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베토벤 현악4중주곡 15번 a단조 op.132  

 

> 베토벤이 청년기부터 생을 마치기까지 힘을 쏟았던 장르 가운데 하나가 <현악사중주> 이다. 모두 16곡이지만 처음에는 <13번 Bb 장조 Op.130> 의 마지막 악장에 붙어 있다가 나중에 단악장 형태로 따로 떼어지게 되어 출판이 이뤄진, <op.133번 "대푸가"> 를 포함해 17곡이라고도 볼 수 있다. 베토벤이 남긴 <현악사중주> 작품들은 베토벤이 구축한, 거대한 건축물의 한 축이 되는 것으로 그의 작품뿐만 아니라 서양고전음악의 실내악 분야에서도 높은 가치를 지닌 것들이다. 하이든과 모차르트라는 위대한 선배들이 남긴 유산 위에 베토벤은 자신만의, 앞으로 언제까지나 생명력을 발휘할 작품들을 남겼다. 그의 생애, 음악적 변화에 따른 작품의 변화도 찾아볼 수 있다. 많은 이들이 베토벤의 음악적 정수를 <현악사중주>에 두고 있으며 특별히 후기에 완성한 작품들은 매우 깊은 예술혼을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3악장에 베토벤 자신이 <병에서 회복한 이가 신에게 바치는 성스러운 감사의 노래> 라 적어 넣어 널리 알려진, 현악사중주 15번 a단조 op.132 는 갈리친 공을 위해 만든 곡이며 당시 병으로 고생하고 있다가 회복한 베토벤의 심정이 담긴 곡으로도 볼 수 있다. 다채로우면서도 폭과 깊이를 가늠하기 힘든 내면의 모습들이 담겨 있다. 곡은 5악장 구성이며 1825년 슈판치히 4중주단이 초연하였다.
  

  

 

  

 

 

 

 

 

> 1악장 아사이 소스테누토, 소나타 형식. 첼로가 저음에서 고음으로 다소 무겁게 곡을 리드하며 빠른 진행으로 1주제를 연주한다. 이어 2주제로 이어지고 클라이맥스로 악장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2악장은 알레그로 마 논 탄토. 스케르초 악장이며 밝은 느낌이다. 3부 형식으로 이뤄져 있다. 이어 유명한 3악장 몰토 아다지오로 이어지는데 감사의 노래답게 간결하지만, 진심이 듬뿍 담긴 느낌을 담고 있다. 이어 기쁨에 차 있는 듯한 리듬이 나오고 다시 숭고한 느낌의 코다로 마무리가 이어진다. 3악장의 아름다우면서도 숭고한 노래가 끝나면 행진곡풍의 4악장으로 이어지고 끝으로 론도 소나타 형식의 5악장이 등장한다. 힘찬 열정이 느껴지며 꽉 찬 흐름 속에 에너지가 가득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Top 추천 

 

Takacs Quartet
2004, DECCA

 

 

2004년 녹음이 이뤄진, 탁월한 음질로 베토벤의 후기 현악 사중주를 감상하기에 좋은 세트이다. 타카시의 베토벤 현악 사중주는 강렬하지만, 너무 경박스럽지 않으며 직선적으로 파고들지만 그렇다고 좌불안석을 만들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녹음이 이전에 이뤄진, 흔히 이 곡에서 명연이라 일컬어지는 부슈, 이탈리안, 아마데우스 현악 사중주단의 연주와는 또 다른 느낌을 전해준다. 전반적으로 생생함과 프레이징의 끝처리가 활력이 깃든 연주로 또 다른 명연주를 남긴 린지, 알반베르크와 함께 최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펭귄가이드  ***

 Alban Berg Quartett
 1989, EMI

 

 

 

 

 러프가이드 추천반 

 Emerson String Quartet
 1994, 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8.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c# 단조 op.27-2 <월광>

 

> 주로 인정받고 있는 갯수만을 정리해보면, 베토벤은 피아노 소나타를 모두 32곡 남겼다. 한스 폰 뵐로가 '음악의 신약성서' 라 비유하기도 했던 이 작품들은 베토벤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서양 고전 음악사에서도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이든, 모차르트 등의 선배들의 영향에서 벗어나 베토벤만의 새로운 틀을 보여줌으로써 이후 작곡가들에 많은 영향을 준 작품이며 후기의 <하머클라비어>와 같은 곡은 그 규모에서 교향곡과도 맞먹는다는 평도 있다. 그의 현악 사중주와 함께 평생에 걸쳐 만든 작품이며 많은 피아니스트가 꾸준히 연주, 녹음하고 있는 곡이다.


이 작품들 가운데 널리 알려진 곡을 꼽자면 8번 <비창>, 14번 <월광>, 17번 <템페스트>, 21번 <발트슈타인>, 23번 <열정>, 26번 <고별> 29번 <하머클라비어>, 그리고 30-32번의 소나타들이다. 그 가운데 렐슈타프(Ludwig Rleestab)가 곡의 1악장을 듣고 느낌을 얘기한 것이 발단이 되어 이름이 붙여진 <월광>은 누구나 들어봤을만한 음악이다. 베토벤이 처음 이름 붙인 제목처럼 환상적이며 부드럽고, 그러면서도 3악장의 격렬함을 갖춘 명곡이다. 이 곡은 자신이 피아노를 가르치기도 한 소녀, 줄리에따 귀차르디 (Giulietta Guicciardi)에게 헌정하였다.  

 

 

 

 

 

>1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1악장은 셋잇단음표로 이어지는 악구에 의한 환상성이 묻어나는, 비교적 단순함을 지닌 3부 형식이다. 서주 후 1주제가 나타나며 이후에는 1주제와 유사한 부분이 되풀이된다. 2악장 알레그레토는 1악장의 느리고 조용한 부분과는 다른 분위기로 한결 밝은 느낌이 묻어난다. 이어 3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펼침화음으로 대담하게 시작이 이뤄지며 이어 선율미가 돋보이는 2주제가 등장한다. 다시 재현부로 돌아가 1주제로 이어지고 카덴차를 거쳐 곡은 강하게 마무리가 이뤄진다.

 

* Top 추천 

Wilhelm Kempff (piano)
1965, DG

 

 

 

 

독일의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 (Wilhelm Walter Friedrich Kempff / 25 November, 1895 - 23 May, 1991) 는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등 정통 독일 레파토리에서 매우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피아니스트이다. 화려하고 치밀한 음악을 만들어내거나 전달해주는 연주자는 아니다. 그러나 그의 손 끝에서 전해져 오는 음악은 언뜻 단조로워 보이지만, 깊게 숨겨진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으며 자신을 드러내기 보다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느낌들을 우리에게 전달해 준다. 이 유명한 곡의 음반은 우열을 가리기 힘든, 꽤 많은 레코딩이 나와 있는데 빌헬름 켐프의 연주 또한 정갈하고 차분한 느낌의 연주로 추천받을 만하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2006, DECCA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1999, EMI

 

  

 

 러프가이드 추천반

 1991, 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7.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번 A장조 op.47 <크로이처>

 

>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모두 10곡이 있다. 10곡은 모두 대략 1798년부터 1812년까지 작곡이 이뤄졌고 많은 작품을 초기에 작곡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코렐리, 바흐, 그리고 모차르트 등의 작품의 영향을 받아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였으며 피아노와 바이올린이라는 두 악기의 대등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이후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의 낭만파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그의 작품 가운데 5번 F장조 <봄; Spring(Fruhling)>과 함께 가장 유명한 9번 A장조 <크로이처> 는 협주곡 풍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대등함, 외면의 화려함과 내면의 내밀함을 두루 갖추고 있는 명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베토벤은 브리지타워라는 영국 국적의 바이올리니스트에게 초연을 맡기려 하였으나 성격차이 탓에 작곡가이기도 한, 루돌프 크로이처(1766-1831)에게 초연을 맡겨 이 곡의 이름은 <크로이처>가 된 일화도 있다.  

  

 

 

> 1악장 아다지오, 3/4박. 서주가 있는 소나타형식으로 곡은 느리면서도 인상 깊은 바이올린의 선율로 시작한다. 이어 피아노가 이 선율을 반복하고 마치 서로 대화하듯 곡은 진행이 이뤄진다. 이어 2/2박의, 스타카토로 연주가 이뤄지는 1주제가 등장하며 이 주제가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전반적으로 활기에 찬 악장. 2악장은 우아한 주제와 4개의 변주로 이뤄진 곡으로 주제를 먼저 연주한 후 첫번째 변주는 피아노가 중심이 되고, 두번째 변주는 바이올린이 세번째와 네번째는 두 악기가 모두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끝으로 3악장은 소나타형식의 피날레. 경쾌하고 빠른 리듬으로 흐르는 악장이며 생기넘치며 쉴새 없이 도약하는 듯 모습을 보이는 악장이다. 중간 느리게 진행하는 부분도 찾아 볼 수 있으며 활발하게 곡을 진행하면서 끝을 맺는다.

   

 

* Top 추천  

Itzhak Perlman (violin)
Vladimir Ashkenazy (piano)
1973, DECCA

 

 

 

당연한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담고 있는 음반은 곡 모두를 담고 있는, 전집 형태나 <봄>, <크로이처> 등의 유명 곡 또는 개별 곡을 담고 있는 음반들로 나눠볼 수 있다. 전집은 3-4장의 음반에 담겨 있는데 전집 형태가 아닌 개별 음반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을 만나고 싶다면 이작 펄만과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가 DECCA에서 남긴 음반이 최적이다. 펄만의, 그야말로 귀에 감기는 연주와 아쉬케나지의 편안한 연주가 모여 누구에게나 어필할만한 음악을 만들어 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처음 접하기에 최상의 음반!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Gidon Kremer (violin)
Martha Argerich (piano)
1994, DG

  

  

 

 펭귄 가이드 ***

Takako Nishizaki (Violin)
Jeno Jando (Piano)
1989, Naxo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6. 베토벤 첼로 소나타 3번 A장조 op.69 

 

> 이 곡은 베토벤이 남긴 5곡의 첼로 소나타 가운데에서도 제일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그만큼 연주를 많이 하는 곡이다. 1807년 <교향곡 5번>을 작곡하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곡의 작곡을 착수하여 1808년에 완성하였다. 베토벤은 자신을 후원하기도 했던 글라이헨슈타인(Gleichenstein) 남작에게 이 곡을 헌정하였다. 밝은 느낌의 곡으로 첼로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선율의 주도하에 자연스럽게 곡의 전개가 이뤄지는데 음악세계사 베토벤편에 따르면 이는 이 시기 베토벤의 요제피네 폰 다임 백작 부인과의 사랑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고 한다. 복잡하지 않지만 명쾌하며 소나타라는 장르에서 첼로와 피아노 모두 넘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곡은 그의 생애를 3기로 나눈다고 했을 때 중기의 걸작 가운데 하나이며 첼로 소나타 는 장르에 있어서도 높은 위치에 닿아 있는 명곡이다.   

 

   

> 1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깊게 울리는 첼로의 1주제로 크고 넓은 느낌으로 시작한다. 이어 피아노는 이를 받아 진행하게 되고 이어 다양하게 변하고 클라이막스 이후 제시부가 등장한다. 재현부를 지나 1악장은 조용히 끝을 맺고 2악장 스케르초로 흐른다. 악장의 첫머리는 피아노 독주로 이루어지며 당김음의 진행이 나타난다. 이를 첼로가 이어 되풀이하며 A-B-A-B-A 형식의 2부분으로 흐른다. 1부 반복형식이 나타나고 첼로의 피치카토와 함께 여유 있는 2악장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3악장으로 이어져 우아하고 아름다운 선율의 짧은 마디의 서주가 흐른다. 이어 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흐르고 화려한 재현부를 거쳐 곡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 Top 추천 

Mstislav Rostropovich (cello)
Sviatoslav Richter(piano)
1961, Philips 

 

 

 

Pierre Fournier (Cello)
Wilhelm Kempff (Piano)
1965, DG

  

  

 

Adrian Brendel (cello)
Alfred Brendel (piano)
2003, Philips 

 

 

 

많은 이들이 흔히 이 곡의 명반으로 꼽는 음반은 필립스에서 발매한 스비야토슬라프 리히터 (pf.) 와 로스트로포비치 (Vc.) 의 1960년대 초반 레코딩일 것이다. 로스트로포비치의 선 굵은 첼로와 리히터의 터치는 섬세함이나 은은함보다는 강하고 힘찬 기운이 스며들어 있는 연주이다. 하지만 둘의, 호흡이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으며 음악에 집중하게 하는 강한 기운이 느껴진다. 다만 이 음반은 현재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데 차선으로는 켐프와 푸르니에(DG), 브렌델 부자 (Philips) 의 음반을 고려할만하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Miklos Perenyi (Vlc.)
Andras Schiff (Pf.)
2001, EC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5.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번은 1809년, 당시 나폴레옹이 빈으로 진격해 옴에 따라 혼란이 있었던 시기에 베토벤이 작곡한 곡으로서 한국, 일본 쪽이나 영미권에서는 주로 <황제> 라 부르기도 한다. (음악세계사 베토벤편 참조.) 이 <황제> 란 명칭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것이 아니지만, 곡의 느낌이 당당하고 위엄이 느껴지는 모습이 마치 세상의 많은 피아노 협주곡에서 황제와 같다는 면에서 후대 사람이 붙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름에 걸맞게 나약함은 찾아 볼 수 없고 당당하고 선 굵은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곡이다. 대담하게 1악장 첫머리에 화려한 카덴차를 넣고, 2-3악장을 긴밀히 연결하는 점, 종교적 숭고함과 뚜렷한 입체감의 관현악 등은 당시로써는 보다 대담하고도  새로운 것에 속하는 것이었다. 수많은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에서도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명곡 가운데 명곡.

  

   

 

 

 

 

>>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강한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이어 화려한 피아노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전반적으로 강한 흐름이 이어지고 스타카토 표현에 의한 다채로운 변화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는 클라이맥스로 흐름이 이어지며 경쾌하게 끝을 맺는다. 2악장, 아다지오는 자유로운 변주 형식으로 매우 유명하며 숭고함과 아름다움이 비할 바 없이 감동을 주는 악장이다. 여리고 느린 관악 반주에 이어 섬세한 피아노가 등장하여 맑고 깨끗한 연주를 이어간다. 이런 느낌의 노래를 이어가다가 3악장을 암시하고, 끊임없이 3악장 론도로 흐른다. 3악장 첫머리에서는 2악장 마지막에서 암시한 주제가 선명히 드러나며 서로 엮여 곡이 진행이 이뤄지다가 끝 부분에 팀파니의 조용한 울림 후에 화려하게 끝을 맺는다.

   

 

* Top 추천 

  

  
Stephen Kovacevich (piano)
Sir Colin Davis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1969, Philips

 

필립스 레이블에서 콜린 데이비스와 스테판 코바세비치가 남긴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은 안정된 오케스트라의 흐름 속에서 어느 한 쪽으로 쏠려 있지 않으면서도 과격하지 않게 <황제> 가 지니고 있는 당당함과 서정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칫 도입부부터 과격하게 진행하거나 2악장에 너무 많은 감정을 실어서 전체적인 조형미가 깨질 위험이 있는 곡이지만 많은 추천을 받는 연주와 함께 독주자와 오케스트라 모두 적절한 힘과 여유를 보여주고 있다. 낱장음반으로는 듀오시리즈가 있고 피아노 소나타가 담긴 박스셑으로도 유통이 이뤄지고 있다. 처음 이 곡에 다가서기에 여러 면에서 만족스런 답을 얻을 만한 음반.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선정반

  
Murray Perahia
Bernard Haitink (conductor)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1986, Sony 

  

 

 펭귄 가이드 **** & Key

   
Emil Gilels (piano)
Leopold Ludwig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1957, EMI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Alfred Brendel (piano)
Simon Rattle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88, Philips 

 

 

 

 

 

 


댓글(0) 먼댓글(3)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