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사아씨전 안전가옥 오리지널 29
박에스더 지음 / 안전가옥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벽사진경(辟邪進慶)은 삿된 것을 쫓고 복을 불러들이는 일이다. 벽사아씨전은 삿된 것을 쫓는 아씨의 이야기란 것이겠지. 벽사진경이라고 하면, 처용가가 떠오른다. 신라 시대, 처용이 집에 왔더니 다리가 네 개라... 둘은 부인 것인데, 나머지 둘은 누구 것일까. 알고보니 역신이 처용의 아내에게 반하여 몰래 집에 잠입한 것이었다. 처용은 마당에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췄고, 역신은 그의 너그러움에 감화되어 용서를 빌고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뭐 그런 이야기 말이다. 그 뒤로 처용은 역신을 쫓아낸 벽사의 이미지를 얻어 벽사진경의 의미로 많이 차용되었다. 그런데 역신에게 나쁜 일을 당한 건 부인인데, 왜 처용이 용서를 하는걸까? 역신이니 병이 나서 고통받는 건 부인인데 처용이 왜...? 심지어 막아주지도 못해놓고서는? 


그래서 우리 서문빈이 벽사아씨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삿된 것들은 약한 쪽을 먼저 공격하기 마련이고, 억울하게 죽은 영혼들은 한을 풀지 못한 채 오도가도 못하고 이승에 묶여 악귀가 되어간다. 삿된 것들은 물론 역신처럼 인간이 아닌 존재일수도 있지만, 인간인 경우가 더 많을테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참의 대감의 큰아들처럼 말이다. 가해자를 처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피해자를 구제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가해자와 피해자임에도 억울하게 가해자가 되어버린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빈의 마음이 너무 반갑다고나 할까. 죄를 지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이해하여 그에 맞게 억울함을 풀어준 뒤 벌을 내린다든가, 힘이 없어 암흑에 갇혀버린 이들을 구할 수 있는 건 그런 측은지심이 있기 때문이겠지. 그리고 그것이 어디든 제왕의 자질이 아닐까.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구렁이 업신인 파려와 귀를 보고 몸을 빼앗기기도 하지만 굳센 빈과 그런 빈의 정혼자로 다정한 은호와 탐욕으로 지존의 자리를 탐하는 영의정의 딸 채령이 만들어가는 흥미진진하고 다양한 사연들은 웃음이 나기도 하고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거기다 저승을 움직이는 염라대왕, 오도전륜대왕, 송제대왕, 진광대왕까지 등장하여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첫사랑을 여전히 잊지 못하는 빈과 불의의 사고로 사랑의 기억을 잊은 은호의 눈부신 성장과 권력욕으로 똘똘 뭉친 채령과 전륜의 출구 없는 돌진이 한시도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드라마라고나 할까. 영상화 되면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역시 익선관이든 면류관이든 '관'의 무게는 무겁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23-12-11 07: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러네요. 처용이 왜 나서서…? 천하의 대인배가 밤늦게 놀러 다니는 동안 가족이 범죄의 피해자가 됐는데요. (화남)

꼬마요정 2023-12-12 14:54   좋아요 0 | URL
그쵸? 뭐 해석에는 부인이 바람이 났네 어쩌네 하는 것도 있지만 결국 벽사의 용도로 처용이 사용되는 데에는 역신이라는 잡귀 때문일테니까요. 처음에 부인의 외도로 몰아가는 해석은 어쨌거나 잘못의 전가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하기도 해요. 여튼 여러모로 그렇습니다.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화나는 일들이 파도 파도 계속 나오는 것 같아요. ㅎㅎㅎ(어이없는 헛웃음)

희선 2023-12-11 08: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벽사가 삿된 것을 몰아내는 거군요 실제로 그런 게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건 사람이 해야 할 일일지도...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마음도 잘 알아봐주는군요


희선

꼬마요정 2023-12-12 14:56   좋아요 1 | URL
이 책의 신문빈이 그렇더라구요.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어버리는 상황을 잘 파악해서 기회를 주는 거요. 본인은 싫겠지만 그런 마음이 있어 큰 역할을 맡나 싶습니다. 진짜 실제로 벽사가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이기적 유전자 - 40주년 기념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멸의 자기 복제자’는 인류가 사라진 뒤라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유전적 이탈경로가 바뀐다면 모든 차별들이 사라질까. 유전적으로 보면 우리는 다 비슷한 존재인데 어째서 구분짓고 차별하고 학살하는 것일까. 지구에서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가 다같이 살아가면 좋을텐데. ‘본능’이란 이름으로 범죄를 미화시킬 수 없고, ‘약육강식’이 약자를 마음대로 희생시켜도 된다는 말이 아님을.

그런데 왜 이 책이 허무하다고 하지? 어차피 유전자가 진화하는 데에는 엄청난 세월이 필요하고 우리는 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면 될텐데… 그래서 유전자가 ‘뇌’를 원시수프로 만들어 ‘밈’이 나오도록 한 것일지도. 그래야 더 오래 살아남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수는 유유히 옛 진나라 땅을 감돌아 굽이 흐르고
황산은 의구히 한나라 궁성을 휘둘러 비스듬히 뻗어 있다.
임금님의 수레는 멀리 황궁의 성문 앞 버들 길로 나와선
각도로 들어 이따금 머리 돌려 상림원의 꽃 떨기를 바라본다
엷은 구름 속 황성엔 한 쌍의 봉황 궐문 우뚝 솟아 있고
비 오는 가운데 푸른 봄나무사이로 수많은 인가가 보인다
이 행차는 봄기운을 타고 절기마다 은덕을 베풀기 위함이요 - P204

결코 임금님 순유(巡遊)하며 경치 감상하려는 뜻 아니라네

渭水自榮秦塞曲 黃山舊繞漢宮斜
鑾輿迴出仙門柳 閣道迴看上苑花
雲裏帝城雙鳳闕 雨中春樹萬人家
為乘陽氣行時令 不是宸遊重物華
(「奉和聖製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이 시는 왕유가 현종의 순유(巡遊)를 수행하던 중 봉래궁에서흥경궁으로 향하는 각도에서 현종의 춘망지작(春望之作)에 화답한 응제시다. 작품의 첫 2구는 산천의 경색을 빌려 황성 장안의 광활한 형세와 배경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다음 4구는 장안성 자체의 장관을 그리고 있는데, 특히 "엷은 구름 속"(雲裏)2구는 온 천지에 봄기운이 생동하는 가운데 자욱한 운무 속으로 봉황 궐문이 우뚝 솟아 있고, 봄비 속에 싱그럽기 그지없는 나무들 사이로 인가가 올망졸망 정겨운 황성의 성세(盛世) 형상을 묘사하였다. 이는 분명 앞의 예(例)들과 마찬가지로 다분히 ‘성세분식’의 색채를 띤 ‘성세구가’요, ‘가공송덕‘이라고 하겠다.
‘응제시‘란 임금의 명을 받들어 짓는 시이기 때문에 임금의 공유
덕을 칭송하고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표현하는 내용이 없을 수가 없다. 따라서 응제시는 그 수사를 한껏 강구하여 문사는 화려한 반면 내용은 공허한 폐단을 면키 어렵고, 심지어 왕왕 아첨의말까지 동원이 되며, 자연히 그 문학적·예술적 가치는 크게 부정된다. - P205

높은 누각에 올라 그리운 고향을 바라보노라니
시야는 다하는데 망향의 정은 아득히 끝없구나
지난밤 꿈속에서 천리 만리 고향이 보였건만
지금은 창 너머로 수많은 타향의 집들을 엿본다
하염없이 나그네 먼 길 가는데 - P237

어둑어둑 저 먼 교외로 석양이 지누나
애원(哀怨)의 정은 머나먼 포구 밖으로 넘칠 제
아득히 한 가닥 연기 외로이 피어오른다.
그대 뛰어난 시작(詩作)은 최상의 재능이건만
고향 가고파 함은 이 하찮은 벼슬아치와 같구나
그리운 고향은 바라보아도 보이지 않고
구름과 강물만이 온통 하나로 흐릿하여라

[高樓望所思 目極情未畢 枕上見千里 牌中窺萬室
悠悠長路人 曖曖遠郊日 惆悵極浦外 迢遞孤烟出
能賦屬上才 思歸同下秩 故鄉不可見 雲水空如一
(「和使君五郎西樓望遠思歸」)

이는 왕유의 제주 임직(任職)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어떤 사람인지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분명 그의 친구일 것으로 추정되는 사군(使君) 오랑의 「서루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고향으로 돌아가고파 하다(西樓望遠思歸)」는 시작에 화답한 화시(和詩)다. 시인은 누각 위에서 바라다 보이는 경물을 묘사하면서 가슴깊이 이는 환유 생활의 감회를 읊는가 하면, 회재불우(懷才不遇)함에 대한 원망과 실의 고독함에 대한 비애를 아울러 표현하였다.
시인은 당시 제주에 적거(居)하고 있으면서 애끓는 향수를 이기지 못하고 높은 누각에 올라 아득히 바라다보건만 고향 땅은 보이지 않고 망향의 애수만 끝없이 일어 실로 외롭고 슬픈 감회에 젖는다. 고향을 그리는 정이 너무도 애절한 탓에 간밤엔꿈속에서 머나먼 고향을 바라다보았건만 이제 생시(生時)엔 그저 수많은 타향의 집들을 ‘엿보며’ 탄식할 따름이다. - P238

이제 먼길 떠나는 그대를 전송하노라니
더욱 정다운 옛친구가 드물다 느껴지누나
수종(隨從)과 마부조차 고개 돌려보는데
전원의 오두막집엔 사립문 굳게 닫혔어라
집 나서면 으레 타향을 떠돌며 살 것이어니
중도에 두툼한 겨울옷을 마련해 입으소서
장강과 서한수 유역 풍류의 땅을 가며
나그네는 언제 어디서나 발길 돌려 올거나?

送君從此去 轉覺故人稀 徒御猶回首 田園方掩扉
出門當旅食 中路授寒衣 江漢風流地 遊人何歲歸
(「送崔九興宗遊蜀」)

이 시는 왕유가 촉(蜀) 땅으로 유랑 떠나는 최흥종을 송별하며 지은 것으로 달랠 길 없는 석별의 정을 표현하였는데, 온후한 인정이 전편에 가득하다. 시인은 먼저 무한한 고적함에 대한 비애를 토로하고 있는데, 흘러가는 세월 속에 마음이 통하는 벗들이 다 떠나고 서로 우정을 나눌 만한 사람도 얼마 남지 않았건만 이제 최흥종이 또 입촉길에 오르려 하니, 애달프기 그지없다. - P258

비낀 석양빛 촌락을 비출 제
구석진 골목으로 소와 양들 돌아오고
시골 노인은 목동이 걱정스러워
지팡이 짚고 사립문 앞에서 기다린다
장끼 울며 보리 이삭 패고
누에 잠들며 뽕잎도 드문데
농부들 호미 메고 돌아오다간
서로 만나 얘기 나누며 헤어지기 아쉽구나 - P294

이를 바라보며 한가롭고 편안함이 부러워
서글픈 마음으로 「식미」시(詩)를 읊조린다

斜光照墟落 窮巷牛羊歸 野老念牧童 倚杖候荊扉
雉雊麥苗秀 蠶眠桑葉稀 田夫荷鋤至 相見語依依
卽此羨閒逸 悵然吟式微

이 시는 왕유가 초여름 해 저물녘의 농촌 풍경을 바라보며 느끼는 농가의 한일(閑逸)한 삶에 대한 부러움과 하루빨리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으로 돌아가 은거하고픈 소망을 표현한 것이다.
작품은 전편에 걸쳐 전원 생활에 대한 찬미와 동경의 정을 표현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어 농촌의 경물과 농민의 생활이 모두 순박하고 청신함을 물씬 풍긴다. 석양이 지는 강촌에 저만치 소와 양들이 돌아오고, 사립문 앞 노인의 걱정스러우면서도 애정어린 눈길은 멀리 목동을 향한다. 올해도 보리와 양잠의 풍성한 수확이 기대되는 가운데 농부들은 귀가 길에 서로 만나 정담을 나누느라 해 저무는 줄 모른다. 이렇듯 한가롭고 평온하며 안일한 농가의 삶은 바로 시인이 평소 한없이 선망하고 추구하던 바다. 그러므로 그는 "이를 바라보며 한가롭고 편안함이 부러워/서글픈 마음으로 「식미」시를 읊조린다"는 말로 귀전(歸田)은거의 간절한 소망을 토로하였다. - P29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12-05 20: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꼬마요정님, 올해의 서재의 달인 축하드립니다.
따뜻한 연말 좋은 시간 보내세요.^^

꼬마요정 2023-12-05 23:01   좋아요 2 | URL
서니데이 님 따뜻한 말씀 고맙습니다.
따뜻하고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

서니데이 2023-12-09 21: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꼬마요정님 즐거운 주말 보내시고 좋은 밤 되세요.^^

꼬마요정 2023-12-10 10:07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 님도 행복하고 따뜻한 주말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불타는 작품
윤고은 지음 / 은행나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이란 무엇일까. 언제부터 예술은 '돈'이 되었을까. 누군가의 재능이 '돈'이 되는 결과는 당연하다 싶으면서도 씁쓸한 이유는 무엇일까. 작품 그 자체가 아니라 화가가 나이가 많은지, 이미 작품이 많은지, 여자인지 이런 조건들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것 때문일까. 


안이지는 그림을 그리지만, 안이지의 주변 친구들도 그림을 그리지만 팬데믹 등 주변 환경이 그들을 내버려두지 않았다. 하나 둘씩 그림 그리는 일을 접고 다른 일을 할 때, 안이지는 두려웠다. 그림을 그리는 그 자체마저 잊어버리게 될까봐. 


안이지란 이름은 신기하다. 'not easy'로 보이기도 하고 '아니지'라고 읽고 싶기도 하고. 모두가 '맞다'고 할 때 혼자 '아니다'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일까. 그런 사람이 자신의 앞에 놓여진 상황 때문에 끊임없이 자기검열을 하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로버트 재단에서 안이지 작가를 후원하기로 했으면서 로스앤젤레스 공항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정확히는 다른 사람을 데려간 것은 재단의 잘못이다. 거기다 안이지는 혼자 버려져서 겨우 허름한 호텔 하나 잡고 재단에 연락했으나 재단은 담당자가 없다는 이유로 계속 그녀를 방치했다. 로스앤젤레스는 사상 초유의 산불로 교통도 막히고 물자도 부족하고 공기도 매캐했다. 이런 상황에서 안이지는 재단 측 사람이 오는 것을 기다리기보다 재단으로 직접 가기를 결정했다. 이런 실행력이 있는 사람인데, 재단은 안이지에게 왜 재단을 기다리지 않고 급하게 왔는지, 왜 말을 안 들었는지 무례하다며 질책했다. 재단의 실수를 지적당하니 실수를 지적한 사람을 탓하다니. 아니, 이건 재단 책임이라고!! 재단이 한국인 작가와의 첫 계약이라고 하니, 아마 한국인의 특성을 잘 몰랐던 것 같기도 하지만 어쨌든 난처한 상황을 스스로 헤쳐 나온 사람을 탓하다니. 하지만 안이지는 낯선 곳에서 황당한 일을 겪으며 자기 자신을 검열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을 의심하고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상황은 이상하다. 이상한 건 이 뿐만이 아니다. 


로버트 재단은 로버트라는 이름을 가진 개 앞으로 떨어진 유산으로 만들어진 재단이다. 부자였던 발트만 회장이 자신의 딸 리나를 찍은 로버트에게 유산을 남겼고, 여러가지 규칙 속에서 재단은 운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쯤되면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로버트'는 몇 살까지 살지?


로버트는 힙하고 로버트가 좋아요를 누른 예술가는 대스타가 된다. 갖가지 소문에도 로버트 재단은 돈과 명예를 거머쥐고 있었고, 많은 작가들을 배출했다. 그 유명세는 창작 기간 동안 후원한 예술가의 작품 중 하나를 기간 마지막 날 불태우는 의식 때문에 생긴 것이기도 했다. 예술가가 혼신의 힘을 다해 만든 작품을 불태워야만 그 가치가 올라가는 이상한 상황...


이는 점 하나 찍어놓고 평론가들이 의미를 부여하며 좋은 작품이라고 하면 비싸게 팔리는 것과 다를 게 없어보인다. 불태운 작품은 더 이상 볼 수도, 판단할 수도 없다. 하지만 가장 값어치가 나가는 작품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로버트 재단이 누리는 막강한 부와 권력, 재단이 두르고 있는 권위는 계속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그 안에 가장 핵심인 개 로버트는 '개 같지' 않아야 하고, 그 '개 같지 않음'을 유지하기 위해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아니 애초에 그 '개 같지 않음'이 존재하기나 했을까.


발트만과 로버트의 두 시계는 불공평했다. 한 쪽이 물구나무를 서야만 같아지니까. 누군가가 희생을 해야만 하는 구조는 슬펐다. 자신의 슬픔과 체면에 매몰되어 자신의 시선으로만 물건을 해석하게 하는 건 폭력이지 않을까. 가진 게 많다는 이유만으로 그럴 권리는 없으니까.


안이지는 역시 대단했다. 자기검열 끝에 자기 자신을 찾았다, 그림을 사랑하는 자신을. 이런 재능이 알려질 기회가 없어 묻혀버리는 경우는 아주 많을테다. 세상은 불공평하고, 그래서 기회를 잡기 위해 불의에 눈 감는 것일지도 모른다. 


아, 결국은 다 뻥이고, 다 똥이었어. 내가 대단하다 여기는 것들이 다 허상일지도 모르지. 멀리서 보면 커다란 것이 사실은 실제가 아닌 그림자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예술을 사랑하고, 그 똥마저 사랑하는 마음은 허상이 아니라 진실이었다. 그 마음이 있다면 여전히 예술은 무엇인가란 질문이 유효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 마음이 예술을 예술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닐까. 

서재에는 발트만과 로버트가 전시 관람 후 만들어둔 흔적이 놓여 있었다. 아날로그 시계 두 개가 나란히 붙어있는 흔적. 얼핏 보면 같은 시간을 가리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하나는 3시, 다른 하나는 9시 30분. 그럼에도 두 시계가 같은 각도로 보이는 건 둘 중 하나가 물구나무를 서고 있기 때문이었다. 기사에서 읽었던, 바로 그 시계 작품이었다. 오래 전 발트만을 울렸던 로버트의 마음. 내가 기사에서 읽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샘이 얘기해줬는데 지금은 뒤에 배터리가 빠져 있다고 했다. 발트만이 배터리를 빼냈고, 그 두 시계는 영원히 같은 시간을 가리키는 사물로 남게 됐다. - P150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12-04 10: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이거 너무 읽어보고 싶네요?! (또 산다..)

꼬마요정 2023-12-04 11:06   좋아요 0 | URL
재밌게 읽었어요. 영상화 되면 안이지가 작품 만드는 과정이 재미있을 것 같아요 ㅋㅋ 제가 상상력이 부족해서 상상이 잘 안 가서 궁금하긴 하네요.

나와같다면 2023-12-05 00: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꼬마요정닝 서재의 달인 선정되심 축하드립니다. 항상 좋은 글 감사히 잘 읽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꼬마요정 2023-12-05 23:02   좋아요 1 | URL
나와같다면 님 고맙습니다. 저도 항상 좋은 글 감탄하며 읽고 있습니다. 문제의식을 잘 표현해주셔서 같이 공감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연말 행복하게 보내세요^^
 
망각의 도시 - 지금 여기의 두려움이
김동식 외 지음 / 현대문학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여기 이 곳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충분히 공감할 만한 무서운 이야기이다. 


제일 안전해야 하고 편안해야 할 곳인 '집'이 삶을 망가뜨리고 만다. 집값이 무엇이길래, 층간소음이 무엇이길래, 전세사기가 무엇이길래 사람을 나락으로 떨어트리는가. 무서운 것은 선량하던 사람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변해간다는 사실이다. 그들 스스로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폭력적이고 이기적으로 변해간다.


가사노동의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 복잡한 도시와 몰락한 시골의 간극은 어떻게 메울 수 있을까, 모든 것에 흥미를 가지다가 갑자기 그 흥미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자살하면 내일 출근을 안 해도 될까.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거나 경쟁에 뒤쳐져서 도태될까 두려운 사람들이 많다. 먹고 살기 위해 일을 해야 하고, 그 일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결국 좋아하던 것도 잃어버리고 모든 것을 포기하게 되는 과정이 끔찍하다. 삶의 방식은 살아있는 모든 사람의 수만큼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못한다. 누군가의 희생이 있어야 하고 누군가를 밟고 올라가야 한다. 결국 희생되고 밟힌 자가 대부분인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임신은 위대한 일이다. 하지만 임신한 여성의 몸은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이는 당연히 두려울 수 있고 심지어 위험할 수도 있다. 그런 여성의 몸에 대해 사회는 어떤 시선을 보내는가. 자신은 없어지고 오로지 아기 주머니가 된 것 같은 기분을 '모성애'라는 단어로 억눌러 죄책감을 느끼게 하고, 출산을 위한 희생을 당연시하지는 않는가.


이 망각의 도시에는 기이한 존재들도 등장한다. 제방에 박힌 억울하게 죽은 민초들을 도깨비불로 말하기도 하고, 오히려 삶을 응원하는 자살귀도 있고, 영화 <매트릭스>처럼 붉은 은하와 백색 은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종용하는 외계인도 있다. 나와 그들은 어떻게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하나가 되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리고 너무나 명확하게 공포가 드러나는 인간의 범죄가 있다. 어떤 이유에서든 폭력과 살인은 무섭다. 그 이유가 유희든, 돈이든, 복수든, 그 무엇이든 간에. 결국은 인간이 제일 무섭다. 우리는 그런 세상에서 살고 있다. 외로움과 고독, 소외로부터 자신을 방어하지 못하면 결국 먹혀버릴지도 모를 무시무시한 세상에. 그리고 그런 이들의 두려움을 망각한 도시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