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이 틈을 파고든다. 문화산업은 이미 만들어진 즐거움, 산업에 유리한 즐거움을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이전에는 노동자의 노동력 착취를 이야기했지만, 이제는 오히려 노동자의 한가함이 착취되고 있다. 고도 정보사회라는 말조차 사어가 될 정도로 정보화가 진행되고 인터넷이보급된 오늘날, 한가함의 착취는 자본주의를 이끌어가는 거대한 힘이다.
왜 한가함은 착취되는 것일까? 인간이 지루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한가함을 얻었지만, 한가함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모른다. 그 상태로 한가함 속에서 지루해지고 만다. 그러므로 제공된 즐거움,
준비되고 마련된 쾌락에 몸을 맡기고 안도감을 얻는다. 그렇다면 어떻게해야 좋을까? 왜 인간은 한가함 속에서 지루해하는 것일까? 도대체 지루함이란 무엇일까? - P22

기분 전환에 대한 파스칼의 논의를 살펴보면, 그가 정말로 모든 것을앞질러 언급해두었다는 생각마저 든다. ‘욕망의 대상‘과 ‘욕망의 원인을착각하고 있는 자는 어리석다. 그리고 다 안다는 듯 그 사실을 지적하는자는 더 어리석다……….
- P38

즉, 기분 전환에 열중할 수 있으려면 돈을 잃을 위험이 있든가, 좀처럼 토끼를 발견하기 힘들다든가 하는 마이너스 요소가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마이너스의 요소는 넓은 의미에서 괴로움이다. 괴로움이라는말이 너무 강한 느낌이 든다면 부담이라고 해도 좋다. 기분 전환에는 괴로움과 부담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 "지루해하는 인간은 괴로움과 부담을 추구한다."
우리들은 보통 정신적, 신체적인 부담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궁리하며 살아간다. 예를 들어, 오래 걸어서 피곤해지지 않으려고 자동차를 탄다. 그러나 지루하면, 혹은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서라면 일부러 부담과 괴로움을 찾는다. 힘들게 산을 걸어 오르고, 땀에 흠뻑 젖어서 ‘누가거저 준다고 해도 반갑지 않을‘ 토끼를 쫓는다.
다시 말해, 파스칼이 말하는 비참한 인간, 방에 가만히 있을 수 없고 지루함을 견딜 수 없어서 기분 전환할 일을 찾고야 마는 사람은 괴로움을추구하는 인간인 것이다. - P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동선수가 되면 중대한 사실을 알게 된다. 달리는 의사로서나는 건강은 질병과 아무런 상관도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건강은 몸이 온전하게 제대로 움직이며 최고의 능력치까지이르렀는가에 달린 문제다. 내 건강은 내 삶의 태도와 많은 관련이 있다. 영혼과 육체가 알맞은 상태냐가 중요하다. 건강이란온전한 인간으로 자신을 닦아나갈 수 있느냐와 관련된 문제다.
내 몸에 병이 있더라도 내 건강은 최고조에 이를 수 있다. 내 경험에 따르면 질병을 건강하게 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질병때문에 최고의 능력치가 바뀔 수 있겠지만, 최고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예 사라지는 건 아니다.
그럴 때, 질병은 정보를 지식으로, 지식을 지혜로 바꿔주는좋지 않은 경험 중 하나가 된다. 좋지 않은 경험이라도 우리는그 경험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몸과 이 세계를 사랑하는 법을배울 수 있다. 자신이 지금 해피엔딩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게임을 즐긴다는 생각을 잊지 말기를. -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갤브레이스는 이런 생각이 경제학자의 확신에 지나지 않는다며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그가 말하는 ‘풍요한 사회‘, 즉 고도 소비사회에서는공급이 수요를 앞선다. 아니, 오히려 공급하는 쪽이 수요를 만들어낸다.
말하자면,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당신이 원하는 것은 이것입니다"라고권해서 그것을 사게끔 만드는 것이다.
지금이라면 갤브레이스의 주장은 누가 봐도 사실이다. 소비자 중에 욕망이 자유롭게 결정된다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욕망은 생산에 의존한다. 생산은 생산에 의해 충족되어야 할 욕망을 만들어낸다.
그렇다면 ‘좋아하는 것‘이 소비자가 자유롭게 결정한 욕망에 따른다고는 도저히 이야기할 수 없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란 생산자가 자신의편의에 의해 광고나 그 밖의 수단을 통해 만들어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지 않다면 어째서 일요일에 할 일을 토요일에 텔레비전에서 알려주겠는가? 왜 취미를 카탈로그에서 고르는 것일까?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는 조용한 성전에 앉아서 깨달을 수 있었다. 자신의 채반 같은마음을 알게 된 것도 그때였다. 무엇으로도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허기를 인정하게 된 것도 아무리 바가지로 물을 떠서 담으려고 해도 채반 같은 마음에는 조금의 물도 머무를 수 없었다. 신을 받아들였다는 건………… 무려 신의 사랑을 체험했다는건 채반에 더는 물을 붓지 않고 깊은 물속에 채반을 던지는 일 같았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쓰우라 달릴 수 있다는 건 그만큼 힘이 있다는 거여서 어떻게든 되리라는 믿음이 솟아납니다. 일을 하다 보면 나 자신을 용서하기 힘든 날이 있는데, 그런 날도 달리면 나를 용서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돼요.
달리기가 저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모릅니다.
니시모토 씨는 앞으로도 계속 달리실 거죠? - P179

나는 방법이 뭐가 됐든 그 사람에게 맞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한다. 요즘은 자신을 몰아붙이는 운동부 스타일 달리기 대신 부담 없는 달리기가 주류가 된 것 같다. ... 요컨대 카페에 가는 기분으로 달리러 가는 것이다.
‘가정‘과 ‘일터‘ 외에 내가 있을 곳이라는 뜻으로 ‘제3의장소‘라는 말을 종종 사용하는데, 나는 달리기도 그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며 긴장을 풀고 마음의안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에게 달리기는 진정한 제3의 장소다. 나는 그곳에서 1킬로미터 5분 45초 페이스를 유지할 때 가장 편안함을 느낀다.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