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을 인터뷰하다
김진세 지음 / 샘터사 / 2015년 7월
평점 :
『행복을
인터뷰하다』
김진세
/
샘터
‘행복’이란
단어만큼 빛깔이 다양한 것도 드물 것이다.
나라마다,
민족마다,
세대마다,
각
개인별로 ‘행복’의
정의가 다르다.
결국
우리의 삶은 ‘행복’을
어떻게 정의하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그 결과도 달라질 것이라 생각한다.
“오늘
우리가 불행하다고 느끼는 또 다른 이유는 행복을 향해 가는 길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흔히
우리는 자신의 약점(weakness)에는
예민합니다.
하지만
강점(strength)에는
둔감하지요.”
이 책
《행복을
인터뷰하다》는
글 쓰는 정신과 의사이자,
행복을
연구하는 해피올로지스트(Happiologist)로
소개되는 김진세가 나름 사회에서 성공했다고,
행복하다고
인정받는(스스로
인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만)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았다고 한다.
2009년부터
6년간
매달 한 사람씩 만나서 물었다.
“행복하세요?
어떻게
하면 그럴 수 있지요?” 저자는
주로 행복에 관한 이야기 중 ‘긍정’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행복한 사람,
불행한
사람들은 분명 차이가 난다.
그들의
몸짓,
말투,
얼굴표정
나아가선 몸의 세포 하나하나마다 모두 그 기운이 담겨있다.
행복이든,
불행이든
몸과 마음에 스며들어가있다.
분명한
차이점은 행복한 사람들은 불행하다고만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자신의 부정적인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지혜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
지혜가 바로 ‘긍정의
힘’이다.
이 책은 저자가 만난 서른여섯
사람들의 인터뷰이 중에 고르고 고른 열다섯 사람의 ‘나의
행복’이야기가
실려 있다.
가수
이소은,
배우
김여진,
서울외국인대학교
대외협력 이사 강주은(배우
최민수의 아내),
아나운서
윤영미,
뮤지컬
배우 최정원,
개그우먼
김미화,
산악인
엄홍길,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의사
박경철,
피아니스트
서혜경,
배우
정보석,
국제구호
전문가 한비야,
배우
권오중,
핸드볼
감독 임오경,
소설가
이외수 등의 삶을 들여다본다.
산악인
엄홍길
산을 좀 타는 사람들 사이에 전설이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16개
봉우리를 점령한 엄홍길.
존경심
때문인지,
아니면
경외심인지 몰라도 그를 부르는 호칭은 대장님이다.
그에게
행복은 ‘노력하는
것,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노력한 다음에 성취하는 그 순간이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그에게
오름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오름이
있으면 내림도 있다.
성공과
실패는 항상 함께 한다.
엄홍길은
1985년
시작해 2008년까지
서른여덟 번 시도해 절반 정도인 스무 번을 성공했다.
성공
반 실패 반이다.
“눈앞에
아무리 안 좋은 상황이 닥친다고 해도 그게 영원하진 않더라고요.
시간은
흘러갑니다.
지금의
이 실패를 겪지 않았으면 더 큰 일을 겪었을 거라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이 정도는 내가 감수할 수 있다고..”
그와
그의 주변에 수없이 닥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어떻게 극복했을까?
저자는
엄홍길의 반응이 연구 대상감이라고 한다.
상식을
뛰어넘는 엄청난 용기 그리고 재도전은 ‘외상
후 성장’으로
풀어보게 된다.
공포에
대한 인내심과 의지가 더욱 강해진다.
두드릴수록
더 강해지는 무쇠처럼,
고난과
역경이 육체와 정신을 더욱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다.
몸이
그렇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마음이,
정신이
그러하다는 이야기다.
“그가
이겨 낸 것은 자기 자신이었다.
내면의
공포와 끊임없이 싸워 이겨 낸 것이다.
트라우마
탓만 해서는 외상 후 성장을 이룰 수 없다.
두렵지
않았던 것이 아니고,
두려움을
뛰어넘으려고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이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베르베르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일곱
살 때부터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저자가
일곱 살 때 쓴 소설이야기부터 꺼내며 천재적이라고밖에 달리 할 말이 없다고 하자 그가 답한다. “워낙
민감하고 불안을 많이 느끼는 성격이었거든요.
글쓰기에서
카타르시스를 얻었어요.
현실에서
얻지 못하는 걸 얻은 거죠.
치료효과도
있고요.”
치유의
글쓰기부터 시작한 셈이다.
“저는
좋은 책을 써야겠다든가,
평론가로부터
좋은 평을 들어야겠다든가,
빨리
써야겠다 해서가 아니라,
그냥
글이 좋아서 쓰는 거예요.
지금
이 순간 글을 써서 좋은 거죠.”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일단
숨을 쉬세요.
첫
번째로 말씀드리고 싶은 건 진짜 호흡을 하시라는 거예요.
하루에
한 번이라도 자신이 숨을 쉬고 있다는 걸 인식하세요.
두
번째는 긍정적으로 보시라는 것.
현재에
있으라는 것!
앞날에
대한 걱정만 하지 마시라는 거예요.
뭔가
내가 정말 좋아할 수 있는 대상을 택하시라는 겁니다.
그게
요리일 수도 있고 글쓰기,
그림
그리기일 수도 있죠.
다른
사람이 당신의 인생을 좌지우지 하도록 놔두지 마세요.
항상
생각하고 질문하라는 거예요.
이
일이 과연 내가 정말 원해서 하는 것인지 어쩔 수 없는 주변 상황에 등 떠밀려 하는 것인지.”
국제구호 전문가
한비야
지구촌이 아니라 지구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인류 모두가 서로 도와야 한다고 말하는 한비야는 2001년부터
2009년
6월까지
전 세계 구호현장에서 전문 구호활동가로 일했다.
여전히
한비야는 바쁘다.
그녀의
긍정에너지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
“해보지도
않고 어떻게 알아?”가
화두다.
“지금
내 인생이 축구 경기의 몇 분을 뛰고 있는지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저
같은 경우는 50이
넘어가니 이기는 경기보다 멋진 경기를 하고 싶어요.
졌는데도
멋진 경기가 있잖아요.
이기고
후진 경기보다 지고도 멋진 경기를 하는 편이 더 행복하지 않나요!
그래서
이렇게 얘기해주고 싶어요.
‘늦었다고
생각하지 마라.
기회가
갔다고 생각하지 마라.’
그리고
지금 두드리는 문이 있다면 열릴 때까지 두드렸으면 좋겠어요.
열리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러나
끝까지 두드려도 안 열리는구나,
납득을
해야 포기의 고통이 없어요.
끝까지
해본 사람은 후회도 없어요.
다른
문을 두드리면 되니까요.”
그들의
생각,
살아가는
모습이 주는 선한 영향력이 고맙다.
위장된
겸손이 아니어서 좋고,
내가
살고,
남도
살리는 열정으로 삶을 일궈나가는 모습들이 더욱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