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개주막 기담회 케이팩션
오윤희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이야기들을 각색하기도, 새롭게 만들기도 한 기이한 이야기들을 풀어 놓는다. 어느 시대든 사연 없는 이가 있겠냐만은 평범하다고 여긴 이들의 사연일수록 더 기구한 듯 하다. 게다가 어린 아이를 주술의 도구로 이용하는 건 정말 천벌 받을 짓이다. 어린 아이를 대나무통에 넣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배고픈 아기가 강렬한 젖 냄새에 팔을 뻗을 때 그 팔을 잘라 도구로 삼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열녀문 역시 마찬가지. 슬프게도 어디든 약하고 약한 상대를 짓밟는 짐승 같은 것들이 있다.

굳이 교훈을 주는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사회상을 보여주거나 듣는 이가 공감할 수 있다면 그걸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네가 그린 그림들을 보니 하나같이 기이하거나 괴기스러운 이야기뿐이구나. 주막에서 일하면 보고 듣는 것이 많을 텐데 어째서 특별히 이런 이야기에 마음이 끌린 건지 물었다."
"그, 그건…."
선노미도 그 이유를 제대로 설명할 순 없었다. 일상에선 좀처럼 볼수 없는 매우 특별한 이야기, 상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묘한 이야기는 언제나 선노미 마음을 설레게 했다. 그런 이야기를 듣거나 그리고 있을 때면 주막집 허드렛일을 하는 자신의 신분도, 매일같이 반복되는 고된 노동도 잠시 잊을 수 있었다.
"네가 그린 이야기는 지식을 알려주지도, 충효를 가르쳐주지도 않 - P357

는다. 백년 묵은 여우나 처녀 귀신 같은, 어찌 보면 황당하고 뜬구름잡는 얘기지. 왜 그런 이야기를 좋아하는 거지?"
선비는 선노미를 질책하는 것 같지 않았다. 얼굴에 순수한 호기심이 어려 있었다. 거기에 용기를 얻은 선노미가 간신히 대답했다.
"저는 어떤 이야기가 좋은 이야기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들을 할 때 사람들은 울고 웃었습니다. 저도 먼발치서 이야기를 엿들으며 속으로 같이 기뻐하고, 화를 냈습니다. 그러니 황당하고 뜬구름잡는 얘기라도 얕잡아볼 수만은 없지 않겠습니까?" - P3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조선 민담집 3 조선 민담집 3
임방, 이륙 / 유페이퍼 / 2019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여전히 재치있는 여인들의 이야기가 계속 된다. 거들먹거리며 무례한 벼슬아치를 골탕먹이는 건 즐거웠다. 그리고 기이한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다. 귀신 이야기, 신선 이야기, 어진 왕을 만나 높은 관직에 오른 이들까지 재미있었다. 다만 ‘진짜 무당’ 이야기는 짤려서 이야기의 끝을 알 수 없어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조선 민담집 2 조선 민담집 2
임방, 이륙 / 유페이퍼 / 2019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이번 권은 기이한 이야기과 재치 넘치는 여인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장막 하나로 왜구나 도적떼들을 피하거나, 백골을 잘 묻어주어 과거에 합격하게 해 주거나, 무덤을 잘 써서 후손이 잘 되거나 하는 일들이 기이한 일이다.

양반가의 딸이지만 한명회의 강압 때문에 첩실로 가게 된 좌수의 딸이 기지를 발휘해 정실 부인이 되거나, 연산군이 강제로 불러들이자 썩은 고기를 겨드랑이에 끼고 악취를 풍겨 아무 탈 없이 궐을 나올 수 있었다던지 하는 일들이 재치 있는 여인들의 이야기다.

규범에 묶여 원치 않아도 받아들여야 한다 하더라도 어떻게든 자신들의 운명을 개척하려는 모습이 멋지면서도 안타까웠다.

조선에서는 풍수사나 그 비슷한 사람들에게 참으로 많은 돈을 쓴다. 재운이 있는 집을 찾기 위해서, 혹은 고인이 잠들 명당을 찾기 위해서이다. 조선 사람은 어떤 신묘한 이치에 의해 우리의 행운이 오로지 어머니 대지에 달렸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조선 민담집 1 조선 민담집 1
임방, 이륙 / 유페이퍼 / 2018년 8월
평점 :
판매중지


성현의 <용재총화>, 이륙의 <청파극담>, 임방의 <천예록>을 다 읽고 싶었는데 다 구하지 못했다. <청파극담>과 <천예록>은 구한말 선교사 제임스 게일이 번역한 걸 다시 번역해서 <조선 민담집>이라는 이름으로 있길래 얼른 읽었는데 재미있다. 역시 장도령과 전우치 이야기는 흥미진진하다. 어느 시대든 기이한 인물,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는 빛이 바래지 않는 것 같다. ‘자란의 사랑’ 같은 경우 신분까지 버리고 기녀인 자란을 찾아 간 기동의 사랑이 행복하게 마무리 되어 좋았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였다면… 남자는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겠지. <금계필담>에 나온 김승유와 이세희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11-22 1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1-22 1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용재총화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22
성현 지음, 강혜규 옮김 / 돌베개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초기 문신이었던 용재 성현이 남긴 수필집이다. 우리 조상들도 지금 우리처럼 ‘카더라’도 속닥거리고, 도시괴담 같은 것도 즐겨 이야기 했다. 아직은 자유로웠던 때인지라 연애담도 들리고, 여자 화공 ‘홍천기’ 이야기도 나온다. 일본, 여진족 등의 풍습도 알 수 있고, 양반들의 장난기 가득한 모습도 엿볼 수 있다. 자유롭다지만 이중잣대를 들이대는 ‘어우동’과 수청 거부한 기생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우리네 조상들이 보낸 명절들도, 즐긴 불꽃놀이도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다만.. 김수온이 책을 빌려서는 다 찢어 벽 위에 붙이고 한 행동에 대해서는 비명을 지를 수 밖에 없었다. 아앗, 나라면 절대 빌려주지 않을테다.

신숙주(申叔舟)가 임금에게 문장 선집을 하사받았는데, 장정(裝幀)이 정교해서 애지중지하며 손에서 놓지 않았다. 김수온이 신숙주에게 찾아가서 빌려 달라고 간절히 청하니 신숙주는 하는수 없이 빌려 주었다. 그 후 보름이 지나 신숙주가 김수온 집에 찾아가 보니 김수온은 책을 낱낱이 찢어 조각조각 벽 위에 발라 놓았는데, 연기에 그을려 뭐라고 썼는지 알아볼 수 없었다. 이유를 물으니 대답하는 말이, 누워서 외우느라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다.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