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리산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함양군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915m이다.

신라 5악의 남악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으로 달라진다’하여 지리산(智異山)이라 불렀고, 또 ‘멀리 백두대간이 흘러왔다’하여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며, 옛 삼신산의 하나인 방장산(方丈山)으로도 알려져 있다.

남한 내륙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하는 지리산은 서쪽 끝의 노고단(1507m), 서쪽 중앙의 반야봉(1751m) 등 3봉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로 100여 리의 거대한 산악군을 형성한다.

천왕봉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주능선을 중심으로 해서 각각 남북으로 큰 강이 흘러내리는데, 하나는 낙동강 지류인 남강의 상류로서 함양·산청을 거쳐 흐르고, 또 하나는 멀리 마이산과 봉황산에서 흘러온 섬진강이다.



<노고단 운해_성삼재에서 노고단으로 가는 길목에서, 구례 쪽으로 바라본 모습, 2006/09/23>


<삼도봉에서 화개재로 내려가는 길목에서, 피아골 쪽으로 바라본 모습, 2006/09/23>


<연하천에서 벽소령으로 가는 길목에서, 하동 쪽으로 바라본 모습, 2006/09/23>


<벽소령에서 세석으로 가는 길목에서, 함양 쪽으로 바라본 모습, 2006/09/24>


<구름에 걸린 천왕봉, 촛대봉에서 바라본 모습, 2006/09/24>


<예쁘게 물들기 시작한 단풍, 세석에서 장터목으로 가는 길목에서, 2006/09/24>


<천왕봉의 여명, 2006/09/25 새벽 6시 경>


<천왕봉의 일출_막 떠오르기 시작하는 모습, , 2006/09/25 새벽 6시 15분경>


<천왕봉의 일출_완전히 떠오른 모습, 2006/09/25 새벽 6시 19분경>


겉을 비추던 것은 모여 소혀처로 드리워 물 속에 풍덩 빠지는 듯싶으더라. 일색(日色)이 조요(照耀)하며 물결에 붉은 기운이 차차 가새며, 일광(日光)이 청랑(淸朗)하니, 만고천하(萬古天下)에 그런 장관은 대두(對頭)할 데 없을 듯하더라. (출전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지리산 종주 산행기
    from Value Investing 2011-08-26 17:52 
    한걸음 한걸음이 건강이요, 재미요, 즐거움이다. 인생의 근심걱정은 금권주의, 사회의 본질적 속악함과 함께 - 김이 솟아 오르는 골짜기의 가장 낮은 밑바닥에 달라붙는 추악한 독기처럼 - 아득히 저 아래쪽에 남는다. 위쪽에서 우리는 맑은 공기와 날카로운 햇빛 속에서 신들과 함께 걷고, 인간은 서로를 알며 자신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를 안다. 어떤 감정도 '우리 종족의 시조들처럼 충실한 동지들'과 더불어, 어느 냉혹한 절벽을 공격하러 전진하는 감정보다 영광
 
 
 

산에서 열심히 톱으로 나무를 베고 있는 나무꾼에게 지나가던 사람이 물었다. "당신은 매우 지쳐 보이는군요. 얼마동안 나무를 베었습니까?"

"벌써 다섯 시간 째 톱질을 하고 있소. 나는 지금 몹시 지쳤소."

"잠시 시간을 내서 톱날을 가는 게 어떤가요? 그러면 일이 훨씬 빨라질 텐데요."
"내겐 톱날을 갈 만한 시간이 없어요. 톱질하는 데 너무 바쁘기 때문이오."

효과적인 경영은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생산물 사이의 균형에서 나온다. 그런데 생산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산능력을 돌보는 일에 미처 신경을 쓰지 못한 나무꾼과 같은 경영자들을 많이 보게 된다. 바쁘다는 핑계로 자기쇄신을 게을리하는 것이다.

대학시절이 공부했던 기억의 마지막인 사람들이 있다. 과음과 과로, 스트레스로 몸이 얼마나 오래 지탱하는 지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사람들도 있다. 성악가나 스포츠맨, 피아니스트가 날마다 연습을 하듯이 경영자도 매일 톱날을 갈아야 한다.

자기쇄신은 네 가지 차원에서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신체적 차원에서 볼 때 운동은 몸을 건강하게 하지만 기분도 좋게 만든다. 매일 30분씩 운동을 하면 혈액 내의 엔돌핀 농도가 2~3배 짙어져서 6~8시간 동안 상쾌하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필자는 옛날에 바빠서 운동할 시간이 없다고 생각했다. 운동은 스포츠센터에 가야 할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등록을 했다가 며칠 만에 포기하는 일이 몇 번이나 반복되었다.

그런데 10년 전부터는 틈나는 대로 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사무실이나 차 안, 욕탕에서 수시로 목운동을 한다. 외출을 하면 천 보 달리기 혹은 국민체조를 하고, 지하철이나 사무실 계단을 오르내린다. 때와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그때그때마다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실천하게 된 것이다.

둘째, 정신적 차원이다. 음식과 몸치장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쓰지만 마음의 양식을 위해서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이것은 컴퓨터 하드웨어는 업그레이드 했지만 소프트웨어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신체적 차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정신적 차원의 쇄신이다.

독서는 과거와 현재의 현인들을 만날 수 있는 가장 쉽고 값싸고 편리한 방법이다. '독서하는 사람(reader)이 리더(leader)가 된다'는 말처럼 성공하는 삶을 위해 독서가 매우 중요함에도 바빠서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차를 탈 때나 식사하고 화장실에 갈 시간만이라도 몇 쪽씩 읽자고 다짐하고 습관화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누구나 필요를 느끼는 영어공부도 마찬가지다. 자신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초부터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하면 된다. 나는 중학교에서 대학교 2학년 때까지 영어가 가장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어서 성적이 나빴다.

그래서 군대를 제대한 후 3학년으로 복학하기 전인 6개월 동안 중학교 1학년 영어교재부터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때 처음으로 영어가 쉽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결국 복학 직전에는 영자신문 기자에 도전 할 수 있었고, 졸업 후에는 경쟁이 치열했던 한미재단 장학생 시험에 합격할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다.

셋째, 사회/감정적 차원의 자기쇄신이 필요하다. 미국 명문대학 졸업생 중에서 크게 성공한 500여 명을 대상으로 성공을 부른 능력이 무엇인지에 관한 설문조사 했다. 그 결과 전문지식, 기술과 같은 능력은 15%에 불과한 반면, 인간관계 능력이 85%를 차지했다.

사람들은 자동차에 약간의 이상만 있어도 카센터로 가고 몸이 아프면 병원으로 달려가고, 아픈 데가 없나 보기 위해 정기검진을 한다. 그런데 자기쇄신에서 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경영자의 마음이 아플 때 몸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큼에도, 건강진단은 하지만 마음의 검진은 별로 하지 않는다.

다면평가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 워크숍에서 마음을 검진해 볼 수 있는데, 간단하게 출퇴근길에 끼어드는 차나 은행 현금지급기 앞에서 꾸물거리는 사람들을 참을 수 없는 사람은 톱날이 무뎌졌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행동과 표정이 여유롭고 관대하면 마음의 톱날을 잘 갈고 닦은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넷째, 영적 차원의 쇄신도 중요하다. 위대한 문학이나 음악에 심취하는 것, 혹은 자연과 대화하는 것이 영적 쇄신을 가능케 한다. 특히 명상과 기도로 자신의 꿈을 그려보고 각인시키면 결국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세상은 엄청나게 변하고 있는데 아직도 갈지 않고 무뎌진 톱날을 사용하는 경영자에게 성공적인 경영을 기대할 수는 없다. 매일 24시간 중 한 시간을 자기개발에 투자한다면 하루 중 나머지 시간의 질과 생산성, 만족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김경섭한국리더십센터대표

[머니투데이   2005-02-15 13:19: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앙일보 2005-02-04 18:15:19]

"천체의 운동을 계산할 수 있는 나도 인간의 광기는 도저히 계산할 수 없다." 1720년 영국을 휩쓴 남해주식회사(South Sea Company) 투기 붐에서 큰 손해를 본 후 물리학자 뉴턴이 한 말이다.

뉴턴은 세상물정을 모르는 '순진한' 과학자가 아니었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조폐공사격인 왕실 주조국(Royal Mint)의 사장을 30여년간 역임할 정도로 경제를 알던 사람이다. 그런 그도 투기의 광풍 속에서 판단력이 흐려져 당시 중산층 가족 1년 생활비의 100배에 해당하는 2만파운드를 잃었던 것이다.

그러나 뉴턴의 실패도 199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숄스.머튼 교수의 경우에 비하면 약과다. 98년 러시아 금융위기 직후 파생상품을 전문으로 하는 대규모 헤지펀드 LTCM (Long Term Capital management)이 파산해 세계 금융시장을 붕괴시킬 뻔했는데, 이 두 교수가 이 회사의 이사로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들이 노벨상을 받은 분야가 바로 파생상품이었으니, 경제학자들이 주식시장에 대해 얼마나 모르는가 짐작이 가는 일이다.

예외없는 법칙은 없다고 현대 거시경제학의 아버지 케인스는 주식시장에서 돈을 많이 번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는 주식시장이 너무 발달하면 경제에 해롭다고 경고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보면 케인스의 경고가 너무도 잘 들어맞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는 국가-은행-재벌을 축으로 짜인 과거의 경제체제를 해체하고 주식시장 중심의 새로운 체제를 도입했다. 주식시장이 발전하면 자금 공급이 늘어 우리 경제의 고질병으로 진단된 차입경영이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특히 강조되었다.

외환위기 후 2~3년은 이러한 논리가 맞는 듯 싶었다. 기업공개.유상증자 등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기업으로 흘러들어간 돈은 외환위기 직전인 96~97년에는 연평균 4조원에 그쳤으나 98년에는 13조5000억원, 99년에는 35조1000억원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주식시장에서 기업으로 유입되는 자금은 연평균 (2000~2004년) 6조2000억원 수준으로 다시 줄었고, 동시에 현금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해 기업에서 주식시장으로 유출되는 자금의 규모는 계속 늘어났다. 98년 1조5000억원가량에 그쳤던 현금배당이 2004년에는 8조3000억원까지 급증했고, 자사주 매입도 2001년 3조5000억원에서 시작해 2003년 7조4000억원, 2004년 5조8000억원 등으로 큰 증가세를 보여 왔다.

그 결과 2001년부터는 주식시장을 통해 기업에서 유출되는 자금이 유입되는 자금보다 많아졌고, 그 규모는 2001년 2조원, 2002년 3조원, 2003년 6조9000억원, 2004년 9조2000억원 등으로 급증했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이 후진적이어서 기업의 부채비율이 높다고 하던 70~80년대에도 우리나라 기업 자금의 13.4%가 주식시장을 통해 조달되었다. 그런데 우리 주식시장은 그때보다도 지금 더 발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기보다 빼가는 역할을 하는 것인가.

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최근 벌어지고 있는 현상은 주식시장의 지나친 발달에 따른 결과다. 우리 주식시장의 규모가 미국의 1~2%에 불과한 상황에서 자본시장을 개방하고 적대적 인수합병을 자유화하고 주주권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기업이 조금이라도 위험한 투자는 삼가고 주주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배당을 늘리며 경영권 방어를 위해 자사주 매입을 늘리다 보니 주식시장에서 가져오는 돈보다 갖다 바치는 돈이 많아진 것이다. 주식시장이 가장 발달한 미국의 경우도 70~80년대에 주식시장은 기업 자금수요의 4.9%에 해당하는 돈을 뽑아갔다.

케인스는 주식시장이 너무 성하여 기업가 활동(enterprise)이 투기(speculation)의 부속물이 되면 경제발전에 해롭다고 설파했다. 지금 우리의 상황을 잘 요약해 주는 이야기다. 주식시장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경제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daily 2005-01-17 12:41]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부자들도 사람이지만, 때때로 그들의 투자 안목은 예술만큼 길다. 지금 내가 산 그림 한 장이 언젠가는 사상 최고의 예술품이 될 지 모른다는 의미에서 투자는 예술보다 더 길 수도 있겠다.


2004년 5월 뉴욕 소더비 경매장에 한 장의 그림이 매물로 나왔다. `Garcon a la Pipe` 영어로는 `Boy with a Pipe` 1905년 파블로 피카소가 그린 것으로 파리 유학 시절의 작품이다.


이 그림의 소유자는 존 휘트니. 주영 미국 대사를 지낸 인물이다. 그가 죽은 후 다른 그림들과 함께 부인에게 상속됐다. 1950년 휘트니 대사는 이 그림을 당시 3만달러, 지금 화폐 가치로는 22만9000달러에 사들였다.


54년 후 그림 값은 얼마나 올랐을까. 1억400만달러. 미술품 경매 사상 최고 기록이었다. 종전 기록은 반 고흐의 작품 `가셰 박사의 초상`으로 1990년에 세워진 8250만달러였다.


피카소의 `파이프를 들고 있는 소년`을 누가 사갔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휘트니 가문이 54년간 이 그림에 투자해서 올린 수익률은 연환산으로 840%에 달한다. 이 그림을 사간 투자자(?)는 앞으로 몇십년 후 이에 버금가는 수익률을 기대한 것이었을까.


뉴욕, 런던, 유럽의 미술품 시장 규모는 연간 200억달러 수준이다. 뉴욕의 소더비 경매장에서는 한 해 27억달러, 런던의 크리스티 경매장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미술품을 거래한다.


뉴욕의 미술품 시장은 5월과 11월에 절정을 이룬다. 런던에서는 2월, 6월, 7월, 12월 중요한 경매가 이뤄진다.


소더비와 크리스티같은 메이저 경매장에 등장하는 작품들은 진짜 큰 손들이 다루는 물건들이다. 1980년대 유럽과 일본의 신흥 부호들은 가격을 따지지 않고 19세기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을 휩쓸어 갔다. `가셰 박사의 초상`도 일본의 한 기업인에 낙찰돼 화제를 불러 모았다.


천정부지로 치솟던 그림 가격은 1990년대 중반 급락하고 만다. 일본의 거품 경제가 꺼지면서 큰 손들이 시장을 빠져나간 것. 미술품 가격을 지수로 만든 `현대미술100인덱스`는 1990년 4979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1996년에는 1915포인트로 급락했다.


IT 붐이 일면서 반짝 회복하는가 했던 미술품 시장은 다시 깊은 침묵속으로 빠져들었다. 911테러가 터졌고, 전세계적으로 주식시장이 급락하자, 미술품 시장도 한 겨울을 만났다.


그러나 미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최근 고가 미술품 시장이 다시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소더비에서 인상주의와 현대 미술 경매를 담당하는 데이비드 노만 의장은 "미술품 가격의 상승을 비이성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1980년대 미술 시장은 경제적, 정치적 타격을 강하게 받았지만, 지금 시장은 911테러의 충격도 이겨냈다"고 말했다.


미술품 시장에도 전통 블루칩이 있고,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주가 있다. 19세기 인상파의 그림이나 램브라트와 같은 대가들의 작품은 소더비나 크리스티의 단골 메뉴로 블루칩에 속한다.


반면 미국 플로리다 마이에미와 유럽의 중소형 경매장에 나와 있는 현대 미술, 제3세계 미술품들은 나스닥의 기술주와 같다.


마이에미의 미술품 경매상 로스 프리드만은 "예술 작품들은 포커판의 칩이 됐다"며 "가격이 저렴한 아프리카 미술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모든 투자는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잘 알려지지 않았고, 가격도 낮지만, 앞으로 유명해질 것 같은 물건을 미리 사두는 것이다. 제2의 피카소, 제2의 고흐가 주변에 있는지 유심히 지켜볼 일이다.


Copyrightⓒ 2000-2005 edaily. All rights reserved.


정명수 뉴욕특파원 (ilight@edaily.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oren님의 "‘1분 1초를 아끼는 삶‘이 다다를 수 있는 높은 경지를 보여주는 책"

sayonara님께서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템플턴 경은 인류애 증진 등에 기여한 공로로 87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작위를 받았고, 월가에서는 "성인 존"이라는 별명으로 불릴만큼 존경받는 인물이라고 합니다.

그는 자신의 투자원칙을 입증하듯이 한국이 IMF 경제위기에 빠져있던 1997년 12월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기 시작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주식 매수를 선도한 인물이기도 하지요.

템플턴경의 한국에 대한 애정은 아직도 여전한 듯 합니다. 그가 약 7개월 전인 2004년 6월에 한국의 某 언론과 인터뷰를 가졌을 때 언급했던 내용 가운데 일부를 덧붙여 봅니다.

“심지어 현재에도 한국에는 다른 어느 국가 보다 매력적인 종목(bargains)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 큰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한국인들이 정직하고 근면하며, 검소하고 새로운 기회나 발상에 열려 있기(open minded)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