슴속에 이렇게 남아
반짝이던 너의 예쁜 눈망울에
수많은 별이 되어 영원토록 빛나고 싶어
너에게 해질녘 노을처럼
한편의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소중했던 우리 푸르던 날을 기억하며
음-후회없이 그림처럼 남아주기를
너에게 해질녘 노을처럼
한편의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소중했던 우리 푸르던 날을 기억하며
음-후회없이 그림처럼 남아주기를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해봤을 풋풋한 사랑의 추억들로

가득찬 너무나 아름다운 명작영화-클래식

 

<영화 클래식 명대사>

 준하가 주희에게

 

 창밖을 봐, 나뭇가지가 살며시 흔들리면

니가 사랑하는  그 사람이 널 사랑하고 있는 거야.

 

귀를 기울여봐, 가슴이 뛰는 소리가 들리면

니가 사랑하는 그 사람이 널 사랑하고 있는 거야.

 


눈을 감아 봐, 입가에 미소가 떠오르면

니가 사랑하는  그 사람이 널 사랑하고 있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학 신입생 때 늘상 귀에 이어폰을 꽂고 다니는 동기가

있었다. 무슨 노래를 듣는지 궁금해서 물어보니 내 귀에

다가 이어폰 한쪽을 넘겨받고 들은 노래가 바로

 

메탈리카the unforgiven

 

이날 우리는 수업을 째고 508번을 타고 동부정류장으로

가서 포항행 버스에 올랐고 칠포해수욕장으로 가는 내내

이 노래를 들었다. 바닷가에서 둘은 대화도 없이

소주를 나눠 마셨다. 바람이 미친듯이 부는 5월말이었다.

 

노래 초반에 기타사운드 리듬과 드럼연주는 환상적이다.

메탈리카 노래중에 그나마 듣기가 수월한 곡.

 

감상은 요기로..

https://www.youtube.com/watch?v=Ckom3gf57Yw

 

The Unforgiven

New blood joins this earth
And quikly he's subdued
Through constant pain disgrace
The young boy learns their rules

With time the child draws in
This whipping boy done wrong
Deprived of all his thoughts
The young man struggles on and on he's known
a vow unto his own
That never from this day
His will they'll take away

What I've felt
What I've known
Never shined through in what I've shown
Never be
Never see
Won't see what might have been

What I've felt
What I've known
Never shined through in what I've shown
Never free
Never me
So I dub thee unforgiven

They dedicate their lives
To running all of his
He tries to please them all
This bitter man he is
Throughout his life the same
He's battled constantly
This fight he cannot win
a tired man they see no longer cares
The old man then prepares
To die regretfully
That old man here is me

What I've felt
What I've known
Never shined through in what I've shown
Never be
Never see
Won't see what might have been

What I've felt
What I've known
Never shined through in what I've shown
Never free
Never me
So I dub the unforgiven

You labeled me
I'll label you
So I dub the unforgive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5-06-18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08번은 제가 졸업한 대학교로 가는 버스였어요. 학교 수업 일찍 마치면 저는 508번 버스를 타고 동성로나 광장코아에 내려서 친구들과 술 마시고 놀았습니다. ㅎㅎㅎ

파트라슈 2015-06-18 11:08   좋아요 0 | URL
요즘도 508번은 여전히 그 노선으로 다니고 있던데요. 가끔 지나가는 버스보면 옛날 생각 나죠. 508번 노선 종점이 성서계대하고 대구대.. 아무튼 같은 버스 타고 다니신 분 보니 반갑습니다. 아마 과거 어느날 cyrus님하고 저하고 같은 버스 안에 앉아 있었던 적도 있을 겁니다ㅎㅎ
 
탐독 - 유목적 사유의 탄생
이정우 지음 / 아고라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자 이정우가 쓴 자신의 지적 순례와 독서인생 에세이.


 철학자 이정우 이력은 좀 특이하다. 대학 학부에서는 공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철학으로 전공을 바꾼 것이다. 이런 대담한 선택은 그가 이 책에서 말하는 사유의 ‘가로지르기’ 혹은 ‘유목적 사유’ 라는 맥락에서만 이해 할 수 있을 듯 하다. 한 인간은 직업, 전공, 계층을 비롯해 자신이 속해 있는 장(場)의 영향을 결코 벗어날 수 없다. 그래서 場과 場 사이에는 거의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의 간극이 패여 있고, 한 인간의 삶도 옮겨 다니는 장들에 따라 뚝뚝 끊어지기도 한다. 이정우는 가로 지르기식 독서와 사유의 실천을 통해 이런 간극들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를 열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본격적인 유목적 사유는 문학을 시발점으로 하여 기하학, 물리학, 양자역학, 열역학, 생물학으로 확장된다. 그의 과학적 가로지르기는 흥미롭다. 특히 저자는 자연과학을 공부하면서 수학적 공식과 실재세계의 관계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과학은 세계를 수학적 공식으로 표현한다. 수학적 공식은 실재에 상응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실재들, 즉 미시세계의 현상들을 확인해서 그것들을 기호화한 것이 수학이 아니라 기호로 제시된 수학적 방정식과 공식들의 풀이 결과가 실재세계의 어떤 특정 측면들에 상응 한다”

 

 이정우가 말하는 수학적 공식과 실재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개념정리는 명확하다. 나는 평소에 천체물리, 양자역학에 관한 책을 자주 읽는 편인데 그런 책에서 언급되는 온갖 수학공식은 과연 실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갈피를 잡지 못해 힘든 독서를 이어가고 있는 터에 이정우가 말한 수학과 실재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사유를 엿보고 나니 과학의 언어인 수학의 의미를 알 수 있었다.

 

 저자는 물리학과 양자역학을 거쳐 열역학에 이르는 유목을 이어간다. 열역학에 잠시 안착한 그는 엔트로피 개념을 가지고 우주론적 고뇌에 빠진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를 읽고  이 세계의 에너지는 사용가능한 상태에서 사용 불가능한 상태로의 변화밖에 없으니 우리에게 남은 건 결국 완전히 망하는 것 밖에 없지 않느냐 하는 결론에 심한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이정우도 나와 같은 고민을 한 모양이다.

 

 그러나 내가 겪은 충격은 금세 잊혀졌지만 저자는 엔트로피 법칙이 일으키는 이러한 우주론적 고뇌를 ‘현실적 맥락에서 볼 때 눈앞의 문제들이 산적해 있고 삶의 문제들이 널려 있는데 그 먼 미래의 일 때문에 고민하면서 전전긍긍하는 것이 너무 어리석어 보였다’ 라고 하면서 엔트로피가 유발하는 기우를 손쉽게 떨쳐버리는 대목은 후련하고 통쾌하다. 이제 더 이상 엔트로피 법칙이 유발하는 이 세상의 끝에 대해 걱정하지 말고 편히 살면 된다. 

 
 열역학을 거쳐 생물학에 이른 저자는 생명현상을 ‘음의 엔트로피를 만들고 시간 속에서 차이들을 보듬어 나가며 그로써 더 복잡한 동일성을 만들어 나가는 화학적 회로를 가진 존재’ 로 인식한다. 생명현상에 대한 이정우의 인식은 독특하고 인상적이다. 그의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는 인문적이고 철학적이며 또 과학적이다. 그래서 생명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생물학을 떠난 저자의 유목은 경제학으로 이어진다. 저자는 막시즘 경제학을 소개하면서 주류경제학과 막시즘 경제학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는데,주류경제학이 ‘완전 경쟁 시장’ 이라는 모델을 전제로 하고 자연과학의 사고방식을 가지고서 경제현상을 수치화하고 함수화하는데 몰두하여 주류경제학이 경제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적지 않은 성과를 냈지만 결국 신자유주의적 경제관을 잉태하여 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음을 지적하는 부분은 정확하고 타당해 보인다.

 주류 경제학이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소흘하고 오로지 경제적 측면에만 고립적으로 주목하는데 반하여, 막시즘 경제학은 경제학 자체로서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역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과 결합해서 막시즘 철학이라는 거대한 사유체계의 한 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정우가 말하는 막시즘 경제학을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경제학’이란 어디까지나 자본주의 경제학으로 이해해야 하고 주류경제학은 자본가와 기업가의 관점에서 성립된 것이며 막시즘 경제학은 노동자들의 관점에서 성립된 경제학이라는 이정우의 주장에 나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정우는 주류 경제학과 막시즘 경제학의 차이를 명쾌하고 이해하기 쉽게 풀이해 준다.
 
 저자는 경제학을 거쳐 근대성과 포스트 모더니즘에 잠시 정차하여  사유를 진정시키는데 이 대목에서 조셉 니담의 <중국의 과학과 문명>이라는 책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왜 중국은 근대과학을 탄생시키지 못했는가에 대한 다음과 같은 혁명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그러나 서구에서 근대 과학이 탄생한 것에는 과학적 원인들은 있을지 몰라도 형이상학적인 이유는 없다. 즉 우발적인 것이다. 달리 말해 ‘중국에서 왜 근대과학이 탄생하지 않았는가?’라는 물음이 우문(愚問)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적 맥락에서 보면 도대체 ‘근대 과학이 꼭 탄생할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 문화에서 별 필요가 없었던 것을 두고서 ‘왜 탄생하지 않았을까?’라고 묻는 것은 우문일 것이다.”

 

  나는 평소에 중국과 동양에서 과학이 탄생하지 못한 이유의 탐구를 화두처럼 가지고 있었는데 이정우의 답변을 접하고 나서 그러한 의문자체가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지각하게 된 것은 큰 소득이었다. 중국, 아니 동양에서 근대과학을 찾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저자의 지적 유목은 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역사학을 거쳐 소은 박홍규 선생을 만나 철학에 정착하게 된다. 저자는 소은과의 만남을 통해서 본격적인 사유를 시작하게 되고 비로소 철학적 개안을 경험하게 됐다고 고백하는데 그가 소은에게서 배운 것은 철학이란 구체와 추상의 오르내림이라는 것이다. 저자의 유목적 사유의 고갱이는 서구 존재론사의 대가인 박홍규선생이 말하는 베르그송과 미셸 푸코인 셈이다.

 

 문학책들을 읽으면서 인간과 인생을 깊숙이 반추하고 과학책들을 읽으면서 물질, 생명, 문화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철학책들을 읽으면서 다양한 지식을 창조적으로 종합하는 사유능력을 배웠다는 이정우.

 

 그의 유목적 사유는 인간과 인생을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바라보려는 근원적인 욕망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이 비록 한 철학자의 공부와 독서에 대한 개인적 체험의 고백이라 해도 이 책이 던지는 영감과 메시지는 가볍지 않다. 바로 진정한 공부와 독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6-13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 사회에 남아있는 공산주의에 대한 반감이 너무 깊어서 그런지 주류 자유주의자들은 마르크스 경제학을 소개할 때 문제점만 보려고 합니다.

파트라슈 2015-06-14 00:37   좋아요 0 | URL
마르크시즘이 결국 몰락하였지만 노동의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마르크스경제학이고 인간의 노동없이 창출될 수 있는 가치가 어디 있겠습니까.. 매끈하고 화려한 자본가들의 경제학에서 노동은 보이지 않겠지만 언젠가는 노동의 경제학이 재조명을 받을 날이 오겠죠. 다만, 마르크스가 위대하긴 하지만 인간의 배고픔을 해결한 건 마르크시즘이 아니라 자본주의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