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에어>에서 불길한 악역 겸 장애물로만 등장했다가, 진 리스의 재해석과 페미니즘 비평가의 저서를 통해 유명해진 "다락방의 미친 여자"는 남성우월적 사회에서 여성이 당하는 유폐를 상징하는 한편, 지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자립이 가능했던 '신여성'과 상반되는 '구여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근대 사회에서 여성의 교육 기회가 늘어나면서 배출된 신여성은 전통적인 가치관에 순응하는 구여성과 갈등을 빚게 되었는데, 당시의 가부장적/남성우월적 사회 구조에서 양측의 갈등이 고조된 원인은 당연히 남성의 이기적이고 이중적인 태도이지만, 신여성 역시 일면 동조한 탓이 없지 않았다.
대표적인 문제점이 중혼이었는데, 이미 구여성과 결혼한 지식인 남성이 신여성과 재혼하는 경우가 그러했다. 중국의 경우에는 루쉰이 본처를 내버리고 제자인 쉬광핑과 중혼해서 아이까지 두는 바람에 두고두고 비난을 받았던 것이 그러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이런 사례는 여럿 찾아볼 수 있었다.
구여성이 일방적으로 소박맞은 억울한 피해자였던 반면, 신여성은 제아무리 사회적 억압과 상황적 한계를 탓하더라도 사실상의 가해자, 또는 최소한 공범자가 된 셈이었다. 이혼을 꺼렸던 사회 통념상 신여성 애인의 권리는 부정되었던 반면, 구여성 본처의 권리는 보장되었던 셈이니 꽤나 역설적이다.
영문학자 나영균의 회고에는 그 시대 신여성과 구여성의 운명을 보여주는 "구석방 고모"와 "익선동 아주머니"의 사례가 등장한다. 전자는 당연히 그의 고모 나혜석인데, 생전에는 대표적인 신여성이었고 사후에는 페미니즘의 원조 격으로 추앙되지만, 말년에는 오빠네 집 구석방 신세를 면하지 못했다.
이혼 후에 나이가 들며 생계가 막막해지자 정기적으로 오빠 집에 찾아왔는데, 나영균의 회고에 따르면 어느 날 하교 중에 웬 거지가 앞에 걸어가고 동네 아이들이 뒤에 따라가는 모습을 보고 희한하다 생각하던 차에, 그 거지가 자기네 집으로 들어가기에 질겁해서 뒤따라가 보니 자기 고모였다 한다.
그래서인지 조카는 구석방 고모 옆에 가까이 가지 않았고, 거지꼴을 하고 찾아온 시누이를 씻기고 먹이고 재우는 일은 물론이고 당장 나가라고 호통치는 남편/오빠까지 달래는 일도 그 어머니가 전담했다고 한다. 그랬던 구석방 고모가 지금은 위인 취급을 받으니 조카의 심정도 상당히 묘할 법하다.
흥미로운 점은 이렇게 말년이 신여성의 불운을 체화한 것처럼 보이는 나혜석도 젊은 시절에는 구여성을 울린 가해자였다는 점이다. 첫사랑 상대 역시 구여성과 결혼한 유부남이라서 여차 하면 중혼까지 갈 뻔한 상황에서, 그가 사망하며 나혜석이 다른 남자를 선택해 그 유명한 결혼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구여성을 울린 전력은 나혜석의 올케, 즉 나영균의 어머니도 마찬가지다. 이쪽도 가정이 있는 남자와 중혼해서 자녀를 낳은 신여성이기 때문이다. 딸의 회고에 따르면, 학교에 다니게 되어 가족 증명서를 떼어야 하는 상황이 오자 부모가 뒤늦게야 그런 사실을 알려주어 충격을 받았다고 전한다.
알고 보니 나영균의 아버지는 본처와의 결혼을 원치 않아 첫날밤부터 동침을 거부한 끝에 별거하게 되었으며, 당황한 집안에서는 이혼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종의 대안으로 익선동의 집을 사줘서 새색시 혼자 살아가게 했다는 것이다. 그나마 돈이라도 있는 집안이었으니 가능했던 일이 아니었을까.
결국 생모가 측실 취급을 받으면서 나영균도 호적상으로는 아버지의 본처인 "익선동 아주머니"의 딸로 되어 있었던 것인데, 이건 예전부터 드물지 않은 일이었다. 역사학자 김기협의 생부 김성칠과 생모 이남덕 역시 중혼 상태에서 호적이 꼬이는 바람에 이후로도 가족 간에 갈등이 있었던 모양이다.
본처도 딱한 사람이니 가끔 찾아가서 안부라도 전하라는 아버지의 말에 몇 번인가 그렇게 했던 나영균은 "익선동 아주머니"의 초라한 행색이며 무지한 언행에 실망한다. 급기야 결혼을 원망하며 자살까지 입에 올렸던 아버지의 심정이 이해된다고 말하지만, 소박맞은 본처 역시 억울하기는 매한가지다.
이쯤 되면 아무리 '사빠죄아'라는 논리를 들이대더라도, 위와 같은 사례들에서 신여성이 구여성에게 피해를 입힌 것은 엄연한 사실로 보인다. 공동 피해자인 신여성과 구여성이 합심하여 문제의 원인인 남자를 붙잡아다 거세하는 사이다 듬뿍 자매애 뿜뿜 결말 대신 서로를 원망하기 바빴던 셈이다.
물론 가장 큰 문제는 남자 쪽이다. 어떤 면에서는 축첩제가 잔존하는 상황에서 자유 연애를 편리한 핑계로서 악용했던 셈이니까. 자기도 친구들처럼 신여성을 만나고 싶었지만 구여성인 본처가 겪을 고생을 생각하니 단념할 수밖에 없었다는 국어학자 이희승의 회고만 봐도 그 비윤리성을 알 수 있다.
제인 에어가 로체스터의 중혼 공범이라면, 신여성도 사실상 마찬가지이다. 그나마 제인은 중혼 사실을 미처 몰랐다는 변명이라도 할 수 있겠지만, 신여성은 대부분 그런 사실을 아는 상태에서도 기꺼이 받아들인 경우이기 때문이다. 자기 표현이며 시대와의 불화도 좋지만 도덕적으로는 문제가 아닐까.
그나마 자기 표현인지 변명인지가 가능했던 신여성 "구석방 고모"는 훗날 재평가라도 받아내는 반면, 그마저도 불가능해 속을 끓였을 법한 구여성 "익선동 아주머니"에 대해서는 아무도 두둔하거나 기억하지 않으니, 이것도 아이러니한 일이다. 여자는 다 평등하지만, 어떤 여자는 더 평등했던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