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정신 공간>(한국문화사, 2015)이란 책 때문에 알게 된 저자는 질 포코니에다. 알고 보니 이미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지호, 2009)란 책의 공저자로 소개된 바 있다. 기억에 전혀 없는 책이어서 아주 뒤늦은 '이주의 발견'이다. 포코니에는 프랑스 태생으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는 캘리포니아대학의 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라 한다. 1944년생이니까 일흔을 넘겼다.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마크 터너와의 공저이고, '개념적 혼성과 상상력의 수수께끼'가 부제다.

 

이 책의 핵심 주제는 동일성, 통합, 상상력의 작용을 탐구하는 것이다. 무의식적이면서 강력하고 복잡한 이 작용들은 의미의 신비를 파헤칠 열쇠이다. 상상력은 단순히 문학과 예술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평범한 생각은 물론 과학적 사고에도 상상력은 필수적이다. 상상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의 본질이다. 이 책은 이제는 상상력의 과학을 해야 할 때라고 선언한다. 인지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은 하나같이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들은 문학, 의례행사, 신문 기사, 광고, 과학적 진술과 농담, 유머, 수수께끼, 평범한 일상 표현에 이르기까지 인간사의 다채로운 영역을 조사하면서 인간 상상력의 작용과 개념적 혼성의 힘을 보여준다.

 

상상력의 힘을 강조하는 학자로는 단연 상징적 상상력을 주창한 질베르 뒤랑을 꼽을 수 있을 텐데, 포코니에는 신화학이나 인류학이 아닌 언어학과 인지과학에 바탕을 두고 상상력의 힘을 조명하고 있어서 흥미를 끈다. 안 그래도 최근에 바슐라르의 책들에 다시금 관심을 갖게 돼 주섬주섬 관련서를 모으며 재정비하던 참이라 포코니에의 책 두 권에도 손길이 안 갈 수 없다. <정신 공간>은 좀더 전문적인 책으로 보이는데, 여하튼 그래도 뭔가 계발적인 아이디어와 접할 수 있다면 독서의 가치로는 충분하다.

 

 

말이 나온 김에 적자면, 물질적 상상력을 다루는 바슐라르의 책은 10여 년만에 다시 손에 들게 되었는데, 최근에 구입한 건 <공간의 시학>(동문선, 2003)과 <몽상의 시학>(동문선, 2007), 그리고 <불의 정신분석>(이학사, 2007) 등이고, 영어본도 함께 구했다. 번역본만 읽다가 애를 먹은 기억이 있어서다. 당장 깊이 탐독할 시간은 없지만, 자꾸 환기하다 보면 결국엔 읽을 수밖에 없을 때가 오리라. 독서도 때로는 강요와 협박이 필요한 법이다...

 

15. 02. 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상과 비정상의 과학>(시공사, 2015)과 함께 주문해서 받은 책은 데이비드 에저턴의 <낡고 오래된 것들의 세계사>(휴먼사이언스, 2015)다. '석탄, 자전거, 콘돔으로 보는 20세기 기술사'가 부제이고, 원제는 '오래된 것들의 충격'이다.

 

<낡고 오래된 것들의 세계사>는 그동안 새로운 것, 최초의 사용, 혁신에 초점을 맞췄던 기술사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낡고 오래된 것들을 통해 새로운 관점의 기술사를 주장한다. 이제 3D 프린트, 공간 이동, 타임머신이 아니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석탄, 자전거, 콘돔, 말, 재봉틀, 물레, 판자촌의 골함석 등 우리가 ‘사용해’ 왔던 기술을 되돌아보자.

책은 그럭저럭 읽어볼 만한 할 듯싶어서 구입했지만 저자 소개를 읽다가 정작 더 관심을 갖게 된 책은 <전쟁국가>다. "과학기술에 대해 미래지향적인 기존의 관점을 털어내는 데 앞장서는 도전적인 기술사가다. 20년 넘게 이 주제에 대해 수많은 저작을 남겼다. 그중 결정적인 것은 이 책과 <전쟁국가)>이다"라는 대목 때문이다.

 

찾아보니 1920-1970년까지 50년간을 다룬 20세기 영국사다. '전쟁국가'가 통상 떠올려주는 대상은 아니지만, 생각해보면 영국은 미국과 함께 2차세계대전의 승전국이다(러시아, 즉 소련도 승전국이긴 하지만 너무 많은 피해를 입은 터라 승전국이란 말이 잘 어울리지 않는다). '전쟁국가'로서의 영국의 군사력과 그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는 책일 듯싶어서 관심이 간다. 원서는 좀 비싸서 구입은 보류한 상태인데, 깔끔한 번역본이 나와주면 좋겠다.

 

 

저자의 다른 책으론 <영국과 항공기>, <영국의 전쟁기계>, <과학, 기술과 영국의 산업 쇠퇴 1870-1970> 등이 있다. <전쟁국가> 대신에 펭귄에서 나온 <영국의 전쟁기계>를 구입해볼까 싶다. 비슷한 내용이라면 훨씬 저렴하니까...

 

15. 02. 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분야의 책소개를 따로 분류하기 위해서 '로쟈의 과학'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었는데, 첫 책으로 조던 스몰러의 <정상과 비정상의 과학>(시공사, 2015)을 고른다. '비정상의 시각으로 본 정상의 다른 얼굴'이 부제. '이주의 발견'에 해당한다.

 

이 책의 저자이자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부교수인 조던 스몰러는 자신이 정상을 정의하려는 이유에 대해 “마음과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다루는 기본적인 지도가 없다면, 우리는 이상하고 기이하며 문제 있다고 판단되는 행동에만 전적으로 의존한 채, 정상과 비정상을 정의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저자는 이 책에서 ‘정상성’을 정의하기 위해 정신의학뿐만 아니라, 진화생물학, 신경과학, 유전학, 심리학, 그리고 사회문화적 영향까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총망라한다.

찾아보니 관련서로는 데이비드 리버만의 <누가 정상이고 누가 비정상인가>(아카데미북, 2012) 같은 책이 눈에 띈다. '행동과 심리를 분석하여 진짜 내면을 읽어 내는 인간관계 프로파일링'이 부제이니 정상과 비정상 식별법을 알려준다는 책이다.

이 책을 쓴 데이비드 J. 리버만 박사는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 박사이자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사사로운 추측을 배제하고 어떤 사람이 정상인지, 신경과민을 넘어서는 위험한 면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입증된 전략을 가르쳐 준다. 저자는 현대인의 복잡한 심리와 행동에 대한 날카롭게 분석하고 통찰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데, 그간 국내에 소개된 그의 책이 '진정한 나'를 찾고 주관적인 행복에 이르는 방법을 제시해 왔다면, 이 책은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로부터 나 자신과 가족,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는 방법을 알려 준다.

소위 정상 쪽에서 비정상을 바라본 책이라면, <정상과 비정상의 과학>은 왜 우리가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려고 하는지, 그 심리적 기원을 들여다보려는 책이겠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확인해봐야겠지만. 한편 정상/비정상의 기준이나 구획 자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대해서는 캉길렘이나 푸코 등의 책을 참고할 수 있겠다(특히 푸코의 <비정상인들>)...

 

15. 02.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