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스타 수술 팀의 영광 가이도 다케루의 메디컬 엔터테인먼트 1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07년 1월
품절


물을 필요도 없었다. 하지만 대화라는 건 이런 의미없는 말로 그 골격이 형성된다. -113쪽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감지하는 능력, 그것을 그릇이라고 한다. -133쪽

룰은 깨기 위해 있는겁니다. 다만 보다 나은 미래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개인적인 확신이 있을 때만 깰 수 있는 거죠-142쪽

중요한 것은 사실인가 아닌가를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사실이라는 가정 하에 사물과 현상을 움직여 갔을 때 마지막까지 모순없이 성립하느냐 아니냐를 확인할 것.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모든 것을 의심할 것. 이런 문제는 요소 하나하나를 검토해야만 합니다. 그 때 중요한 것은 모든 요소와 관계자에 대해 빠짐없이, 중복없이 검토하는 겁니다. -245쪽

그 노여움, 당연하다. 시구식에서 던지는 공은 헛스윙하는 것이 서로의 약속이다,-271쪽

2008.08.01, 응용심리학-설득(액티브 페이즈)과 심리분석(패시브 페이즈)-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레이드 오늘의 일본문학 1
요시다 슈이치 지음, 권남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3월
구판절판


..그러나 과녁을 빗나간 화살은 오락장 아주머니처럼 얼른 빼서 손님에게 되돌려주면 그만이다. 손님 역시 바보가 아닌 이상 화살이 뽑히면 자기가 과녁을 잘못 조준했다는 걸 이해하게 될 테니까. 그런데 세상에는 언제까지고 잘못된 화살을 꽂힌 채로 내버려두는 여자들이 많다. 그러니까 손님 쪽에서는 경품이 나오기를 기대하게 되고, 엉뚱하고 터무니없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이 세상에는 이런 별 생각없는 사격장 아주머니들이 너무 많아서 탈이다.-72쪽

하지만 그런 것들은 내가 실제로 흥미를 가질만한 것들이 아니라 만약 흥미를 갖게 된다면 주위에서 부러워할 만한 일들이었다-75쪽

선의를 가진 사람만이 출입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94쪽

솔직히 나는 인간의, 아니 이 세상의 악의라는 모든 악의에 완전히 질려버렸다.-95쪽

그런데말야, 편리한 것들은 대체로 품위가 없어-129쪽

여기에 살고있는 나는 틀림없이 내가 만든 '이 집 전용의 나'이다. '이 집 전용의 나'는 심각한 것은 접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의 나는 이곳에 존재하지 않는다...실제로는 꽉 찬 만실이면서도 텅빈 공실-131쪽

진심으로 나에게 의지하려는 사람이 있을 때 사람들은 그사람이 얼마나 진지하고 절실하게 기대고 싶어하는 지는 알 수 없는게 아닐까? -164쪽

아무리 자신이 똑바로 달리고 싶어도 발 밑이 진흙탕이면 쓰러질 수 밖에 없는거야-179쪽

멀티버스란 다수의 우주란 뜻이고.
'이 세계'가 모인 '이 세계들'에서는 누구나 주인공이 된다는 뜻이고, 누구나 주인공이 된다는 것은 결국 아무도 주인공이 아니라는 말이나 다름없다. 그것 역시 그런대로 평등한 세계같다..-181쪽

상대에게 동정심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어느 틈엔가 나는 그들의 좋은 형님 역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이런 제멋대로인 배려에조차 만족하는 그들은 대체 세상에서 어떤 대우를 받는 것일까?-259쪽

2005.10.2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방범 3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0
미야베 미유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구판절판


아직 어렸던 탓에 자주 싸웠는데, 그 싸움은 늘 각자가 간직한 소중하면서도 부서지기 쉬운 뭔가를 집어던지는 식이었다. 그러나 쇼지와의 싸움은 다르다. 두사람 사이에서 오가는 것이 없다. 아무리 집어던져도 쇼지에게는 닿지 않는다. 애당초 그에게는 시케코가 집어던지고 있는 것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잡을 수도 없다. -162쪽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유미코가 자신의 힘으로 일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괴롭고 현실이 가혹하다 해도 정면으로 마주해야 한다.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다 하더라도 모든 것을 그에게 맡기고 그 뒤에 숨어버려서는 안된다. 유미코가 자신의 의지를 가지면 아미가와에게 이용당하지 않고 그의 협력을 얻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데 유미코는 자신의 삶을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378쪽

거짓말이라도 좋다. 그래도 그 말은 남는다..말한 사람이 이긴다. 얼마나 빨리, 얼마나 설득력을 가지고 자신이 믿어온 것을 널리 전할 수 있는가. 중요한 것은 바로 그것이다. 사실이나 진실이 아니다. -483쪽

그라는 존재가, 외부의 어떤 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그 가장 밑바닥에 있는 시스템, 치졸한 에고만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흉조였다. -496쪽

"인간의 마음이란게, 너무 슬프거나 두려운 일이 있으면 그렇게 안으로 닫히고 만다는 구나. 한때는 정말로 고장나버린 것 같았지만, 마치코 안에는 정상적인 부분도 틀림없이 남아있어.."-499쪽

"그렇지만 나는 널 도와줄 수 없어...그러니까 나 말고 다른 사람을 찾아봐..하지만 조심해. 세상에는 나쁜 인간이 많으니까. 나나 너처럼, 불행한 일을 당해서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고 고통속에 괴로워하는 사람마저도 속이고 뭔가를 빼앗고 이용하려는 인간이 잔뜩 있으니까. 그렇지만 좋은 사람도 많을 거야. 너도 그런 사람을 찾아. 정말로 너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그것뿐이야. "-516쪽

2008.05.1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방범 2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0
미야베 미유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구판절판


그렇다. 어머니는 배고픔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그녀의 시각으로 논평을 할 수 있는 어떤 것에 대한 갈구, 안전한 장소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극적인 일을. -27쪽

동정. 누군가를 자신의 소유물로 삼고 싶을 때 최고의 무기가 되는 것이 바로 이런 감정이다. '동정'이야말로 마음을 파고드는 송곳이다.-61쪽

지극히 기본적이고 소박한 의문이었다. 왜 남자는 여자를 죽일까. 얼굴도 모르는 여자를. 자신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여자를. 여자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죽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남자에게는 여자를 죽일 수 있는 특별한 권리라도 있다는 것일까.-111쪽

그녀의 가장 깊은 곳, 인격의 밑바닥 아래를 흐르는 마그마처럼 끓어오르는 분노..-151쪽

추억은 밤하늘의 별처럼 많았다. 그 모든 추억들이 별처럼 빛났다. 그런 별들이 모여 가즈아키의 밤하늘 여기저기에 별자리를 이루고 있었다.-358쪽

'지금까지 나는 누군가를 도울 만한 힘이 없기 때문에 아무에게도 손을 내밀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었어. 그렇지만 그건 잘못이야. 나는 근본적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거야.'
누군가를 향해 손을 내밀고 내가 곁에 있으니 괜찮다는 말을 거는 순간에, 그는 다른 사람이 기댈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처음부터 듬직한 인간은 없다. 처음부터 힘있는 인간은 없다. 누구든 상대를 받아들일 결심을 하는 순간에 그런 인간이 될 수 있는 것이다.-365쪽

기억,기억, 기억. 인간이란 존재는 기억으로 만들어져 있는 모양이다. ..수많은 기억을 얇은 피부 한 장으로 감싸고 있다. 그것이 인간이다. 어린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함에 따라 몸이 커지는 것은 그만큼 피부속의 기억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382쪽

작문은 사방에 널린 언어를 조합해서 만들 수 있지만, 시는 그렇지 않다. 시를 쓰는 것은 자신의 마음속에 내시경을 넣고 거기에서 조직의 일부를 떼내 표본을 만드는 것과도 같다. 그래서 위험하다. -387쪽

사람은 누구든 자신의 환상이라는 왕국 속에서는 작은 왕관을 쓰고 왕좌에 앉은 왕이다. 그런 부분이 있다는 것 자체는 결코 사악하지도 않고 죄도 아니다. 오히려 알력으로 가득한 현실세계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될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왕에게도 전제군주에 대한 동경은 있다. 그것 또한 누구든 가질 수 있는 자연스러운 지향이다. 그 또는 그녀는 곧 바깥 세계로 눈을 돌린다. 영토를 넓히고 자신이 세운 성 안으로 들어오는 시민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어느 정도의 '연습'을 거듭하여 자신의 역량이 확인되면 기꺼이 길을 떠난다.
그러나 그 앞길은 천차만별이다. 그들이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을지, 무엇으로 만족을 얻을지, 어느정도 규모의 왕국을 만들어낼지, 거기서 선정을 펼칠지 독재자가 될지. 결국 그것이 인생이 아닌가..-452쪽

사람은 모두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다. 그도..그의 작은 왕국을 세워가고 있다. 그리고, 적어도 아내는 그의 시민이다. 동시에 그는 아내의 시민이기도 하다. 물론 서로의 압제를 참을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이민을 갈지 모를 위험에 빠지겠지만, 그러기 전까지는 서로에게 시민임이 분명하다. 우리는 환상속에서만 존재하는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싸우기도 하고 함께 개척하기도 하면서, 서로에게 서로의 시민이 됨으로써 살아갈 수 있다. 인간이 나약하다는 것은 바로 그런 뜻이라고 그는 생각하고 있었다...-452쪽

"자기 머리로 생각할 수 없는 인간은 절대로 좋은 글을 쓸 수 없어. 이건 내 경험에서 나온 신념이다. 미안하지만, 나는 신념을 굽힐 생각은 없어," -507쪽

단순히 자존심 비대증인 실패자에 지나지 않았다...아무도 자신을 존경해주지 않고 특별 취급해주지 않는다는 데 화가나서, 자신은 여기 있어야할 인간이 아니라는 과대망상에 빠져 회사를 뛰쳐나오는 경우는 현대사회에서 그리 드문 일도 아니다. 나는 이런 별볼일 없는 일을 하기 위해 이 세상에 나온 인간이 아니라고 외치며 지겨운 일상에서 뛰쳐나오는 데까지는 좋았지만, 결국에는 놈팡이처럼 빈둥거리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수한' 젊은이는 쓸어담을 정도로 많다. -513쪽

2008.05.1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방범 1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0
미야베 미유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7월
구판절판


"시게코만의 루트를 찾아야 해. 그리고 그전처럼 어중간한 르포 같은 걸로는 안돼. 글을 쓰는 건 훨씬 나중의 일이고, 지금은 오로지 시게코만이 갈 수 있는 숨겨진 뒷길을 찾는게 관건이야" -197쪽

어느 쪽이 보다 빨리 효과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알리고 사회의 신뢰를 얻을 것인가. 지금으로서는 선악의 판단 기준이란 그것뿐이다...사람들은 모두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다. 선전이야말로 선악을 결정하고, 옳고 그름을 정하고, 신과 악마를 나누는 것임을. 법이나 도덕 규범은 그 바깥에서 하릴없이 어슬렁거리고 있을 따름이다. -343쪽

2008.05.1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