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마침 북한 핵실험이 있던 날 방한했던 이매뉴얼 월러스틴이 이 문제에 관한 '손익계산서'를 최근에 기고했다고 한다. 프레시안의 기사와 함께 그의 기고 칼럼을 옮겨놓는다. 

프레시안(06. 11. 03) "최대 승자는 북한, 최대 피해자는 미국"

 "북한의 핵실험에 가장 흡족해할 나라는 다름 아닌 북한이다. 북한은 핵실험을 통해 정권의 생존을 보장받으려고 했고 적어도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다한 것 같다. ... 반면, 가장 손해를 본 나라는 미국이다. 전 세계적으로 미국의 패권이 약해져 가는 상황에서 북한의 핵실험은 미국의 마지막 보루였던 동북아에서마저 미국의 주도권을 밀어내고 말았다."
  
세계적인 석학인 이매뉴엘 월러스틴 예일대 석좌교수는 지난 1일 자신이 소장으로 있는 페르낭 브로델 센터에 기고한 칼럼 <난마처럼 얽힌 북한문제, 승자는 누구인가? (The North Korean Imbroglio: Who Gains?)>을 통해 북한 핵실험의 최대 승자로 당사자인 북한을, 최대 피해자로는 미국을 꼽았다.
  
월러스틴 교수는 북한의 핵개발을 방치할 경우 "동북아 전체가 핵무장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단 일본이 핵 프로그램을 짜기 시작할 것이고 남한과 대만도 그 대열에 합류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월러스틴 교수는 북핵을 다루는 부시 행정부의 태도에 대해 "뭘 해야 하는지 모르는 모양이다"고 혹평했다.


  
미국이 주도해 유엔 안보리에서 채택된 대북제재 결의안을 두고는 "'너덜너덜한 넝마(limp rag)' 같아 북한이 만든 게 아닐까 의심스러울 정도였다"며 "만일 민주당 정부가 이런 결의안을 만들어 내놨으면 존 볼튼(제재결의안 채택을 주도한 유엔주재 미 대사)이 제일 먼저 제재결의안의 유약함을 비난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월러스틴은 이어 결의안의 실효성에 불안을 느낀 라이스 국무장관이 직접 동북아를 순방하면서 한국과 중국에 대해 강력한 대북제재를 설득했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결국 미국이 공언했던 강력한 대북제재는 허사로 돌아갔다는 지적이다.
  
일본도 겉으로는 매우 유감스럽다며 미국과 함께 강경대응을 부르짖고 있지만 내심으로는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을 것이라고 월러스틴은 진단했다. 북한의 핵실험으로 아베 신조 정권은 추진하는 평화헌법 개정과 핵 보유 등을 정당화할 명분을 갖게 됐기 때문이다.
  
사실 미국의 네오콘들은 일본의 핵무장을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미국의 지위를 강화하는 동시에 북한에 대한 군사행동의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속셈에서다. 그러나 "일본의 핵 프로그램은 이들의 의도와는 정 반대의 결과를 가져오기 쉽다"는 것이 월러스틴 교수의 판단이다. 미국과 일본이 50년 간 동맹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이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었기 때문인데, 일본이 핵을 가지게 되면 일본은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결국 북한의 핵실험은 일본과의 관계에서도 미국에게는 손해인 셈이다.
  
중국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기분이 좋지 않다.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북한에 대한 중국 영향력의 한계가 드러났을 뿐 아니라 이미 핵을 갖고 있는 중국에겐 북한 핵보유가 대만과 일본 등 주변국들의 '핵욕심'을 부추기게 될 상황이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이처럼 명확하게 손익을 계산해 내던 월러스틴 교수도 남한을 두고는 "가장 어려운 위치에 있는 나라"라고 평가했다. 집권당은 북한에 포용정책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일본처럼 미국과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여론상 '중도'가 없다는 것이다. 월러스틴 교수는 "이 문제는 남한의 내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최대 이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지윤 기자)

Commentary No. 196, Nov. 1, 2006

"The North Korean Imbroglio: Who Gains?"

North Korea has joined the nuclear club, and everyone else claims they are upset. Are they really? There are five actors that really count in this affair: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y have all in fact reacted quite differently.

North Korea is undoubtedly the most pleased of all. They set off a nuclear explosion for several obvious reasons. They are persuaded that having a weapon in hand eliminates the likelihood of a United States attack. And it probably does. They also wanted to be taken more seriously as a world actor. And despite appearances in the last few weeks, they have probably accomplished this too. They wanted to show not only the United States but everyone else, specifically including China, that there was nothing much they could do about North Korea's decision, and they seem to have done that. And underlying all this, their primary objective no doubt is the survival of the regime. And they have probably done as much as is within their power to ensure this. But of course they too are not all-powerful.

The general world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ir action is that it will ensure a spread of nuclear armament, first of all in the region. I agree. Within a very short time, I expect Japan to start its program. It will be followed by South Korea. And then - no one mentions this - it will be followed by Taiwan, thus realizing a totally nuclearized Northeast Asia. Is this good or bad? The answer depends on whose perspective you take.

The United States is surely the most unhappy. In a period when U.S. effective power is declining everywhere, the last zone where it still seemed to have a strong edge has been Northeast Asia. No more. The Bush regime hasn't known what to do. It pushed for a rapid punishment of North Korea by the U.N. Security Council. What it came up with was a limp rag - a resolution that, albeit unanimous, might have been written by the North Koreans. Had a Democratic administration agreed to such a resolution, the first person to denounce it for its weakness would have been John Bolton. But since Bolton is Bush'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he has hailed the resolution as a great accomplishment. Unpersuaded by Bolton's rhetoric, Condoleezza Rice has made the rounds of Northeast Asia, saying that she can not impose on anyone how they will implement the limp rag. Still she "expects" that China and South Korea will live up to the obligations she presumes they have, which they have no intention of doing and have said so.

Japan claims that it is very unhappy, and shares the U.S. hardline position. Pardon me for being skeptical. Isn't Shinzo Abe the man who became prime minister by promising to make Japan into a "normal" nation? This is code language for changing the constitution, creating a full-fledged army and nuclear weapons. The North Korean nuclear explosion gives Abe the immediate justification, and he will take it. Indeed, U.S. neo-cons are publicly calling on him to take it. They do so because they believe it will strengthen the U.S. position in the region and make more likely military action against North Korea.

But a Japanese nuclear program may well have the opposite consequence. The one thing that has tied Japan most closel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last fifty years has been Japan's dependence on the U.S. nuclear shield. Once Japan has its own nuclear weapons, it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more independent. And sooner or later, it will realize this possibility.

China is of course unhappy, and for many reasons. For one thing, North Korea's action exposes the limits of China's power, which seems as helpless as the United States in this situation. For another thing, nuclear proliferation is not in China's interests. It's not worried about North Korea. It's worried about Japan and, above all, Taiwan.

China and South Korea share the desperate desire to see the North Korean regime survive (no "regime change" in their program). They are both banking on the possibility that their various kinds of economic assistance will bring about a slow and mild liberalization of the regime - more of the Deng Xiaopeng than the Gorbachev variety. Whether this is realistic we shall have to see. But do they have any choice except to bank on it, and work for it?

South Korea is in the most difficult position of the five powers. It is the only country in which public opinion seems split down the middle - between the party in power which believes in "engagement" with North Korea and the opposition which wants to replicate the Japanese position of close alignment with the United States. This will undoubtedly be one of the major issues in next year's presidential elections.

by Immanuel Wallerstein

06. 11. 0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itournelle 2006-11-05 17:40   좋아요 0 | URL
이번 월러스틴 방한을 기획하고 준비하고 도와 주면서 느낀 점이 참 많습니다. 비밀 스러운 이야기도 많이 알고 있고요. 그래도 참 그 나이에 대단한 열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생들의 질문에 답도 잘해주고요.

로쟈 2006-11-05 17:56   좋아요 0 | URL
'비밀스러운 이야기'는 오프더레코드인가요?^^ 사회과학적 판단/예측이야 일기예보처럼 시간이 말해주는 것이죠. 다만, 월러스틴의 예측대로 내년 대선이 이 문제로 과잉결정되지 않을까 좀 걱정이 됩니다...
 

The One Measure of True Love is: You Can Insult the Other
Slavoj Zizek, Interviewed by Sabine Reul and Thomas Deichmann.
Spiked, 15 November 2001.

I do claim that what is sold to us today as freedom is something from which this more radical dimension of freedom and democracy has been removed — in other words, the belief that basic decisions about social development are discussed or brought about involving as many as possible, a majority. In this sense, we do not have an actual experience of freedom today. Our freedoms are increasingly reduced to the freedom to choose your lifestyle.

The Slovenian philosopher Slavoj ZiZek has gained something of a cult following for his many writings — including The Ticklish Subject, a playful critique of the intellectual assault upon human subjectivity (1).

At the prestigious Frankfurt Book Fair in October 2001, he talked to Sabine Reul and Thomas Deichmann about subjectivity, multiculturalism, sex and unfreedom after 11 September.

Has 11 September thrown new light on your diagnosis of what is happening to the world?

Slavoj Zizek: One of the endlessly repeated phrases we heard in recent weeks is that nothing will be the same after 11 September. I wonder if there really is such a substantial change. Certainly, there is change at the level of perception or publicity, but I don't think we can yet speak of some fundamental break. Existing attitudes and fears were confirmed, and what the media were telling us about terrorism has now really happened.

In my work, I place strong emphasis on what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virtualisation or digitalisation of our environment. We know that 60 percent of the people on this Earth have not even made a phone call in their life. But still, 30 percent of us live in a digitalised universe that is artificially constructed, manipulated and no longer some natural or traditional one. At all levels of our life we seem to live more and more with the thing deprived of its substance. You get beer without alcohol, meat without fat, coffee without caffeine…and even virtual sex without sex.

Virtual reality to me is the climax of this process: you now get reality without reality…or a totally regulated reality. But there is another side to this. Throughout the entire twentieth century, I see a counter-tendency, for which my good philosopher friend Alain Badiou invented a nice name: 'La passion du réel', the passion of the real. That is to say, precisely because the universe in which we live is somehow a universe of dead conventions and artificiality, the only authentic real experience must be some extremely violent, shattering experience. And this we experience as a sense that now we are back in real life.

Do you think that is what we are seeing now?

Slavoj Zizek: I think this may be what defined the twentieth century, which really began with the First World War. We all remember the war reports by Ernst Jnger, in which he praises this eye-to-eye combat experience as the authentic one. Or at the level of sex, the archetypal film of the twentieth century would be Nagisa Oshima's Ai No Corrida (In The Realm Of The Senses), where the idea again is that you become truly radical, and go to the end in a sexual encounter, when you practically torture each other to death. There must be extreme violence for that encounter to be authentic.

Another emblematic figure in this sense to me is the so-called 'cutter'- a widespread pathological phenomenon in the USA. There are two million of them, mostly women, but also men, who cut themselves with razors. Why? It has nothing to do with masochism or suicide. It's simply that they don't feel real as persons and the idea is: it's only through this pain and when you feel warm blood that you feel reconnected again. So I think that this tension i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one should appreciate the effect of the act.

Does that relate to your observations about the demise of subjectivity in The Ticklish Subject? You say the problem is what you call 'foreclosure'- that the real or the articulation of the subject is foreclosed by the way society has evolved in recent years.

Slavoj Zizek: The starting point of my book on the subject is that almost all philosophical orientations today, even if they strongly oppose each other, agree on some kind of basic anti-subjectivist stance. For example, Jurgen Habermas and Jacques Derrida would both agree that the Cartesian subject had to be deconstructed, or, in the case of Habermas, embedded in a larger inter-subjective dialectics. Cognitivists, Hegelians — everybody is in agreement here.

I am tempted to say that we must return to the subject — though not a purely rational Cartesian one. My idea is that the subject is inherently political, in the sense that 'subject', to me, denotes a piece of freedom — where you are no longer rooted in some firm substance, you are in an open situation. Today we can no longer simply apply old rules. We are engaged in paradoxes, which offer no immediate way out. In this sense, subjectivity is political.

But this kind of political subjectivity seems to have disappeared. In your books you speak of a post-political world.

Slavoj Zizek: When I say we live in a post-political world, I refer to a wrong ideological impression. We don't really live in such a world, but the existing universe presents itself as post-political in the sense that there is some kind of a basic social pact that elementary social decisions are no longer discussed as political decisions. They are turned into simple decisions of gesture and of administration. And the remaining conflicts are mostly conflicts about different cultures. We have the present form of global capitalism plus some kind of tolerant democracy as the ultimate form of that idea. And, paradoxically, only very few are ready to question this world.

So, what's wrong with that?

Slavoj Zizek: This post-political world still seems to retain the tension between what we usually refer to as tolerant liberalism versus multiculturalism. But for me — though I never liked Friedrich Nietzsche — if there is a definition that really fits, it is Nietzsche's old opposi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nihilism. Active nihilism, in the sense of wanting nothing itself, is this active self-destruction which would be precisely the passion of the real — the idea that, in order to live fully and authentically, you must engage in self-de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passive nihilism, what Nietzsche called 'The last man' — just living a stupid, self-satisfied life without great passions.

The problem with a post-political universe is that we have these two sides which are engaged in kind of mortal dialectics. My idea is that, to break out of this vicious cycle, subjectivity must be reinvented.

You also say that the elites in our Western world are losing their nerve. They want to throw out all old concepts like humanism or subjectivity. Against that, you say it is important to look at what there is in the old that may be worth retaining.

Slavoj Zizek: Of course, I am not against the new. I am, indeed, almost tempted to repeat Virginia Woolf. I think it was in 1914 when she said it was as though eternal human nature had changed. To be a man no longer means the same thing. One should not, for example, underestimate the inter-subjective social impact of cyberspace. What we are witnessing today is a radical redefinition of what it means to be a human being.

Take strange phenomena, like what we see on the internet. There are so-called 'cam' websites where people expose to an anonymous public their innermost secrets down to the most vulgar level. You have websites today — even I, with all my decadent tastes, was shocked to learn this — where people put a video-camera in their toilets, so you can observe them defecating. This a totally new constellation. It is not private, but also it is also not public. It is not the old exhibitionist gesture.

Be that as it may, something radical is happening. Now, a number of new terms are proposed to us to describe that. The one most commonly used is paradigm shift, denoting that we live in an epoch of shifting paradigm. So New Age people tell us that we no longer have a Cartesian, mechanistic individualism, but a new universal mind. In sociology, the theorists of second modernity say similar things. And psychoanalytical theorists tell us that we no longer have the Oedipus complex, but live in an era of universalised perversion.

My point is not that we should stick to the old. But these answers are wrong and do not really register the break that is taking place. If we measure what is happening now by the standard of the old, we can grasp the abyss of the new that is emerging.

Here I would refer to Blaise Pascal. Pascal's problem was also confrontation with modernity and modern science. His difficulty was that he wanted to remain an old, orthodox Christian in this new, modern age. It is interesting that his results were much more radical and interesting for us today than the results of superficial English liberal philosophers, who simply accepted modernity.

You see the same thing in cinema history, if we look at the impact of sound. Okay, 'what's the problem?', you might say. By adding the sound to the image we simply get a more realistic rendering of reality. But that is not at all true. Interestingly enough, the movie directors who were most sensitive to what the introduction of sound really meant were generally conservatives, those who looked at it with scepticism, like Charlie Chaplin (up to a point), and Fritz Lang. Fritz Lang's Das Testament des Dr Mabuse, in a wonderful way, rendered this spectral ghost-like dimension of the voice, realising that voice never simply belongs to the body. This is just another example of how a conservative, as if he were afraid of the new medium, has a much better grasp of its uncanny radical potentials.

The same applies today. Some people simply say: 'What's the problem? Let's throw ourselves into the digital world, into the internet, or whatever….' They really miss what is going on here.

So why do people want to declare a new epoch every five minutes?

Slavoj Zizek: It is precisely a desperate attempt to avoid the trauma of the new. It is a deeply conservative gesture. The true conservatives today are the people of new paradigms. They try desperately to avoid confronting what is really changing.

Let me return to my example. In Charlie Chaplain's film The Great Dictator, he satirises Hitler as Hinkel. The voice is perceived as something obscene. There is a wonderful scene where Hinkel gives a big speech and speaks totally meaningless, obscene words. Only from time to time you recognise some everyday vulgar German word like 'Wienerschnitzel' or 'Kartoffelstrudel'. And this was an ingenious insight; how voice is like a kind of a spectral ghost. All this became apparent to those conservatives who were sensitive for the break of the new.

In fact, all big breaks were done in such a way. Nietzsche was in this sense a conservative, and, indeed, I am ready to claim that Marx was a conservative in this sense, too. Marx always emphasised that we can learn more from intelligent conservatives than from simple liberals. Today, more than ever, we should stick to this attitude. When you are surprised and shocked, you don't simply accept it. You should not say: 'Okay, fine, let's play digital games.' We should not forget the ability to be properly surprised. I think, the most dangerous thing today is just to flow with things.

Then let's return to some of the things that have been surprising us. In a recent article, you made the point that the terrorists mirror our civilisation. They are not out there, but mirror our own Western world. Can you elaborate on that some more?

Slavoj Zizek: This, of course, is my answer to this popular thesis by Samuel P Huntington and others that there is a so-called clash of civilisations. I don't buy this thesis, for a number of reasons.

Today's racism is precisely this racism of cultural difference. It no longer says: 'I am more than you.' It says: 'I want my culture, you can have yours.' Today, every right-winger says just that. These people can be very postmodern. They acknowledge that there is no natural tradition, that every culture is artificially constructed. In France, for example, you have a neo-fascist right that refers to the deconstructionists, saying: 'Yes, the lesson of deconstructionism against universalism is that there are only particular identities. So, if blacks can have their culture, why should we not have ours?'

We should also consider the first reaction of the American 'moral majority', specifically Jerry Falwell and Pat Robertson, to the 11 September attacks. Pat Robertson is a bit eccentric, but Jerry Falwell is a mainstream figure, who endorsed Reagan and is part of the mainstream, not an eccentric freak. Now, their reaction was the same as the Arabs', though he did retract a couple of days later. Falwell said the World Trade Centre bombings were a sign that God no longer protects the USA, because the USA had chosen a path of evil, homosexuality and promiscuity.

According to the FBI, there are now at least two million so-called radical right-wingers in the USA. Some are quite violent, killing abortion doctors, not to mention the Oklahoma City bombing. To me, this shows that the same anti-liberal, violent attitude also grows in our own civilisation. I see that as proof that this terrorism is an aspect of our time. We cannot link it to a particular civilisation.

Regarding Islam, we should look at history. In fact, I think it is very interesting in this regard to look at ex-Yugoslavia. Why was Sarajevo and Bosnia the place of violent conflict? Because it was ethnically the most mixed republic of ex-Yugoslavia. Why? Because it was Muslim-dominated, and historically they were definitely the most tolerant. We Slovenes, on the other hand, and the Croats, both Catholics, threw them out several hundred years ago.

This proves that there is nothing inherently intolerant about Islam. We must rather ask why this terrorist aspect of Islam arises now. The tension between tolerance and fundamentalist violence is within a civilisation.

Take another example: on CNN we saw President Bush present a letter of a seven-year-old girl whose father is a pilot and now around Afghanistan. In the letter she said that she loves her father, but if her country needs his death, she is ready to give her father for her country. President Bush described this as American patriotism. Now, do a simple mental experiment — imagine the same event with an Afghan girl saying that. We would immediately say: 'What cynicism, what fundamentalism, what manipulation of small children.' So there is already something in our perception. But what shocks us in others we ourselves also do in a way.

So multiculturalism and fundamentalism could be two sides of the same coin?

Slavoj Zizek: There is nothing to be said against tolerance. But when you buy this multiculturalist tolerance, you buy many other things with it. Isn't it symptomatic that multiculturalism exploded at the very historic moment when the last traces of working-class politics disappeared from political space? For many former leftists, this multiculturalism is a kind of ersatz working-class politics. We don't even know whether the working class still exists, so let's talk about exploitation of others.

There may be nothing wrong with that as such. But there is a danger that issues of economic exploitation are converted into problems of cultural tolerance. And then you have only to make one step further, that of Julia Kristeva in her essay 'Etrangers à nous mêmes', and say we cannot tolerate others because we cannot tolerate otherness in ourselves. Here we have a pure pseudo-psychoanalytic cultural reductionism.

Isn't it sad and tragic that the only relatively strong — not fringe — political movement that still directly addresses the working class is made up of right-wing populists? They are the only ones. Jean-Marie Le Pen in France, for example. I was shocked when I saw him three years ago at a congress of the Front National. He brought a black Frenchman, an Algerian and a Jew on the podium, embraced them and said: 'They are no less French than I am. Only the international cosmopolitan companies who neglect French patriotic interests are my enemy.' So the price is that only right-wingers still talk about economic exploitation.

The second thing I find wrong with this multiculturalist tolerance is that it is often hypocritical in the sense that the other whom they tolerate is already a reduced other. The other is okay in so far as this other is only a question of food, of culture, of dances. What about clitoridectomy? What about my friends who say: 'We must respect Hindus.' Okay, but what about one of the old Hindu customs which, as we know, is that when a husband dies, the wife is burned. Now, do we respect that? Problems arise here.

An even more important problem is that this notion of tolerance effectively masks its opposite: intolerance. It is a recurring theme in all my books that, from this liberal perspective, the basic perception of another human being is always as something that may in some way hurt you.

Are you referring to what we call victim culture?

Slavoj Zizek: The discourse of victimisation is almost the predominant discourse today. You can be a victim of the environment, of smoking, of sexual harassment. I find this reduction of the subject to a victim sad. In what sense? There is an extremely narcissistic notion of personality here. And, indeed, an intolerant one, insofar as what it means is that we can no longer tolerate violent encounters with others — and these encounters are always violent.

Let me briefly address sexual harassment for a moment. Of course I am opposed to it, but let's be frank. Say I am passionately attached, in love, or whatever, to another human being and I declare my love, my passion for him or her. There is always something shocking, violent in it. This may sound like a joke, but it isn't — you cannot do the game of erotic seduction in politically correct terms. There is a moment of violence, when you say: 'I love you, I want you.' In no way can you bypass this violent aspect. So I even think that the fear of sexual harassment in a way includes this aspect, a fear of a too violent, too open encounter with another human being.

Another thing that bothers me about this multiculturalism is when people ask me: 'How can you be sure that you are not a racist?' My answer is that there is only one way. If I can exchange insults, brutal jokes, dirty jokes, with a member of a different race and we both know it's not meant in a racist way. If, on the other hand, we play this politically correct game — 'Oh, I respect you, how interesting your customs are' — this is inverted racism, and it is disgusting.

In the Yugoslav army where we were all of mixed nationalities, how did I become friends with Albanians? When we started to exchange obscenities, sexual innuendo, jokes. This is why this politically correct respect is just, as Freud put it, 'zielgehemmt'. You still have the aggression towards the other.

For me there is one measure of true love: you can insult the other. Like in that horrible German comedy film from 1943 where Marika Röck treats her fiancé very brutally. This fiancé is a rich, important person, so her father asks her why are you treating him like that. And she gives the right answer. She says: 'But I love him, and since I love him, I can do with him whatever I want.' That's the truth of it. If there is true love, you can say horrible things and anything goes.

When multiculturalists tell you to respect the others, I always have this uncanny association that this is dangerously close to how we treat our children: the idea that we should respect them, even when we know that what they believe is not true. We should not destroy their illusions. No, I think that others deserve better — not to be treated like children.

In your book on the subject you talk of a 'true universalism' as an opposite of this false sense of global harmony. What do you mean by that?

Slavoj Zizek: Here I need to ask myself a simple Habermasian question: how can we ground universality in our experience? Naturally, I don't accept this postmodern game that each of us inhabits his or her particular universe. I believe there is universality. But I don't believe in some a priori universality of fundamental rules or universal notions. The only true universality we have access to is political universality. Which is not solidarity in some abstract idealist sense, but solidarity in struggle.

If we are engaged in the same struggle, if we discover that — and this for me is the authentic moment of solidarity — being feminists and ecologists, or feminists and workers, we all of a sudden have this insight: 'My God, but our struggle is ultimately the same!' This political universality would be the only authentic universality. And this, of course, is what is missing today, because politics today is increasingly a politics of merely negotiating compromises between different positions.

The post-political subverts the freedom that has been talked about so much in recent weeks. Is that what you are saying?

Slavoj Zizek: I do claim that what is sold to us today as freedom is something from which this more radical dimension of freedom and democracy has been removed — in other words, the belief that basic decisions about social development are discussed or brought about involving as many as possible, a majority. In this sense, we do not have an actual experience of freedom today. Our freedoms are increasingly reduced to the freedom to choose your lifestyle. You can even choose your ethnic identity up to a point.

But this new world of freedom described by people like Ulrich Beck, who say everything is a matter of reflective negotiation, of choice, can include new unfreedom. My favourite example is this, and here we have ideology at its purest: we know that it is very difficult today in more and more professional domains to get a long-term job. Academics or journalists, for example, now often live on a two- or three-year contract, that you then have to renegotiate. Of course, most of us experience this as something traumatising, shocking, where you can never be sure. But then, along comes the postmodern ideologist: 'Oh, but this is just a new freedom, you can reinvent yourself every two years!'

The problem for me is how unfreedom is hidden, concealed in precisely what is presented to us as new freedoms. I think that the explosion of these new freedoms, which fall under the domain of what Michel Foucault called 'care of the self', involves greater social unfreedom.

Twenty or 30 years ago there was still discussion as to whether the future would be fascist, socialist, communist or capitalist. Today, nobody even discusses this. These fundamental social choices are simply no longer perceived as a matter to decide. A certain domain of radical social questions has simply been depoliticised.

I find it very sad that, precisely in an era in which tremendous changes are taking place and, indeed entire social coordinates are transformed, we don't experience this as something about which we decided freely.

So, let's return to the aftermath of 11 September. We now experience a strange kind of war that we are told will not end for a long time. What do you think of this turn of events?

Slavoj Zizek: I don't quite agree with those who claim that this World Trade Centre explosion was the start of the first war of the twenty-first century. I think it was a war of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sense that it was still a singular, spectacular event. The new wars would be precisely as you mentioned — it will not even be clear whether it is a war or not. Somehow life will go on and we will learn that we are at war, as we are now.

What worries me is how many Americans perceived these bombings as something that made them into innocents: as if to say, until now, we had problems, Vietnam, and so on. Now we are victims, and this somehow justifies us in fully identifying with American patriotism.

That's a risky gesture. The big choice for Americans is whether they retreat into this patriotism — or, as my friend Ariel Dorfman wrote recently: 'America has the chance to become a member of the community of nations. America always behaves as though it were special. It should use this attack as an opportunity to admit that it is not special, but simply and truly part of this world.' That's the big choice.

There is something so disturbingly tragic in this idea of the wealthiest country in the world bombing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t reminds me of the well-known joke about the idiot who loses a key in the dark and looks for it beneath the light. When asked why, he says: 'I know I lost it over there, but it's easier to look for it here.'

But at the same time I must confess that the left also deeply disappointed me. Falling back into this safe pacifist attitude — violence never stops violence, give peace a chance — is abstract and doesn't work here. First, because this is not a universal rule. I always ask my leftist friends who repeat that mantra: What would you have said in 1941 with Hitler. Would you also say: 'We shouldn't resist, because violence never helps?' It is simply a fact that at some point you have to fight. You have to return violence with violence. The problem is not that for me, but that this war can never be a solution.

It is also false and misleading to perceive these bombings as some kind of third world working-class response to American imperialism. In that case, the American fundamentalists we already discussed, are also a working-class response, which they clearly are not. We face a challenge to rethink our coordinates and I hope that this will be a good result of this tragic event. That we will not just use it to do more of the same but to think about what is really changing in our world.

06. 11. 05.

P.S. 사라 케이의 <슬라보예 지젝>(경성대출판부, 2006)의 마지막 장('정치학, 혹은 불가능의 예술')의 마지막 단락은 이렇게 마무리된다.

"2001년 9월 11일의 사건에 뒤이은 인터뷰 '참된 사랑의 한 가지 척도(The One Measure of True Love)'의 말미에 지젝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우리는 우리의 좌표에 관하여 다시 생각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부디 이 비극적 사건이 이렇게 좋은 결과를 낳기를 바란다. 부디 우리가 이 사건을 이용해 그저 같은 것을 더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세계에서 무엇이 정말로 변하고 있는지 생각하게 되기를 바란다.'"(232쪽)

이 인터뷰가 본문의 내용이며, 케이가 인용한 마지막 문장들은 강조표시를 해놓았다. 케이가 이어서 덧붙이고 있는 내용은 이런 것이다: "그의 최근 저작들은 이 세계를 좀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일종의 상징적 활동(activity)이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그의 저작들이 우리로 하여금 실재(계)를 접하게 하고 우리의 전체 상황에 관하여 다시 생각하게끔 자극한다면 이것은 일종의 정치적 행위(act)인 셈이다."

이러한 저자의 평가에 공감한다. 그것은 이 마지막 장의 서두에서 "그러므로 지젝에게 정치적인 것은 모든 것을 망라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권력과 권력에 대한 그의 반응이 모든 것에 스며들어있다라고 말하는 셈이 된다. 결과적으로 정치적인 것을 그의 사고를 담고 있는 틀로 상상하는 것보다 그의 사고를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로 보는 것이 오히려 더 명백해진다."(193쪽)란 지적에 공감하는 것과 연관돼 있다.

이러한 지적들을 고려하더라도 사라 케이의 입문서는 지젝에 관한 필독서로 부족함이 없지만, 욕망(desire)과 욕동(drive)을 수시로 뒤바꿔서 번역하는 국역본은 곳곳에서 유감스럽다. 가령, "그러므로 환상은 (상징계의) 욕동으로부터 (실재계의) 욕망을 분리키시고, 강요된 선택으로 인해 상실된 주이상스를 어떻게 타자들이 우리에게서 '훔쳐갔는가' 하는 내러티브를 상징계에 제공한다."(205쪽)라고 할 때, 상징계의 욕망과 실재계의 욕동은 서로 전치돼 있다. 지젝은 여전히 번역이라는 환상의 스크린 너머에 있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라보예 지젝과의 몇년 전 (전화)대담 기사를 하나 옮겨놓는다. <월간중앙>(2003년 2월호)에 게재됐던 것인데(나는 지면에서 처음 읽었었다), 지젝은 그해 가을 방한한 바 있다. 대담자는 김영희 중앙일보 상임고문이며 타이틀은 "북한과 같은 나라에는 고립화와 봉쇄정책이 효과 없다"이다. 아무래도 잡지의 독자층을 고려한 제목이겠다. 아무튼 당시에도 최대 화두는 북한이었으니 시의적으로 읽어볼 만한 기사이다(이미지와 강조는 나의 것이다).  

슬로베니아의 철학자·역사가·문명비평가 슬라보이 지젝은 정열적으로 질문에 대답했다. 50여 분 동안의 전화대담에서 그는 듣는 사람의 귀가 아플 만큼 큰소리로,그리고 자신있게 9·11 테러 이후 부시가 펴온 대외정책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한반도 안팎을 가릴 것 없이 새해 최대 화두는 이라크와 북한이다. 미국의 조지 부시 정부는 이라크를 공격할 준비를 사실상 끝낸 상태다. 남은 문제는 이라크에서 활동중인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무기사찰단이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많이 만들어 숨겨두고 있다는 물증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런 증거를 못 찾으면 미국의 이라크 공격은 정당성을 잃고 영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동맹국과 우방국들의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라크 공격을 재가하는 제2의 결의안을 채택할 수도 없다. 그럴 경우 미국은 단독으로 이라크를 공격해 사담 후세인을 축출하고 석유부국 이라크에 친미정권을 세울 수 있을 것인가. 그렇게 세운 정권은 성공할 것인가.

북한 핵문제는 어렵사리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듯하다. 북한이 핵무기를 먼저 포기해야 대화하겠다던 미국이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겠다고 선언만 해도 대화하겠다는 쪽으로 한 발 물러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화는 대화일 뿐 협상은 아니다. 대화에서 협상, 협상에서 합의는 전혀 별개의 절차다. 과연 북한이 바라는 북·미 관계 정상화와 북한의 안전보장이라는 보따리와 미국이 바라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포기라는 보따리를 교환하는 일괄타결이 실현될 것인가. 아직도 길고 긴 여정(旅程)이 남은 것이 북한의 핵문제다. 그래서 한반도 주변은 앞으로도 오래 오래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3년이 지난 지금도 유효한 멘트이다).

 

 

 

 

슬로베니아의 철학자·역사가·문명비평가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은 9·11 테러 이후 부시가 펴온 대외정책에 예상했던 것 이상으로 신랄하게 비판적이다(*지젝의 주장은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와 <이라크>에 집약돼 있다). 영·미(英美) 편향의 견해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지젝의 견해는 충격으로 들릴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대부분의 진보적 학자와 언론인들과 유럽의 거의 모든 전문가들은 이라크에 대한 부시의 강경노선에 지젝처럼 비판적이다. 그들은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해도 사담 후세인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후세인을 제거한다고 해도 그것이 바로 중동정세의 안정과 선진국가들에 대한 안정된 원유 공급을 보장하는 것인지도 확실치 않다는 전망이다.

슬라보이 지젝은 정열적으로 질문에 대답했다. 50여 분 동안의 전화대담에서 그는 듣는 사람의 귀가 아플 만큼 큰소리로, 그리고 자신있게 말했다(*얼마전에 영화 <지젝!>을 봤는데 예의 그의 거침없는 목소리와 제스처를 다시 볼 수 있었다). 발칸반도의 슬로베니아는 수백 년 동안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의 지배를 받은 나라다. 그래서 그 지역, 그 나라 사람들은 강력한 외세의 간섭이 현지인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본능적으로 안다. 슬로베니아가 배출한 유럽 최고의 지식인과, 람보 이미지의 조지 부시의 대외정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었다.

"부시의 자유주의가 점점 많은 이슬람들을 反美적 원리주의자로 만들고 있다"

김영희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공격이 임박해 보입니다. 9·11 테러가 지난해의 아프가니스탄전쟁과, 그것보다 훨씬 파괴적일 이라크전쟁을 정당화한다고 보십니까.

지젝 아프가니스탄전쟁은 정당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이라크전쟁의 목표는 전혀 다릅니다. 미국은 석유 공급을 확보하려고 테러와의 전쟁을 이용하고 있어요. 테러와의 전쟁과는 무관합니다. 사담 후세인은 알 카에다와 아무 관련이 없어요. 미국도 지금은 후세인이 알 카에다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지 않아요.

거듭 말하지만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이용해 다른 경제적 목표를 추구하고 있어요. 부시 독트린이라는 미국의 정치철학이라고 할까, 이데올로기가 걱정입니다. 그것은 미국에는 현실의 적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적까지 선제공격할 권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만든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소수의견)의 경찰과 같아요. 이 영화에서 경찰에는 앞으로 범죄를 저지를 사람을 알아내는 초능력을 가진 사람이 있어요. 경찰은 그 사람이 지목하는 미래의 범죄자를 미리 체포합니다. 경찰은 이렇게 말해요. "당신은 30분 뒤에 살인합니다. 그래서 당신을 체포합니다."

미국은 국제정치 차원에서 범죄가 있기도 전에 사람들을 공격하고 체포하고 벌을 주는 셈입니다. 독일 총리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이라크전쟁에 반대한 것은 '슈뢰더판(版) 마이너리티 리포트'라고 하겠어요. 지정학적으로 중국이 미국의 슈퍼파워 지위에 도전하는 세력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이 이 영화의 경찰처럼 중국을 예방공격할 것인가 주목됩니다. 이라크 공격의 배후에는 참으로 위험한 논리가 숨어 있어요.

사담 후세인을 제거한다면 중동 지역은 평화에 한 발 가까이 가는 것입니까.

지젝 그 반대의 결과가 예상됩니다. 후세인 정권은 이슬람 원리주의 정권이 아니에요. 이라크의 기본 이데올로기는 이라크 애국주의일 뿐입니다. 후세인이 이슬람과 손잡은 것은 10년 정도밖에 안돼요. 재미있는 예를 하나 들지요. 몇 달 전에 이라크에서 대통령선거가 있었는데 후세인이 100%의 지지를 받았어요. 선거 운동 기간 중 이라크 방송들이 후세인 지지 슬로건을 실어 계속 내보낸 노래는 미국의 흑인 가수 휘트니 휴스턴의‘나는 언제나 너를 사랑할 거야’였습니다. 이슬람 원리주의 나라에서는 그렇게 못 해요. 이 나라의 제2인자인 부총리 타리크 아지즈는 기독교 신자 아닙니까. 이라크는 전형적인 민족주의 국가입니다.

만약 미국이 후세인을 몰아내고 이라크에 일종의 신식민지주의 정부를 세워 군정(軍政)을 실시한다면 그때야말로 전 세계를 망라한 이슬람 원리주의 민중들의 반미운동이 일어날지도 몰라요. 내가 걱정하는 것은 그겁니다. 이라크를 원리주의 국가로 만드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미국의 무력간섭이에요.

설마 부시 대통령이 그걸 모를까요?

지젝 물론 알지요. 그러나 정치란 이상한 겁니다. 뻔히 알면서 재앙을 부르는 것이 정치죠. 헨리 키신저를 봐요. 얼마나 똑똑한 사람입니까. 그런 사람이 베트남을 잃었어요. 그런가 하면 로널드 레이건 같이 별로 영민하지 못한 사람이 소련을 상대로 무자비한 군비경쟁을 벌여 소련 제국을 파멸시킨 경우도 있어요. 어느 한 사람의 머리가 좋고 나쁘고의 문제가 아니라 정책 수행에 이용되는 비극적인 논리의 문제입니다.

"북한이 이라크보다 더 위험"

부시 정부는 이라크말고 북한이라는 문제도 안고 있습니다. 한반도는 슬로베니아에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만 일반론으로 말해 북한 핵문제도 군사적으로 풀려고 할까요?

지젝 북한과 이라크가 자주 비교되는데 나는 북한이 이라크보다 더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내 친구인 영국 언론인 크리스토퍼 히친스가 세계에서 가장 살기 나쁜 나라를 조사한 결과 북한이라는 결론을 얻었어요. 권위주의 국가에는 자유가 없는 대신 질서라도 있고, 중앙통제를 잃은 나라에는 질서가 없고 국민이 배고픕니다. 북한은 강력한 독재 아래 국민이 굶주리는 독재와 카오스(Chaos)를 갖춘 나라라는 것입니다. 북한에 대해 유화(Appeasement)정책을 써야 할 것입니다. 북한체제가 개탄스럽지 않아서가 아니라 쿠바의 경우를 봐도 고립화와 봉쇄정책이 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부시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을 빙자해 경제적 목표를 추구한다고 하셨는데 부시 대통령은 9·11 테러를 이용해 미국의 패권을 추구하는 것 같습니다. 그의 단독주의는 우방국가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나쁩니다. 부시는 미국의 패권이라는 야망을 달성할 수 있을까요?

지젝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부시는 스스로 패배하는(Self-defeating) 게임을 하고 있어요. 부시는 두 가지를 잘못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9·11 테러후 테러와의 전쟁을 다루는 국제재판소 같은 법적 체계를 갖췄어야 하는데, 미국은 국제형사재판소(ICC)에도 구속되지 않고 단독행동을 하겠다는 겁니다. 미국은 국제적인 체제에 들기를 거부해요.

미국이 저지른 또 하나의 잘못은 140개국이 참가하고 국제통상기구(WTO)가 지지하는 에이즈에 관한 국제적 협정을 거부한 것입니다. 그것은 제3세계의 가난한 나라들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제약회사들이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를 특허료 없이 생산하는 것을 허용하는 협정입니다. 미국 정부는 제약회사들의 막강한 로비에 따라 이 협정에 조인하는 것을 거부합니다. 9·11 테러후 미국 자신은 독일의 바이엘 제약회사에 탄저균 치료제를 싸게 수출하라고 압력을 넣었어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미국이 가난한 나라들에 인류의 재앙인 에이즈 치료제 생산을 못하게 하는 겁니다.

이것이 미국이 무자비하게 추구하는 패권입니다. 21세기의 패권국가는 미국이고, 미국에 도전할 미래의 슈퍼파워는 중국뿐인데 미국과 중국이 대표하는 정치질서로서의 두 개의 문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끔찍합니다. 그래서 유럽통합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디지털 디바이드는 인류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세계화를 두고 말이 많습니다. 세계화는 필요악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지젝 세계화는 피할 수 없어요. 그러나 어떤 세계화인가라는 선택의 문제는 있습니다. 세계화 반대 운동을 벌이는 사람들은 지금 진행되는 세계화가 자본주의의 세계화라고 주장합니다. 나도 그렇게 생각해요. 보십시오. 경제적 세계화, 상품의 교환은 오히려 사람들을 고립시키고 있지 않습니까. 새로운 장벽들을 쌓고 있어요. 미국은 멕시코와의 국경선을 더 철저히 감시하고, 서유럽은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이스라엘은 요르단 강 서안(西岸)과의 사이에 새로운 벽을 세워요.

이런 세계화는 자본주의를 위한 세계화입니다. 나는 약품이 세계 곳곳에 분배되는 그런 세계화를 지지해요. 인터넷을 널리 보급하는 디지털 세계화도 중요합니다. 디지털 보급의 격차를 말하는 이른바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는 운명이 아니라 인류의 집단적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어요. 그것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인 선택의 문제입니다.

 

 

 

 

"자본주의는 스스로 만든 위기를 통제할 능력이 없다"

영국의 권위 있는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현실정치체제로서의 사회주의는 붕괴했지만 이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살아 있다고 주장하는 긴 글을 실었습니다. 마르크스주의는 어떤 유산을 남겼습니까.

지젝 '자본주의는 그 물질적 조건에 지속적인 혁명적 변화를 주어야 살아남을 수 있고, 자본주의는 자체의 논리상 끊임없이 확장을 계속하고, 자본주의는 전통을 파괴한다'는 자본주의 발전의 역동성에 대한 마르크스의 진단이 오늘의 세계화 현상과 완전히 일치한다는 데는 누구나가 동의합니다. 그러면서도 오늘날 살아남은 마르크스의 진단은 자본주의가 스스로 대립과 위기를 만들어 내고 자본주의는 그런 대립과 위기를 통제할 능력이 없다는 것이 마르크스의 통찰입니다. 우리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관한 낡은 환상을 버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자본주의 너머(Beyond)를 생각할 필요도 있어요.

부시 정부 아래서 미국은 경쟁제일주의와 시장원리주의의 깃발을 높이 든 신자유주의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은 없을까요?

지젝 단기적으로 부시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잘 굴러갈 겁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갈등과 모순이 생길 거예요. 벌써 당장의 정책과 관련해서 기본적인 긴장이 생겼어요. 부시는 자유시장을 옹호하는 과격한 경제적 자유주의자입니다. 그러나 그는 미국의 이해가 걸리면 언제나 자유주의의 룰을 깨고 나와요. 한국도 피해를 입은 수입철강에 대한 관세 인상이 그런 경우 아닙니까.

부시의 미국은 다른 나라에 강요하는 룰을 따르지 않아요. 부시는 자유주의를 주창하면서 동시에 도덕적으로는 보수적인 가치를 옹호합니다. 가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그러면서 부시는 자신이 주장하는 도덕적 아젠다(Agenda=과제)를 뒤집어 엎는 경제정책을 펴는 거죠.

역설적입니다. 레이건도 그랬어요. 레이건과 아버지 부시는 가족과 공동체의 가치에 매혹되었으면서도 도덕적 가치와 가족의 가치를 파괴하는 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을 폈던 겁니다. 부시의 자유주의는 이미 긴장을 낳고 있어요. 대기업에 혜택이 돌아가는 부시의 자유주의 정책은 환경문제와 조화를 이룰 수 없고 사회불안을 다룰 수도 없어요. 장기적으로 볼 때 큰 위기가 오고 있습니다.

지젝 박사는 빌 클린턴에게 좋은 점수를 주지 않는데, 부시는 클린턴보다 나은 대통령입니까.

지젝 노! 나더러 선택하라면 클린턴입니다. 부시는 속임수의 유산을 남길 거예요. 뜻하지 않은 일이 일어나지 않고, 이라크전쟁이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되면 단기적으로 부시는 전형적인 성공한 대통령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부시 통치의 장기적인 결과는 대실패일 겁니다.

우리는 이슬람 원리주의에 앞서 미국의 기독교 원리주의에 관해 많이 들었습니다. 십자군 점령 아래 있던 예루살렘을 탈환한 이슬람의 영웅 샐러딘(Saladin·1137~93)은 그에게 패배한 기독교도들을 관대하게 대접한 역사적 사실을 우리는 압니다. 오늘의 이슬람은 샐러딘 시대의 이슬람, 어제의 이슬람과 다릅니까.

 

 

 

 

지젝 그 질문 참으로 반갑습니다. 나는 옛 유고연방의 일부였던 슬로베니아 사람이어서 이슬람에 대해서는 피부로 느끼는 바가 많기 때문입니다. 유고연방 안에서도 가장 관용적인 지방은 이슬람의 도시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였어요. 사라예보의 유대계 인구는 유고연방 안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이슬람은 다른 종교에 대해 기독교보다 훨씬 관용적이었어요. 오늘날도 이슬람은 비(非)관용적이 아닙니다. 우리는 소수의 기독교들만이 자칭 도덕적 다수라는 원리주의자들이라는 사실을 잊고 지내는 경향이 있어요.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아직도 소수에 불과해요. 모로코와 이집트와 인도와 방글라데시와 인도네시아에는 원리주의자가 아닌 이슬람이 수억 명이 있어요. 원리주의자들은 훨씬 공격적입니다. 그러나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오히려 조지 부시의 잔인한 자유주의입니다. 부시의 자유주의는 점점 많은 이슬람들을 반미적 원리주의자로 만들 겁니다.

"칸트가 살아 있다면 미국을 야만적인 나라로 꼽았을 것"

미국은 21세기에도 계속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의 지위를 누릴까요? 유럽공동체(EU)나 중국이나 러시아가 미국의 지위에 도전할 날이 오겠습니까.

지젝 러시아는 미국에 도전할 힘을 기를 수 없을 것이고, 어쩌면 중국이 미국의 경쟁자가 될지도 몰라요. 내가 바라기는 유럽이 하나로 통합되어 미국과 중국이 아닌 제3의 선택으로 등장하는 것입니다. 미국의 패권주의는 이미 천천히 기력을 잃고 있다고 생각해요. 지금 미국이 이기고는 있지만 테러와의 전쟁은 일종의 공포(Panic)에 사로잡힌 반응이고, 다른 나라들이 강대국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전쟁입니다. 20세기는 미국의 세기였지만 21세기는 미국의 세기가 아닐 것으로 봅니다.

세계는 한없이 좁아지고 있습니다. 아시아에 유럽은 무엇이고 유럽에 아시아는 무엇입니까.

지젝 구체적으로 들어가자면 어느 유럽, 어느 아시아를 의미하는가를 따져야겠지만 일반적으로 말해서 유럽과 아시아는 이상한 문화적, 경제적 교환 관계에 있어요. 아시아에 유럽은 주로 경제적 모델입니다. 아시아는 유럽의 경제체제를 도입했어요. 반면 아시아는 유럽에 정신적인 것과 이데올로기를 전파했어요. 지금 유럽에서는 기독교가 서서히 퇴색하고 있어서 아시아의 정신적인 것이 유럽에서 점점 강한 이데올로기가 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유럽은 아시아에 경제 제도를 수출하고 아시아는 유럽에 이데올로기를 수출한다고 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이라크로 돌아가서, 만약 영구평화라는 도덕적 이상을 주창한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1804)가 부시의 안보담당 고문이라면 부시에게 어떤 충고를 할까요?

지젝 아닌게 아니라 헤이그 국제전범재판소를 준비하던 사람들도 칸트의 세계평화의 이상을 참고했어요. 세계에 법질서를 펴는 것이 칸트의 이상이었어요. 그래서 칸트는 부시에게 모든 대외정책을 국제법에 맞게 수행하되 단독으로 행동하지 말라고 충고할 겁니다. 내 말을 안 들으면 단기적으로는 이익을 볼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재앙을 만난다고…. 세계법정의 절대적 귄위를 인정하고 유엔에 더 많은 권한을 양보하라고….

그런 충고라면 부시가 듣지 않겠네요?

지젝 이론적으로 부시는 야만인(Barbarian)입니다. 미국의 정치에는 처음부터 야만적인 요소가 있었어요. 칸트가 오늘의 국제정치판을 관찰한다면 미국을 야만적인 나라로 꼽을 겁니다. 

 

 

 

 

06. 11. 0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iosculp 2006-11-05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 석유, 야만 애기나오면 이 영화가 떠오릅니다.
로버트 레드포드 주연, 콘돌인데(Three days of condor,1975)
75년 영화니 미국은 거의 바뀌지 않은 셈 같은데요. 이영화 보고난후로 미국에게 어떤 정의 같은것을 미국의 이익에 반해서 해주길 바라는것은 접었습니다.
민노당 북에가서 할말은 참 정선해가면서 하고 한국와서 미국에 대해서는 그냥해대던데 그런말한다고 미국이 콧방귀나 낄런지.

인터넷을 뒤져보니 영화 내용요약이 있어옮겨봅니다.

제임스 그래디의 소설 을 바탕으로 CIA의 조직적인 음모에 휘말려 쫓기는 어느 사나이의 모험을 그린 첩보 미스테리의 수작. 호화 캐스트 영화의 무게를 더했으며 특히 데이브 그루신의 도회감각 넘치는 상큼한 리듬감의 재즈음악이 좋다.

70년대 정치 스릴러 영화의 정점에 있는 작품으로 우연히 석유 전략 문제에 관한 CIA 내부의 극비 정보을 접한 하부 조직원이 생명을 위협당하면서 자신의 양심과 개인의 가치를 시험하는 싸움에 휘말리게 되는 얘기를 그리고 있다. 즉 CIA는 필요에 따라 하부 조직원들을 거리낌없이 죽인다는 것, 그리고 가공할 국가 권력은 결코 시민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 또 국가 기밀의 원칙은 시민의 알 권리를 통제하고 개인을 희생시킨다는 윤리적인 문제가 이 영화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시기적절한 주제와 탄탄한 서스펜스, 인정있는 영웅상을 보여준 로버트 레드포드로 인해 커다란 성공을 거둔 <콘돌>은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정치 기관을 바라보는 냉소적인 시각을 반영한 정부의 음모와 편집망상증을 그린 작품이다. 로버트 레드포드와 시드니 폴락은 오랫동안 파트너쉽을 유지했는데, 이 작품 이외에도 <추억>, <아웃 오브 아프리카>, <하바나> 등의 작품에서 공연했다.

미국 워싱턴 근교에 그 본부가 있는 CIA(Central Intelligence Agency)는 1만 6500명의 직원을 두고 연간 예산이 7억 5천만 달러라는 천문학적 액수를 가지고 운영되고 있다는 거대한 정보 조직이다. 이 영화 <콘돌>은 이 CIA의 무서움을 여실히 들어낸 작품이다. 이 영화에서 로버트 레드포드는 '콘돌'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리는 CIA 요원으로 나온다. 그가 일하고 있는 직장은 아메라칸 문학상협회, 그러나 알고 보면 이것은 위장 간판이고 삼엄하게 경비되고 있는 건물 안에서는 보통 사람들이 상상도 못할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 아메리카 문학사 협회는 고도로 전문화된 요원들이 전세계에서 출판된 공개적인 간행물이나 학술 연구 서적, 외국 방송, 또는 각국 정보기관의 자료 등에서 정보를 수집해 분석 정리하는 조직이다. 영화 <콘돌>은 로버트 레드포드가 우연히 석유 전략 문제에 관한 CIA 내부의 극비 정보에 접하면서 자신이 생명을 위협하고 자신의 양심과 개인의 가치를 시험하는 싸움에 휘말리게 되는 그런 얘기를 그리고 있다. 즉 CIA는 필요에 따라서 하부 조직원들을 거리낌없이 죽인 다는 것, CIA라는 가공할 국가 권력은 시민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 또 국가 기밀의 원칙은 시민의 알 권리를 통제하고 개인을 희생시킨다는 윤리적인 문제가 이 영화의 핵심 주제이다. 마침내 비정한 조직의 환멸을 느낀 주인공은 모든 사실을 '타임즈'지에 폭노한다. 그러나 CIA부장은 "그 정보는 결코 보도되지 않을 것이며 결국 너는 길거리에서 개처럼 죽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자신만만했던 주인공의 당혹스런 얼굴에서 화면은 정지된다.


written by 홍성진

로쟈 2006-11-05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젝의 지적대로, 미국의 문제는 '제국'의 덩치에 걸맞지 않게 '국민국가'로서 판단하고 행동한다는 것이죠...
 

가끔은 내가 써놓고도 까맣고 잊고 있었던 글들을 만나게 된다. 수년 전에 씌어진 걸로 보이는 아래의 글도 마찬가지인데, 말투로 보아 무슨 '댓글'로 씌어진 게 아닌가 싶다. 니콜라이 스타브로긴은 물론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악령>(1872)의 주인공이다. 그의 마지막 편지에 대해서 몇 마디 주석을 붙이고 있는데, '창고'에 넣어두도록 한다.

 

 

 

 

<악령>은 무엇보다도 주인공 스타브로긴에 대한 연구입니다. 젊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인간은 수수께끼라고 했을 때, 그 수수께끼성을 가장 매력적으로(악마적으로) 체현하고 있는 인물이 바로 스타브로긴이죠. <악령> 속에서 그가 자신에 대해서 직접 털어놓고 있는 부분들은 그래서 그 수수께끼를 풀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요긴합니다. 원래는 삭제됐었지만, 작가의 사후에 포함된 '스타브로긴의 고백'(<찌혼의 암자에서>)을 제외하면 <악령>을 마감하는 그의 편지는 우리가 거의 유일하게 참조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편지는 다리야 파블로브나를 수신자로 하고 있습니다. 그는 스위스의 '우리'란 곳에 도피처 겸 거처를 마련해 두고 그리로 갈까 합니다(그가 결국 선택한 것은 자살입니다). 하지만, 무슨 대단한 걸 기대해서는 아니죠.

"나는 우리의 생활에서 무엇 하나 기대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냥 가볼 뿐이죠. 내가 일부러 음울한 장소를 택한 건 아닙니다. 러시아에서 내가 구속받을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러시아에서는 다른 어느 곳에서나 마찬가지로, 모든 것이 낯설 뿐이지요. 사실 러시아에서 산다는 것은 다른 어느 장소에서 산다는 일보다 제일 싫은 일이었습니다.."

여기서 "낯설음"이라는 것은 스타브로긴을 대표해줄 수 있는 정서입니다. 그에게 세계(특히 러시아)는 낯섭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대지주의자인 샤토프(그리고 작가)의 대척점에 있습니다. 이를테면, 그는 발을 땅에 딛고 있는 인물이 아닙니다. 그는 관념에 들려 있는 인물이죠. 다만, 어느 한 가지 관념(=사상)도 그를 만족시키질 못합니다. 그의 내면은 너무 넓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그 넓이는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에서 드미트리가 말하는 "미학적'의 넓이가 아니라, 인식론적인 것입니다(*아래는 카뮈 각본, 안제이 바이다 연출의 연극 <악령>에 등장하는 스타브로긴. 모스크바의 '동시대인' 극장의 레퍼토리이다).

"나는 가는 곳마다 내 힘을 시험적으로 실험해 보았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서'라고 말하면서, 나에게 권했던 일입니다. 이렇게 나 자신을 위해, 또 남한테 보여 주기 위해 실험하면서도, 내 힘이 한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서, 확인하기 위해서 그는 선행과 악행을 구별없이 행합니다. 하지만, 결코 그는 자신을 알지 못하는데(그 자신에게도 그는 수수께끼입니다), 그것은 아무리 추악하고 엽기적인 행동도 그의 한계를 드러내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그의 힘과 내면은 무한하거나 무한에 가깝습니다. 말하자면 그는 '인식론적 자아의 무한성'으로 인하여 고통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거기에 비하면 라스콜니코프의 경우는 소박하기 짝이 없죠. 도끼로 한 노파를 살해하자 마자 자신의 한계가 막바로 드러난 경우니까(앓아눕지 않습니까?).

하지만 스타브로긴의 경우는 12살 소녀 마트료샤가 자살하는 걸 지켜보면서도 자신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력을 잃지 않습니다. 샤토프가 따귀를 때렸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에겐 반응(reaction)이란 것이 없습니다. 그야말로 무관심한 존재인 것이죠. 그는 타자의 어떤 목소리에도 응답할 줄 모르는 윤리적 백치인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인식론적 무한은 윤리학적 무한의 결핍을 전제로 합니다. 그에겐 윤리학적 자아가 부재합니다. 무관심이 그 증표입니다. 윤리학적 자아란, 레비나스의 말을 빌면, 타자의 무한성과 대면하는 자아입니다. 인식론적 자아가 오딧세이의 귀향처럼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는 자아라면, 그래서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는 자아라면, 윤리학적 자아는 아브라함과 마찬가지로 결코 고향으로, 자기 자신에게로 귀환하지 않는 자아입니다. 즉 타자의 무한 속에서 실종되거나 몸둘 바를 모르는 자아인 것이죠. 제 생각에 도스토예프스키에게서 대지는 그러한 무한성의 표상입니다. 스타브로긴의 경우는 자신의 인식론적 무한에 포박당한 채, 윤리학적 무한에는 끝내 눈뜨지 못하는 불행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그 불행은 사소한 것이지만, 삶을 더이상 지탱하기 힘들게 할 수도 있는 것이죠.

"나는 잘 알고 있습니다. 나 같은 놈은 스스로 자신의 목숨을 끊어버리지 않으면 안된다는 걸 말입니다. 더러운 곤충처럼 지구의 표면에서 근절해 버려야 함을... 그러나 나는 자살을 두려워 합니다. 그것은 아량을 보이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이죠. 나는 잘 알고 있소, 그것이 허위임을. 무한한 허위의 연속 속에 있는 최후의 허위임을..."

인식론적 무한은 동시에 허위의 무한(=무한한 가면)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차연의 세계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인식론적 의미나 진실에 대면하려고 할 때마다 그것은 한 걸음씩 물러나지요. 왜냐하면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은 체계이며, 타자와의 차이이기 때문입니다. 차이적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일종의 악무한인 것이죠. 그러한 사정에 눈뜨기 위해서는 타자에 눈을 떠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인식론적 무한의 맹목성과 비참(=가난)에 눈을 떠야 합니다. 그것은 분노와 수치와 절망을 동반하겠죠.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스타브로긴에겐 결여되어 있으며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자살은 구원없는 필연이기도 합니다.


그가 이렇게 마지막으로 말합니다: "나는 이곳을 떠난 다음부터 여섯번째 역의 역장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내가 이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은 아무도 모르고 있습니다. 이 사나이의 앞으로 회답을 써 주십시오. 주소는 따로 동봉합니다."

그에게 이 편지를 보내고 싶지만, 불행히도 우린 그의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군요!...

06. 11. 03.

 

 

 

 

P.S. 참고로, 최근에 권철근 교수의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연구>(한국외대출판부, 2006)가 출간됐다. 도스토예프스키에 관한 단행본 연구서로는 (놀랍지만) 국내 최초의 것이다. 이제까지 국내 연구자들이 펴낸 관련서로는 포괄적인 해설서와 사전, 그리고 논문모음집 등이 있었다. 새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이 간행된 지도 벌써 수년이 지났다. 번역이 무엇보다도 일차적인, 러시아문학 전공자들의 과제였다면, 이제는 새로운 시각과 축적된 연구역량을 과시할 만한 업적들이 나올 때도 되었다. 그러는 너는? 자고로 '주마가편'이라고 했다. 이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1942- )과 관련한 최근 소식은 그다지 유쾌한 것이 아니었다. 한때 '학대받는 남편'이란 소문이 떠돌기도 했었는데 결국은 그가 두번째 아내와도 이혼할 거라는 소식이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막이야 호사가들의 관심거리일 수도 있겠지만, 왠지 '이혼' 등의 어휘는 호킹이란 이름과는 잘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그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단어는 역시나 '우주'이고 '시간의 역사'이지 않겠는가. 올초에 그가 쓴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까치글방, 2006)이 출간됐었는데, 한해가 가기 전에 그가 엮어서 해설을 쓴 책 한권이 더 출간됐다.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까치글방, 2006)이 그것이다.

 

 

 

 

지금은 새 판본들이 출간돼 있지만, 옛날 학부시절에 읽었던 <시간의 역사>(삼성이데아, 1989)가 기억에 떠오른다(그는 칼 세이건 이후의 '스타 과학자'였다). 그 시절에 나는 52킬로까지 체중이 떨어지기도 해서 지인들이 '스티븐 호킹'이라고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었다. 하긴 수학에만 자신이 있었더라면 '사람으로 붐비는' 인문학 대신에(그래서 언제나 멜랑콜리하다) '별들로 반짝이는' 천문학을 공부했을지도 몰랐지만(물론 천문학자의 지상에서의 삶이란 것도 '학대받는 남편' 언저리라니까 좀 서글프긴 하다). 

몇년 전에 <호두껍질 속의 우주>(까치글방, 2001)를 고가에 구입해서 부듯해한 적이 있는데, 둘러보니 또 박스에 들어가 있는 모양이다(박스에 들어가 있는 우주!). <거의 모든 것의 역사>도 같은 운명이고(박스에 들어가 있는 역사!). 돈푼깨나 없는 인문학자로선 천문학책을 넘겨보는 것도 사치인 모양이다. 그냥 소개기사나 읽어두도록 한다...  

한겨레(06. 11. 03) 스티븐 호킹이 재구성한 '거인들의 생애'

1684년 8월 아이작 뉴턴은 영국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혜성으로 유명한)의 느닷없는 방문을 받았다. 직전에 핼리와 동료과학자들은 ‘행성들이 타원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이유’를 알아내는 내기를 했다. 도움을 청하려 뉴턴을 찾은 핼리는 역제곱 법칙이 해법이라고 짐작하고서, 그에게 “만약 태양에 의한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면 행성의 궤도가 어떤 모양이 될 것 같으냐”고 물었다. 뉴턴은 즉시 “타원이 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뉴턴은 그러나 감탄해 마지 않던 핼리에게 자신이 계산했던 문서를 찾아주지 못했다. 그는 대신 다시 계산을 해 보여주겠다고 약속했다. 뉴턴은 이후 2년 동안 칩거하면서 걸작 <프린키피아> 곧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를 저술했다.(빌 브라이슨의 <거의 모든 것의 역사>에서)

지동설, 타원 궤도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E=mc2, 상대성 이론…. 과학교과서는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케플러, 뉴턴, 아인슈타인 등 근대 물리학의 대과학자들을 ‘기호’로 전달해준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 “내가 더 멀리 보아왔다면, 그것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 있었기 때문이다” 등의 경구와 짧은 일화가 장식으로 곁들여지기도 하지만, 교과서에서 이들의 과학적 업적과 삶의 궤적을 동시에 그려내는 일은 너무도 뛰어난 상상력을 요구한다.



20세기 가장 뛰어난 물리학자로 꼽히는 스티븐 호킹이 편저자로 돼 있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 물리학과 천문학의 위대한 업적들>(까치 펴냄)은 이들 5명의 과학자의 생애와 대표적 저술을 담고 있다. 책을 옮긴 김동광 박사(과학사회학)는 “직접 원전을 접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는 당시 연구가 이뤄지던 맥락과 함께 거인들이 쓴 글을 직접 읽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괴테가 ‘인간 정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것으로 평가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대하여>, <두 주요 세계 체계-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에 대한 대화>로 종신형을 받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마지막 역작 <두 새로운 과학에 대한 대화>, 자신의 수태 기간을 분 단위까지 계산할 정도로 절대적 엄밀함을 추구하면서 헌신적 삶은 산 요하네스 케플러의 <우주의 조화>(제5권), 뉴턴의 <프린키피아>, 특수 상대성 이론이 담긴 <움직이는 물체의 전기 역학에 대하여> 등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논문 5편이 실려 있다.(이근영 기자)

06. 11. 02.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을산 2006-11-03 09:13   좋아요 0 | URL
이런, 기사 마지막줄이 감흥을 깨네요.

클레어 2006-11-08 09:20   좋아요 0 | URL
예전 기사에 따르면 호킹박사는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하더군요. 대학자와 가정폭력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 볼 수 있지만 장애인과 간병 간호사로 인연을 맺었던 호킹부부의 관계를 보면 대학자란 타이틀이 가정에서는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렇네요.

로쟈 2006-11-08 11:46   좋아요 0 | URL
네, 그런 기사들이 떴었지요. 본문에 적은 대로 천체물리학자라 하더라도 지상의 '육체'로부터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