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김훈 씨의 문장이 단정하고 간결하다는 이야기를 몇 번 들었었다. 책을 읽기 전에는 길이가 짧고 수사법 없이 단문으로 끝나는 문장을 상상했었다. 막상 책을 읽자 문장이 간결하다는 것이 아니라 글의 전개 방식 자체가 간결하다는 의미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설은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피난부터 가고, 남한산성에서 청나라 군대에 포위된 채 40여일을 보내야 했던 당시 조선의 상황을 설명해주지 않는다. 첫 페이지부터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와 조정은 부랴부랴 피난길에 나선다. 몇 페이지 지나면  왕은 남한산성에 도착해있고, 그 주위에 청나라 군대가 에워싼 풍경이 펼쳐진다. 그래도 남한산성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따라가다보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가 왕이 되었다는 것,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면서 조정 내에서 일어나는 혼란과 갈등, 무능한 조정과 관리들, 정묘호란으로 강화도에 피난 갔었던 일 등을 저절로 알게 된다. 
 

작가는 남한산성 안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 왜 명나라와 청나라의 교체기를 제대로 판단해서 지혜롭게 처신하지 못했느냐 라든지, 청나라가 쳐들어오기 전에 미리 대비를 못했느냐 같은 비난도 하지 않는다. 다만 남한산성 안에 갇혀서 버티자니 성안의 식량과 물품이 충분하지 않고, 맞서 싸우자니 군사가 없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그리고 그 상황 앞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무력해지고 좌절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하는지 보여줄 뿐이다. 그래서 독자들은 신하들의 논쟁 앞에서 무력한 인조나 끝까지 맞서 싸우자 주장하는 김상헌, 항복하고 화친을 맺자는 최명길, 이래저래 군사적 문제에 대해 무능한 영의정 김류, 그들을 조롱하는 일반 병사들 모두 연민의 눈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 소설에는 위기의 상황을 지혜와 용기로 헤쳐나가는 영웅이 없다. 왕이나 체찰사같은 감투만 썼을 뿐이지, 모두 막상 다가온 현실 앞에서 우왕좌왕하고 좌절하고 실패하는 그저 나같은 보통사람들 뿐이다. 그래서인지, 왕이 항복을 결정한 페이지부터 내내 울면서 책을 봤다. 그들이 느끼는 무력감과 좌절감 등을 왠지 알 것 같아서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삶은 나의 것이 되었다
전경린 지음 / 이가서 / 2003년 5월
품절


인생은 어찌해도 좋은 거야...그 상황에 충실할 수만 있다면. 괴로움이든 기쁨이든, 밖에서든 안에서든, 높은 곳이든 낮은 곳이든, 뜨거운 곳이든 차가운 곳이든...제대로 산다는 건 지금 자기에게 주어진 상황을 놓치지 않는 거야. 설혹 나쁜 시간이라 해도 그건 좋은 것을 선택한 것 못지 않은 의미가 있어. 삶의 모든 시간은 똑같이 삶의 기회니까.-148쪽

"내가 너희에게 희망하는 것은 최선의 학벌도 아니고 최선의 경제력도 아니며 최선의 성공도 아니다. 최선의 생...그건 스스로 감동할 수 있는 생이다.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는 깊고 풍요로운 정서의 힘과 강한 생명력과 삶 속에서 여행할 수 있는 자유롭고 발랄한 정신과 삶을 안정시킬 수 있는 윤통성있는 사색의 힘과 자립의 소박한 투지와 태연한 인내 같은 것...그리고 스스로 잘 알고 보살피는 자유롭고 평화로운 사람...말하자면, 나는 너희가 스스로에게 미소지을 수 있는 사람이기를 바란다."-155쪽

개성을 가지고 튀는 사람은 메우 빠르고 손쉽게 유형화되고 첫눈에 전모의 반이상이 노출된다. 그러나 평범함 사람은 좀처럼 규정되지 않는다. 투명인간처럼 평범함 속에 내면을 잠적시키는 좀 음험한 고수들...-200쪽

경허 스님이 술을 좋아해서 즐겨 마셨다고 한다. 어느날 술을 마시며 파전을 맛나게 먹었던 모양이다.
그것을 보던 다른 스님이 은근히 나무라며 자신의 무심함을 자랑삼아 말했다.
"여보게 경허, 나는 파전이 있으면 먹고, 없으면 또 그만이라네. 자네는 어떤가?"
"나는 파전이 먹고 싶으면, 장에 가서 파씨를 구해다가 땅을 갈아서 씨를 뿌리고 한 철을 키워서 파가 자라면 밀가루와 잘 버무려서 이렇게 맛나게 부쳐 먹는다네."
그러자 스님은 경허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20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일럿 피쉬
오오사키 요시오 지음, 김해용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물고기 똥에 있는 암모니아는 '니트로 소모나스'라는 박테리아가 아질산으로 바꾼다. 아질산은 '니트로벡터'라는 박테리아가 질산염으로 바꾸는데, 질산염은 물고기에게는 무해하면서 수초의 영양분이 되는 물질이다.

파일럿 피쉬의 똥에는 '니트로 소모나스', '니트로벡터'가 좋은 비율로 존재해서, 물고기를 키우는 사람들은 실제 키울 물고기를 수조에 넣기 전에 파일럿 피쉬를 넣어 박테리아가 좋은 비율로 있는 생태계를 만든다고 한다. 이후 진짜 물고기를 수조에 키우고 파일럿 피쉬는 대부분 버려진다.

소설 속에는 파일럿 피쉬같은 이들이 몇명 등장한다. 사회성과 적극성이 떨어지는 주인공을 인정해주고, 받아들여주며, 주인공이 충분히 성장한 뒤에는 죽거나 사라지는 이들. 첫 여자친구인 유키코, 문인 출판사의 사와이씨, 아르바이트했던 록카페 주인인 와타나베씨와 그의 딸인 가나.

우리의 삶에 파일럿 피쉬같은 이들이 있나?

그런 이들이 있대도 소설은, 그들을 기억해야 한다거나 버리면 안된다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역할이 끝나 떠나가는 이들을 그냥 떠나보낸다. 다만 기억은 절대 지워지지 않는다고 이야기할 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月江 2009-03-03 1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제가 하고픈 말을 간략하게 너무 잘 설명해놓으셨달까요..
역할이 끝나 떠나가는 이들을 그냥 떠나보낸다는것..
다만 기억은 절대 지워지지 않는다고.
 
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품절


"위녕, 세상에 좋은 결정인지 아닌지 미리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다만, 어떤 결정을 했으면 그게 좋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게 노력하는 일이야."-17쪽

"쉽게 이해하고 용서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라구. 그건 미움보다 더 나빠. 진실이 스스로를 드러낼 시간을 자꾸만 뒤로 미루어서 우리에게 진정한 용기를 빼앗아갈 수 있으니까."-57쪽

"그거는...그거는 위녕, 결혼을 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 얼마나 자신으로 살아가는가의 문제야. 그러니까...결혼을 하고 안하고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얼마나 지키고 사랑하고 존중하는가의 문제라니까..."-77쪽

어떤 작가가 말했어.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는 반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힘이 있다. 우리의 성장과 행복은 그 반응에 달려 있다."
그래서 영어의 responsible이라는 것은 response-able이라는 거야. 우리는 반응하기 전에 잠깐 숨을 한번 들이 쉬고 천천히 생각해야 해. 이 일은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지만, 나는 이 일에 내 의지대로 반응할 자유가 있다, 고.-1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18살, 19살 위녕이 바라본 엄마의 모습이 그려진다. 3번 이혼해서 각각 성이 다른 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아이들 이름이 각각 위녕, 둥빈, 제재다-소설가로 유명한 엄마...

첫 남편은 동화를 쓰는 사람인데 성격 차이와 아내만 일이 잘되고 남편은 일이 잘 안풀리는 것에 대한 갈등으로 이혼했고, 두번째 남편은 영화 감독인데 엄마의 돈을 가져다 영화를 만들었는데 잘 안된 모양이고, 마지막 남편은 의사였던 것 같은데 엄마를 때린 모양이다. 일단 누군가가 이혼을 몇 번 했느니 하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사생활인만큼 제삼자가 왈가왈부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

공지영 씨는 자신이 세 번 이혼했고 성이 각기 다른 세 아이를 키우고 살지만 나름 행복하고 즐겁고 당당하게 열심히 살고 있다 이야기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아직 자신의 상황을 거리를 두며 객관적으로 담담하게 그릴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예를 들면 위녕이 그리는 엄마는 미화되고 긍정된다. 어린 시절 엄마의 결핍, 새엄마의 존재, 새엄마와의 갈등에서 아빠의 불신 등이 위녕에게 남긴 상처는 클텐데, 특이하게 위녕은 아빠에게만 상처의 날을 세울 뿐 엄마에겐 관대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위녕이 보이는 아빠에 대한 태도는 공지영 씨의 전남편에 대한 감정이 투사되어 나타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니면 실제 딸은 공지영씨가 계속 키워서 딸에게 엄마의 결킵과 관련된 상처가 없는 것일 수도 있겠다. 비슷한 맥락에서 고양이 코코가 죽는 장면도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 있다.

작가가 좀 더 시간이 흐른 뒤 같은 주제로 글을 쓴다면 더 좋은 글이 나올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