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ㅣ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복종이라는 무리의 본능
인간이 존재하는 한, 어느 시대든지 무리를 이룬 인간 집단 역시 존재했으며(씨족 연합, 공동체, 부족, 민족, 국가, 교회), 언제나 소수의 명령하는 자에 비해 복종하는 사람들이 대단히 많았다. ㅡ 즉 복종이란 지금까지 인간들 사이에서 가장 잘 그리고 오랫동안 훈련되고 훈육되어왔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제 당연히 각 개인은 평균적으로 일종의 형식적인 양심으로, "너는 어떤 것을 무조건 해야만 하고, 또 어떤 것을 무조건 해서는 안 된다"고 명령하는 것, 즉 간단히 말하자면 "너는 해야만 한다"고 명령하는 그러한 욕구를 타고 났다고 전제해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욕구는 만족하고자 하며 형식을 내용으로 채우고자 한다. 이때 그것은 자신의 강함, 성급함, 긴장에 따라 거친 식욕처럼 닥치는 대로 손을 뻗치며, 그 어떤 명령자 ㅡ 부모, 선생, 법률, 신분상의 편견, 여론 ㅡ 의 말이 그의 귀에 들려오면 이를 받아들인다. 인류의 발전이 기이하게도 제약되어 있고 지체하며 오래 끌고 힘들어하거나 종종 역행하고 발전 과정을 선회하는 것은 명령의 기술을 희생하는 대가를 치르면서 복종이라는 무리의 본능이 가장 잘 유전된 것에서 기인한다. 이 본능이 무절제의 극단까지 가는 경우를 한번 생각해보면, 마침내 바로 명령권자나 독립적인 인간은 없어지게 된다. 또는 그들은 내면적으로 양심의 가책에 괴로워하게 되며 명령하기 위해서는, 말하자면 그들 역시 마치 복종만 했던 것처럼, 우선 스스로를 기만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오늘날 유럽에서는 이러한 상태가 실제로 존재하고 있다 : 나는 이것을 명령하는 자들의 도덕적 위선이라고 부른다. 자신의 양심의 가책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은 좀더 오래되고 한층 더 높은 명령(선조나 헌법, 정의, 법률이나 신의 명령)을 실행하는 자로 꾸미거나 아니면 스스로 무리의 사고방식에서 무리의 원리를 빌려서, 예를 들면 '그 국민의 제일의 공복'이나 '공공복리의 도구'로 꾸며 행동하는 길만을 알 뿐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5장 도덕의 자연사>, 제199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