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인들이 가장 많이 읽은 로마사 책이라고 알려진 인드로 몬타넬리의 <로마 이야기>가 개정판으로 다시 나왔다. 앞서 <로마제국사>(까치)라고 번역됐던 책이다. 원저 초판은 1957년에 나왔고 1988년에 개정판도 나왔다. 짐작엔 서문만 다시 쓴 것 같다. 개정판 서문의 첫 단락이다...

제 앞가림도 변변치 못한 내가 이 책을 몇 번이나 다시 찍었는지 기억할 수 있겠는가. 다만 다른 외국어로 번역된 것을 제외하고도 이탈리아어 판만 50만 부 이상 팔린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결코 그것을 자랑할 생각은 없다. 항상 그렇듯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사실은 결코 그 책의 가치를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잣대가 되지 못한다. ‘올해의 책‘이라고 과대하게 광고된 책이 이듬해에 독자들의 기억에서 사라지는 경우를 수없이 보아왔다. 이 경우, 오히려 풍자적인 의미에서 성공한 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로마 이야기』와 같은 책이 적어도 35년의 긴 세월 동안 독자들로부터 꾸준히사랑받았다면, 이는 크든 작든 분명히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객체지향 존재론에 대한 지젝의 검토와 비판을 읽으려다 보니 그레이엄 하먼과 레비 브라이언트의 책에까지 손이 갔다. <존재의 지도>(‘기계와 매체의 존재론‘이 부제다)가 <객체들의 민주주의>보다 먼저 나왔는데, 총서(사변적 실재론 총서) 편집자인 하먼이 서문을 붙였다. 서문의 한 단락이다. ‘유물론의 갱신을 위하여‘는 저자 서론의 제목이다...

브라이언트는 이 책에 앞서 두 권의 책을 출판했다. 첫 번째 책은 『차이와 소여 : 들뢰즈의 초험적 경험주의와 내재성의 존재론』 Difference and Givenness: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and the Ontology of Imma-nence(2008)이라는 들뢰즈에 관한 책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많은 독자가 이 책을 들뢰즈의 걸작 『차이와 반복』에 관한 최고로 유용한 책으로 여기는데, 그런 영예를 놓고 경쟁하는 다수의 훌륭한 책이 있음에도 말이다. 내가 브라이언트와 개인적으로 알게 된 시기는 그의 첫번째 책이 출판된 직후였는데, 요컨대 그 만남은 두 사람 모두에게 심대한 영향을 끼친 지성적 우정이었다. 브라이언트는 객체지향 존재론(이하 000)으로 알려진 운동에서 빠르게 핵심 인물이 되었는데, 그 용어는 2009년에 브라이언트 자신이 고안한 용어다. 브라이언트는객체지향 패러다임과 브뤼노 라투르의 저작에 몰두함으로써 『객체들의 민주주의 The Democracy of Objects』(2011)라는 자신의 두 번째 책을 저술하게 되었다. 그 책은 장점이 많은 책이면서, 어쩌면 바디우와 들뢰즈 같은 기성의 대륙적 명사들에서 프란시스코 바렐라와 움베르토마투라나, 독일인 체계 이론가 니클라스 루만에 이르기까지 놀랍도록 다양한 사상가를 종합한 점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책일 것이다. 그 책은 자체의 많은 흥미로운 참고문헌을 넘어서 향후 수십 년 동안 읽힐 법하게 만드는 참신함과 명쾌함으로 특징지어진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즈마 히로키의 비평관이 간명하게 표현돼 있다. <관광객의 철학>의 서플먼트로도 읽힌다...

하지만 정말 올바른 데이터를 갖고 올바로 논의하면 모든 인간이 같은 결론에 도달하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않는다. 만약 그렇다면 종교 갈등이 일어날 리 없다. 정의는항상 여러 모습으로 존재한다.
일본인은 "얘기하면 이해할 거야"라는 이상을 믿는 듯하다. 그러나 사실은 "얘기해도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받아들이고 포기하는 것, 이것이 바로 함께 살아가는길이다. 사실과 가치를 구별하는 비평은 이 ‘포기=공생‘의 길을 전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믿는다.
- 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의 단언대로 매우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다룬 책이다. 견해가 다른 유발 하라리조차도 ˝매우 유익한 토론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며 추천했다. 네덜란드 간판 저널리스트 혹은 역사학자가 세계 지성계에 한방 먹였다...

이 책은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오래전부터 지배자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진 발상이다. 종교와 이데올로기가 부인하고, 뉴스매체가 무시하며, 세계사 연대기에서 지워진 아이디어이며 더불어 과학의 모든 영역에서 정당성을 인정받은 발상이기도 하다. 진화에 의해 증명되고 일상생활에서 확인된 아이디어이다. 인간 본성의 너무나 본질적인 것이라 눈에 띄지 않고 간과되는 발상이다. 우리가 좀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곧바로 혁명을 시작하게 만들 수 있는,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이다. 진정한 그 의미를 파악하게 되면 다시는세상을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볼 수 없게 만들 것이 확실하다. 그야말로 환각성 마약 같은 것이다. 그렇다면 이 급진적인 아이디어는 도대체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 내심은 매우 고상하다는 것이다.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제가 ‘포토에세이‘이지만 일부는 독서에세이다.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에 대한 독후감은 ‘사랑의 저울추‘라는 제목이고, 아래 인용문은 그 마지막 단락이다. 사실 정념으로서의 사랑이란 주제는 별도로 한권의 책이 할당될 만하다...

덜 사랑하는 사람은 철새이고 사라지는 자입니다. 사랑하는자는 붙박이이자 처분을 기다리는 자입니다. 싱크대 한쪽에 미뤄둔 기름 묻은 프라이팬처럼 주인의 손길을 기다리는 신세이지요. 언제나 부재중이거나 안개처럼 존재하는 그 존재가 사랑인 줄 알고, 창을 연 채 반쯤은 얼빠진 모습으로 기다리는 것이지요. 사랑하는 것만큼 사랑받지 못한다는 사실조차 생각하지 못한 채.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갈망하고 집착하다 체념하는 것, 이것이 사랑의 속성인 것을, 나약했던 그 순간을 통과하기 전까지는 스스로를 찔러대며 환상을 키우는 몹쓸 패배의 사랑!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