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말러 : 1번 교향곡 (MAHLER : Symphony No. 1 in D major "Titan") 



> 말러의 작품은 교향곡(10곡)과 가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 10번 교향곡은 유작으로 남겨져 있다. 교향곡에 있어 말러가 남긴 작품의 특징은 서정성, 다양한 선율의 매력, 이와 함께 갖춰져 있는 구성의 탄탄한으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말러는 신앙심이 깊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로 인해 그의 작품에는 부활의 사상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1번 교향곡은 거인[Titan] 이라는 부제를 갖고 있다. 각 악장의 부제등을 살펴 보았을 때 많은 사람들은 이 곡을 젊은 청년들이 왕성한 기력과 혈기넘치는 모습으로 인생에 뛰어드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초연 당시 (1889년) 에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지금은 명곡으로 인정 받고 있는 곡이기도 하다.


>4/4박, 느린 템포로 시작하는 1악장은 [자연의 소리처럼] 이라고 적혀있다. 오보와 플룻, 바순이 서주를 알리는데 마치 먼 산에서 울려퍼지는 듯 하다. 이후 강렬하게 변하는데 마치 새벽을 지나 힘찬 아침의 분위기를 표현해내는 듯한 악장이다. [힘차게 움직여서] 라는 지시어가 적혀있는 2악장은 춤곡풍의 분위기가 돋보인다. 리듬감이 돋보이는 서두를 지나 다양하게 변한다. 콘트라베이스로 이뤄지는 저음의 노래가 인상적인 3악장을 지나 변화가 매우 많고, 여러 감정들을 느낄 수 있으며 끝으로 이어질 수록 힘차고 밝아지는 4악장이 이어진다. 1번 교향곡은  말러의 교향곡에 처음 발을 딛는다면 4, 5번과 함께 가장 쉽게 접근할 만하다. 
 

 

* Top 추천   



  

Rafael Kubelik (conductor)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DG, 1967


 

 

쿠벨릭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의 말러는 생기있고, 건강하다. 대신 아주 넓게 펼쳐진다거나 다이나믹이 극한까지 벌어지는 모습은 조금 덜하다고 느껴지는데 이는 어떤 단점으로 보기보다는 쿠벨릭의 말러가 갖고 있는 하나의 특성이라 보야야 할 것이다. DG Originals 로 출시가 이뤄져있는 저렴한 가격인데 1번을 듣고 싶은 사람(전집 구매를 아직은 미뤄두고 있다면.) 에게는 여러면에서 균형잡힌 연주로 추천할 만한 음반이라 할 수 있다. 
 


 

 
Jonathan Nott (conductor)
Bamberger Symphoniker
Tudor, 2005

 

 

  

최근 Tudor 에서 내 놓고 있는 노트의 말러에 대한 조용한(?)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말러의 교향곡들은 매우 변화가 많기 때문에 풍부한 표정과 함께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음악적인 전달도 함께 이뤄져야 하는데 이런 변에서 이 노트의 1번은 최상급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약간 분석적이라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곡의 후반부로 갈수록 노트와 밤베르크심포니의 표현이 나무보다는 산을 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SACD 에 담겨져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는 말러 1번이 가지는 매력을 한층 높여준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펭귄가이드 Key + **** 

Sir Georg Solti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Decca, 1964

  

 

 

 

 

 펭귄가이드 Key + ***  

Eugene Ormandy (conductor)
The Philadelphia Orchestra
RCA, 19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op. 74  "비창" (TCHAIKOVSKY : Symphony No. 6 in B minor op. 74 "Pathetique")



 

1893년 8월경 작곡이 이뤄져 차이코프스키가 사망하기 직전 초연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6번 교향곡 "비창(Pathetique)" 은 표제의 의미대로 전반적으로 어두움을 짙게 느낄 수 있는 곡이다. 차이코프스키가 남긴 곡 가운데 손에 꼽을 만큼 유명하고도 자주 연주가 이뤄지는 이 곡은, 그가 죽은 후 다시 연주했을 때 흐느껴 우는 청중이 있었을 정도로 곡 전반에 비탄과 격정적인 느낌이 흐르고 잇는 곡이기도 하다. 

  

 

1악장은 단단한 음색의 파곳이 마치 홀연히 차가운 음성을 전개하듯 시작한다. 조용하게 시작하다 이내 낙차큰 현악의 연주가 이어지는데 마치 무너져가는 꿈의 무대를 보듯 아름답게 허물어진다. 이어 현악기의 피치카토로 이어지는 2악장을 거쳐 조금 빠르게 전개가 이뤄지는 3악장에 이른다. 이어 1악장에 이어 더더욱 깊어지는 슬픔을 보여주는 듯한 4악장에 이르게 되는데 이를 드러내는 현악기의 무게감이 꽤나 크게 느껴진다. 타다 남은 재들이 바람에 사그라지듯 악장을 마감하는 모습은 이 곡이 가지고 있는 어두움의 명암을 더욱 깊게 만든다. 

 
 


* Top 추천
 



Mikhail Pletnev (conductor)
Russian National Orchestra
Virgin, 1991

 

 

플레트네프와 러시안 내셔널 오케스트라 (Russian National Orchestra) 가 Virgin 에서 남긴 음반으로서 군더더기 없는 깔끔함과 세련된 감각으로 곡의 분위기를 잘 살려내었다. 6번 교향곡은 4번이나 5번이 갖고 있는 강하고 선 굵은 맛이외에도 보다 깊은 느낌이 필요한데 그런면에서도 넘치지 않게 적절한 울림을 주고 있다. 현의 질감이나 관의 쓰임도 적절해서 전반적인 균형감이 뛰어난 음반이다. 함께 수록하고 있는 차이코프스키의 사계(플레느네프 독주)도 뛰어난 음반으로서 저렴한 가격에 훌륭한 연주들을 싣고 있는 음반이라고 하겠다. 
 

 

 

Evgeny Mravinsky (conductor)
Leningrad Philharmonic Orchestra
DG, 1960

 

 

오래전부터 차이코프스키 교향곡(4-6)번 모음집에서 꽤나 많은 애호가들의 지지를 받아온 므라빈스키와 레닌그라드 필하모닉의 연주도 "비창" 의 연주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 음반에서 므라빈스키는 무게감있고 다소 거칠게 진행하는데 어떤 정제되었다거나 안정감과는 조금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 대신 독특한 에너지로 곡의 핵심을 찌르듯 진행하며 날카롭게 내부로 파고드는 모습은 이 음반이 갖고 있는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다. 폭넓은 공간감속에 "비창" 의 곡이 가져다 주는 풍부한 느낌을 한껏 받을 수 있는 음반. 오리지널스로 재발매가 이뤄져 가격이 저렴해 진것도 장점.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펭귄가이드 Key & ****

Mariss Jansons (conductor)
Oslo Philharmonic Orchestra
Chandos, 1984

 

 

  

  

펭귄가이드 Key & ****

Valery Gergiev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Philips, 2004

 

 

 

  

 펭귄가이드 Key & ****

Wilhelm Furtwangler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EMI, 193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 쇼팽 피아노 1번 협주곡 e단조 op.11 (CHOPIN : Piano Concerto No. 1 in E minor op. 11) 

  

인류가 남기고 있는 모든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 가장 사랑 받는 작품 가운데 하나인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은 그가 스무살 무렵에 작곡한 곡이다. 그의 피아노 협주곡은 두 곡이 있는데 이 1번을 나중에 작곡했으나 출판은 먼저 이뤄졌다. 따라서 이 곡이 1번으로 나오게 되었는데 쇼팽이 파리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기 전의 작품으로 다소 구성력이 떨어지는 모습이 있다는 지적도 있긴 하지만 청년기의 대표작으로서 비할 바 없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곡이다. 



오케스트라의 튜티로 시작하며 단조로 시작하여 다소 비장감이 느껴지는 서두를 갖지만 전체적으로는 힘이 느껴지며 건강한 모습을 보이는 1악장, 로만체 (Romance) 라르게토 의 지시어가 붙어 있는, 단일 악장으로 발췌하여 따로 자주 연주가 이뤄지는 달빛의 느낌을 흠뻑 담은 2악장, 이내 발랄함을 찾으며 쇼팽 작품이 갖고 있는 즉흥성을 엿볼 수 있는 3악장으로 이뤄져 있다.  

 

* Top 추천 

  

  
Artur Rubinstein (piano)
Stanislaw Skrowaczewski (conductor)
New Symphony Orchestra of London
  

RCA, 1961 Stereo, Analog 


50년이 지난 연주 및 녹음이지만 루빈스타인이 연주한 쇼팽 피아노 협주곡 음반은 여전히 뛰어난 해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의 녹음보다는 약간 폭이 좁아 보이긴 하지만 전체적인 곡을 지배하는 힘이나 세밀함은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치 물 흐르는 듯한 유연함과 고요한 저녁의 달빛이 느껴지는 음색으로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의 묘미를 잘 표현해내고 있다. 
  

 

 

  
Krystian Zimerman (piano)
Krystian Zimerman (conductor)
Polish Festival Orchestra

DG, 1999/8 Stereo, Digital
 

동곡의 두번째 녹음(첫번째는 줄리니와의 협연) 이자, 비교적 최근의 녹음(1999년)으로서 다소 과도하거나, 자의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의 디스코그라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반이다. 완벽주의자 크리스티안 지메르만이 직접 오케스트라(Polish Festival Orchestra)를 지휘하며 연주하는 음반으로서 첫음절부터 다소 강한 색채감을 느낄 수 있다. 현의 끝처리이며 관의 울림등 지메르만의 해석으로 쇼팽을 들려주는 음반으로서 균형감보다는 어떤 새로운 느낌을 접할 수 있는 연주라 하겠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선정 & 펭귄가이드 Key

  
Martha Argerich (piano)
Charles Dutoit (conductor)
Orchestre Symphonique de Montreal

 EMI, 1998

 

 

 

 

펭귄가이드 Key & ****  
 

Yundi Li
Andrew Davis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DG, 2006 

 

 

 

  

죽기전에 들어야할 클래식 1001 선정 음반

   
Murray Perahia: piano
Zubin Mehta (conductor)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Sony, 198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차이코프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TCHAIKOVSKY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바이올린 협주곡 가운데에서 연주회에서 매우 자주 연주가 이뤄지는 이 곡은 열정적이고 눈부신 기교, 풍부하면서도 색채감 넘치는 오케스트라의 음향, 러시아의 지방색을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선율미가 가득한 곡이다. 처음 이 곡을 만들어 페테스부르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을 가르치던 레오폴트 아우어에게 바치려 했으나 연주불능이란 판정을 받았고 이후 아돌프 브로드스키(Adolph Brodsky)가 흥미를 갖고 연주를 하여 널리 알렸고 이후 레오폴트 아우어도 최초 자신의 견해를 철회하고 연주를 한 일화는 유명하다. 오늘날에 이르러 베토벤, 멘델스존, 브람스, 시벨리우스가 남긴 협주곡과 함께 가장 유명한, 명곡으로 널리 알려져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1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는 간결한 오케스트라의 서주로 시작한다. 짧은 서주 이후 달리는 듯한 진행이 나타나며 강렬한 바이올린 솔로가 등장한다. 이 부분은 처음 듣는 사람의 귀를 잡아 끄는 것으로 마치 노래하듯 진행하고 이후 강렬하게 곡을 이끌어 간다. 이후 따로 떼어내 다른 독주 악기용으로도 편곡하여 널리 연주가 이뤄지는 2악장, 칸초네타(Canzonetta) 로 이어지는데 마치 눈물을 뚝뚝 흘리는 듯 흐느끼는 듯한 바이올린의 노래가 매우 인상적이다. 끝으로 강렬한 시작과 함께 러시아 농민들의 춤을 보듯 쾌활하게 연주가 이뤄지는 3악장에 이르고 화려하게 끝을 맺는다. 
 






  

* Top 추천 음반 !  





  
David Oistrakh (violin)
Gennadi Rozhdestvensky (conductor)
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Melodiya,1968 / Stereo, Analog

 

 

 
1968년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Gennadi Rozhdestvensky) 와 함께 한 연주가 담긴 음반이다. 요즘은 이 난해한 곡을 아주 어린 나이의 뛰어난 학생들도 연주해낸다고는 하지만 이곡을 진지하고 집중력있게 연주할지는 의문이다.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영원히 남아 있을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의 연주에는 진지함, 집중력, 강한 힘, 날렵함등 모든 요소가 빠짐 없이 들어 있다. 약간 날카롭게 들리는 음질은 조금은 칼칼하게 들리는데 이는 연주를 듣는 데에 방해가 된다기 보다는 한층 생생하게 들린다. 
 



 

  
Julia Fischer (Violin)
Yakov Kreizberg (conductor)
Russian National Orchestra
 

Pentatone, 2006 /  Stereo, Digital

 

 

젊은 여성 바이올리니스트 가운데 힐러리 한과 함께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율리아 피셔가 비교적 최근(2006년 녹음) 만들어 낸 연주를 담은 음반이다. SACD 음질로 뛰어난 녹음을 자랑하고 있는 펜타톤 (Pentatone)레이블의 선명한 음질로 차이코프스키의 협주곡을 들을 수 있다. 날카로움이나 강렬함보다는 섬세하고 유연함이 돋보이는 연주로서 흐트러짐이 없다. 처음에는 조금 밋밋하게 들릴지라도 반복해서 듣다보면 그녀의 연주가 곳곳에서 매력을 발산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선명함과 투명함이 돋보이는 연주.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펭귄가이드 Key + ****  

 Vadim Repin (Violin)
Valery Gergiev
(conductor)
Kirov Orchesta, Mariinsky Theatre, St. Petersburg
Philips, 2000
 

  

 

  

펭귄가이드 Key + ****    

Kyung-Wha Chung (violin)
Andre Previn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Decca, 1970

 

 

  

  

그라모폰 에디터스 초이스 

  
Janine Jansen(violin)
Daniel Harding (conductor)
Mahler Chamber Orchestra
Decca, 200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 슈만 : 피아노 협주곡 op. 54 (SCHUMANN : Piano Concerto in A minor op. 54) 


 

손가락 부상으로 인해 작곡가로서 활동하게 된 슈만. 그가 남기고 있는 피아노 협주곡은 낭만파 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곡으로서 자유로운 환상성에 덧붙여진 내적인 아름다움으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어려운 기교를 요구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1847년 슈만의 지휘, 부인인 클라라의 연주로 초연이 이뤄졌다. 애초 따로 작곡한 것을 합쳐 만든 이 작품은 풍부하고도 엄격한 모습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당시 만들어진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에서도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1악장은 짧고도 강렬한, 피아노의 서주로 시작하고 이어 오보에가 애수어린 선율을 보여주며 곡을 전개한다. 변화가 많은 악장으로 중간 부분 클라리넷을 비롯한 목관악기의 노래가 인상적이다. 마치 파스텔화를 보는 듯, 자유로우면서도 아름다운 풍경을 보는 듯한 악장으로 전체적으로 목가적인 2악장을 지나 이어 다소 화려하면서도 극적인 인상을 주는 3악장으로 이어져 정열적인 슈만의 모습을 대변하는듯한 모습을 보이며 곡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 Top 추천 음반 ! 
 

 

Leif Ove Andsnes (Piano) / Mariss Jansons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EMI, 2002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은 중요한 작품으로서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연주, 녹음을 한 바 있다. 이 곡의 해석에 있어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슈만의 의도를 잘 표현해야 할텐데, 그 의도란 비르투오조적인 과시를 피하고 피아니스트로서 내적인 에너지를 표현하는 것이라 하겠다. 안스네스는 투명하고 내밀한 톤으로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시적이고도 우아한 감흥을 잘 표현해 내고 있다. 오케스트라를 지휘를 맡은 얀손스 또한 균형 잡힌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Stephen Kovacevich (piano) / Sir Colin Davis (conductor)
BBC Symphony Orchestra 

Philips, 1970

  


이 전통적인 명연으로 불리는, 피아니스트 코바세비치와 지휘자 콜린데이비스가 필립스에서 남긴 연주가 담긴 음반이다. 진폭이 크지 않은, 안정적이고 윤기 있는 연주로서 슈만의 협주곡을 들려주고 있다. 안스네스가 다소 깔끔하게 작품에 접근하고 있다면 코바세비치는 보다 풍부한 느낌을 주면서도 정돈된 이미지의 연주를 들려준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선정음반

  
Sviatoslav Richter
Witold Rowicki (conductor)
Warsaw National Philharmonic Orchestra
DG. 1958

 

 

 

 펭귄가이드 Key + *** 

  
Martha Argerich
Alexandre Rabinovitch (conductor)
Italian Switzerland Radio/TV Orchestra
EMI, 2003

 

  

  

 그라모폰 가이드 선정음반

  
Daniel Barenboim Piano
Dietrich Fischer-Dieskau (conductor)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EMI, 197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