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어머니와 아들, 여성과 남성 - 밑줄

우리는 아들을 위해 무엇을 원하는가? 가부장제의 가치에 도전하기 시작한 여성들은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된다. 우리 내면의 가장 깊은 곳에서 우리는 아들들이 어머니의 아들로 남기를 원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여성이 되는 새로운 길을 발견하고 있듯이 그들도 성장하여 남성이 되는 새로운 길을 찾기를 바란다. 아들이 여성을 양육과 부양의 유일한 원천으로만 보지 않는 남성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줄 만한 감수성과 굳은 의지를 가진 아버지들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이런 아버지들이 아직까지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가끔 예외적으로 한사람씩 보이는 것이 희망적이기는 하나 여전히 개인적 차원에 머무를 뿐이다.
제인 라자르는 이런 개인적 경우도 다만 겉보기에만 ‘관심있는 ‘아버지에 불과하다고 했다. 남성들이 사회의가장 중요한 일로서 자녀양육의 책임을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해도, 그들의 아들들과 우리의 아들들이 비가부장적 남성상이 어떤 것인지 똑같은 생각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의 아들들이 겪는 고통, 좌절, 애매모호함이 강하고 비전통적인 어머니의 문전에만 놓여 있는 것이 아니다. 똑같은 지붕 밑에 살면서도 매시간, 매일 아이들을 버린 것은 바로 전통적인 아버지이다. 우리는 과거 수세기 동안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역사에서도 대부분의 아들들이 가장 진지한 의미에서 - 실제로는 아버지가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한다. - P237

만일 내가 아들들에 대한 한 가지 소망을 가질 수 있다면 여성의 용기를 가져 달라는 것이다. 이 말은 상당히구체적이고 정확한 의미를 가진다. 즉 공적 사적 생활에서, 그리고 그들이 꿈꾸고 생각하고 창조하는 내면세계와 가부장제라는 외부세계 둘 다에서 새로운 비전을 전개시켜 나갈 때, 점점 더 많은 심리적·육체적 위험을 감수하는 여성들에게서 보았던 용기를 뜻하는 것이다. 때때로 이런 커다란 용기가 조그만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여성의 직업이나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는 공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종종 혐오스러운 생각을 하거나 모략을 받고, 미칠 것 같은 느낌을 받는 순간이 있다. 때로는 그 순간이 더 길어지기도 하고 전통적인 안전과 보호도 거의 사라져 버린다. 자기 인생을 스스로 개척해가는 여성들은 이를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내적.외적 고통을 예상해야만 한다. 나는 내 아들이 이런 고통에 위축되지 않기를, 남성의 낡은 방어벽 속에 안주하지 않기를 바란다. 물론 치명적인 자기혐오증을 보여서도 안 될 것이다. 또한 나는 그들이 나를 위해서나 다른 여성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 자신을 위해, 이 지상에서의 삶을 위해 이런 일을 하기 바란다. - P242

나는 남성을 자녀양육의 전과정에 참여시키는 데 상당한 어려움과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안다. 무엇보다도 자녀양육이 여성의 일이었기 때문에 수동적이고, 저급하고, 일 같지도 않은 일이라는 인식, 혹은 단지 ‘재미‘에 불과하다는 과거의 인식이 문제이다. 이런 인식 뒤에는 개인적인 감정을 알지 못하는 남성들의 미숙함이 도사리고 있다. - P243

한편 개인적인 관계에서도 남성이 ‘사랑의 일‘을 공유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도 그들을 사랑하는 방식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이 말은 무엇보다도 아버지가 자녀양육과 보육의 일부를 공유한다고 해서 그를 칭송하고 감사히 여기는 일이 더 이상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여성이 부모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별한다고 간주된 적은 없다. 오히려 여성이 부모 역할을 하지 않으면 사회범죄로 취급되어 왔다. 이 말은 또한 남성의 자아가 계란껍질인 것처럼, 혹은 동등한 관계를 희생해서라도 남성의 자아를 보전하는 일이 바람직한 것처럼 남성을 대하는 일도 그만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들처럼 남성들도 칭찬받지 않고도, ‘예외적‘이라고 특별대접을 받지 않고도 우리와 같이 행동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의미이기도 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사랑‘과 ‘일‘을 분리하는 것도 거부함을 의미한다.
남성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것을 새로운 형태의 사랑으로 보지 않을 것이다. 또 우리가 증오심으로 행동하고말하며 우리도 ‘그들처럼‘ 되어가고 있다고 말할 것이다. 우리의 지속적인 보호와 관심이 없으면 정신적으로 황폐해질 것이라고도 말할 것이다. 그러나 남성들에게 정신적인 젖을 준 수백 년 동안 우리는 오염되고, 탐욕적이고, 지배적이며, 자학적이고, 못생기고, 음탕하며, 동성연애자이고, 매춘부라는 소리를 계속 들어왔다.
우리는 이제 서서히 다른 어떤 여성보다 어머니들이 더 진짜 같아 보인다"는 말로 시작되는 이야기를 불신하는 법을 배워가고 있다. -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숙경 <담배 피우는 아줌마> 2001 


리뷰를 쓰려고 밑줄 그었던 부분을 임시저장해둔 것을 발견했다. 대출 기록을 뒤져보니 11월 중순이다. 아, 읽고 바로 썼어야지! 다 잊어버렸다.ㅠㅠ 




"... 하지만 어린 여자와 섹스하려고 발버둥치는 이유를 좀더 깊이 따져본다면, 대부분의 남자들이 성장을 멈춘 채 '어린애'로 살고 있는 데 원인이 있다. 그들은 대화의 방식을 잘 모르고, 자기 맘대로 되지 않는 상대에게는 폭력을 휘두르면서도 자기보다 월등한 힘을 가진 상대에게는 일단 복종하는 경향이 있다. 어린 남자애들도 로봇 놀이나 전쟁놀이를 하면서 '힘의 논리'를 습득해 간다. 그리고 어른이 되어서도 '전쟁놀이'를 하면서 산다(단적인 예로 국회의사당의 난투극을 보라!). 

어떤 남자들은 성관계도 '지배'와 '종속' 혹은 '도전'과 정복'이라는 무시무시한 작전 수행으로 생각하곤 하는데...... 그래서 그들은 어린 소녀와의 성매매를 서슴지 않는다. 왜냐? 정복하기 쉬우니까. 노력하지 않고 돈으로 손쉽게 한 여자의 몸을 '지배'할 수 있다고 믿으니까. 

성관계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남자들은 여자들과의 의사소통 노력 없이 편히 살 수 있다. 남자들은 편하게 1년 365일 차려진 밥상을 받아먹는 게 당연한 권리인 양 믿고 산다. 어려서는 어머니의 노동에 기대어 밥을 얻어먹으며 생존하다가 연애할 때 잠깐 공을 들이면 평생 먹을 음식과 자식 낳기, 키우기, 부모 봉양하는 게 자동으로 보장되는 남자의 인생, 거기다가 맘만 먹으면 여자의 몸도 돈으로 살 수 있다." (전자책 35%) 


스윽 다시 이 부분 읽으니 '의사소통', 남자와 여자의 의사소통이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 사람 손! 하고 싶은 마음이...ㅎㅎㅎ 으아 진짜 너무 힘들다. 어떻게 어떤 식으로 힘든지 남자들은 모른다.(설명해도 이해 잘 못함) 나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는지 생각할수록 신통방통하면서 어이없다. 




"아줌마들의 이기심은 '가족 이기주의'의 산물이다. 아줌마가 길거리 좌판에서 콩나물 한 줌이라도 더 담으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줌마는 남성 가부장이 움켜쥐고 있는 경제권 휘하에 있는 '수행자'에 불과하다. 가족 구성원이 더 싼값에 양질의 소비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족 이기주의는 아줌마로 인해 '유지'되고 있을 뿐 그것을 끊임없이 생산해 내고 있는 실질적 주체와 조장자는 '아저씨들과 자녀들'이다." (48%) 


주부는 남성 가부장이 벌어온 돈으로 살림을 하면서 조금이라도 싸게 소비재를 사는 행위를 통해 자기만족과 위안을 느낀다고 한다. 가정에서 내 몫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는 자부감도 가진다. 그것이 자신의 능력이라고 믿는다. 지난주 읽던 <여성성의 신화>에도 나온 내용이고 인용구와 상통한다. 



"누가 한 말인지 기억나지 않지만 의미심장한 구절 하나가 떠오른다. 

"세계를 전복하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은 '일상'을 바꾸는 일이다." " (55%) 



"아직도 대부분의 결혼은 강요된 친밀감의 요새다." (87%) 



베티 프리단은 여자에게 가정은 포로수용소라고 했다. 디 그레이엄의 책 제목은 <여자는 인질이다>이다. 나는 '세계를 전복하는' 일보다 더 어렵다는 '일상을 바꾸는 일'에 전념 중이다. 그런데 정녕 수용소를 개방된 자유로운 공간으로 만드는 일은 불가능할까. (불가능할 거라고 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좀더 지켜보도록 하자...) 


밑줄 대충 적어둔 것만 페이퍼로 옮겨오고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스터후드. 자매애. 

프롤로그 이렇게 좋아도 되는 것임? 그만 감정이입해서 끝부분에 울어버렸네. 프롤로그 읽고 운 책이 또 있던가? 아 눈물 터진 부분은 아래 밑줄은 아니다. 흑흑. 버튼이 눌렸어. 
















솔직히 고백하자면, 나는 가끔 시스터후드라는 아름다운 말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느꼈습니다. 나는 그 여성과 결코 비슷한 적이 없고, 그 여성을 이해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 여성을 잘 알 수 없고 그 고통 역시 겪어본 적 없었으나 눈물을 흘리고 함께 화를 내기도 했고 위로를 하기도 했습니다. 혹은 그 여성이 나를 설명해내는 말들이 나와 거리가 멀다고 느꼈지만 아무 말 하지 않고 다른 쪽으로 시선을 돌린 적도 있었습니다. 나는 자매들이라 불리는 여성들과 함께 있기보다 홀로 있는 편이 더 낫다고 여긴 적도 많았습니다. 나는 눈의 여왕처럼 세상과 분리된 혼자만의 방이 필요했고, 눈의 여왕이 지닌 힘과 고독, 그리고 언제든 마음 내키면 어디든 떠나는 여행의 가능성을 갈구했습니다. - P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스터후드, 자매애라는 단어를 부드럽게 쓸어보면서, 나는 한 번도 경험해 본 적 없는 시스터후드를 상상해봅니다. 이 세계의 억압에서 비롯된 울분과 슬픔만이 아닌 ‘다시 만난 세계‘의 감각으로 생생해지는, 그래서 겪어본 적 없는 세계로 발 딛는, 용기와 기쁨으로 피어오르는 자매애와 다채로운 자매애의 가능성을 떠올려봅니다. - P1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1-11-19 03: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나도 그런 사람 중 하나…

난티나무 2021-11-19 04:41   좋아요 0 | URL
저도 공감 됐어요.^^
 

흑인 페미니즘 사상

가족의 핵심은 남녀의 생물학적 결합이 아니다. 가족은 국가가 가족구조와 이런 유형의 가족에서 태어난 자녀에게 합법성을 부여하는 이성애적 결혼을 통해서 조직된다(Andersen 1991; Thome 1992). 전통적 가족이상으로 여겨지는 것은 거의 모두 흑인가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흑인여성에게 전통적 이상가족의 두 요소가 특히 문제적이다. 첫째, 유급고용이라는 "공적" 영역과 무급의 가족책무라는 "사적" 영역의 분리를 가정하는 것은 흑인여성에게 결코 해당되지 않았다. 노예제도 하에서 흑인여성은 남부의 농업이라는 공적영역에서 임금을 받지 않고 일했으며 일상적으로 가족의 사생활을 침범당했다. 둘째, 가구family household와 유급 노동시장을 분리하는 공/사 이분법은 미국의 젠더 이데올로기를 설명하는 근본적 요소다. 실제로 남성이 밖에서 일을 하고 여성이 가족을 돌본다고 가정한다면 흑인은 결함투성이일 뿐인 젠더관념에 시달린다. 특히, 흑인여성은 가정 밖에서 일을 하고 돈을 벌기 위해서 노동하고 남성들과 경쟁하며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녀를 돌볼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흑인여성은 "여성적 "이지 못한 존재라고 규정된다.
흑인여성과 유색여성의 경험을 전통적 가족이상으로 상상된 틀로 보는 것은 심히 문제적이다(Higginbotham 1983; Glenn 1985; Mullings 1997). 흑인가족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흑인여성의 노동과 가족 패턴이 왜 전통적으로 이상적인 가족의 표면적 정상성으로부터 일탈하는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과 가족 자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그래야 흑인여성과 유색여성의 경험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Collins 1998b).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에노 지즈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절판) 밑줄.
1부 끝에서 자신의 글을 비판하는 사람들에 대해 반격하는 ‘보론’ 부분.

... 가사노동은 누구의 눈에 ‘의식화‘되지 않는 것일까? 가사노동을 "무의식적으로 소비"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여자는 누가 가사노동을 의식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가족을 "공동 취득·공동 소비"의 단위로 간주하는 것은 도대체 누가 만들어 낸 이데올로기인가. 그는 "가사노동은 가족 내 노동이기 때문에...... 누구의 소유물인가를 법적으로 한정하는 의식을 가질 수도 없다"고 말하지만 화폐가 되지 않은 노동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를 문제 삼지 않는 것은, 그의 말대로 자본측이다. 그러나 현물경제 안에서는 누구의 노동의 공헌이 누구에게 귀속되고 있는가를 당사자는 알고 있다. 자본주의와 마찬가지로 가사노동의 소유를 문제삼지 않음으로써 그는 가부장제에 가담하고 있다. "이리하여 가족 성원은 인격적으로 가장에게 종속된다. 그 지배권은 그가 가족 내의 다른 사람의 노동을 착취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물질을 나누어 주는 데 기초한다"는 인식에 도달한 그의 ‘가족의 정치학‘에 대한 무지와 태평스러운 태도는 거의 범죄적이다. - P159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의 답은 명쾌하다. 첫째로 성억압에는 물질적 근거가 있다는 것, 둘째로 남성노동자는 그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다는 것, 셋째로 그들이 이 기득권을 포기할 생각이 없다는 것, 넷째로 남성노동자들은 역사적으로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자본 및 국가와 공모하여 적극적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는 것이다. - P164

"유원지의 ‘두더지 사냥‘처럼, 가장권의 개개의 현상을 하나하나씩 샅샅이 때려잡는" 페미니스트의 실천에 대해 실천활동가인 그가 의혹을 표명하기에 이른 것은 불가사의한 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노동운동은 개개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자본주의의 억압 현상을 "‘두더지 사냥‘처럼 하나하나씩 샅샅이" 때려잡아 왔던 것이 아니었던가? 예컨대 계급이 최종적으로 폐기되지 않는 한 억압의 근원이 사라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매일매일의 노동운동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그가 가장 잘 알고 있을 터이다. 그처럼 여성노동자는 남성고용자만이 아니라 남성이 주도하는 노동조합과도 싸워 왔고, 개개의 가정에서 아내는 남편과 싸워 왔다. 가부장제의 최소조직인 단혼가족 내에서의 남편에 대한 아내의 개별적인 투쟁이야말로 페미니즘의 출발점이었다. 개개의 노동자가 고용인과의 직접적인 대결을 피해서는 문제를 해결하라 수 없는 것처럼 개개의 여성 역시 한 쌍의 남녀 가운데서 나타나는 가부장제와 직접적인 대결을 회피해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