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철학자 장-뤽 낭시에 관한 자료를 옮겨놓는다. 필립 라쿠-라바르트의 공동작업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낭시는 흔히 '데리다 사단'으로 분류되는 철학자인데, 데리다 스스로가 이 '제자'에게 상대한 두께의 저작을 헌정했을 정도로 높이 평가한 바 있다. 국내에서 출간된 책 가운데는 블랑쇼의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문학과지성사, 2005)에 낭시의 공동체론이 들어가 있고, <숭고에 대하여>(문학과지성사, 2005)는 낭시 등이 편집한 책이다(참고로, 그의 저서가 일본어로는 10권 이상이 번역돼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일간지에 연재된 글들을 모은 <세계 지식인 지도>(산처럼, 2002)에서 대략적인 소개를 읽어볼 수 있다.

 

 

 

 

난데없는 낭시 타령인가 싶지만, 러시아 학자와 낭시와의 대담 하나를 번역하게 될지 몰라서 어제 도서관에 갔다가 영역본으로는 가장 최신간인 <다양한 예술: 뮤즈들2(Multiple Arts: The Muses II)>(스탠포드대학출판부, 2006)를 대출했다. <뮤즈들>에 이어서 자투리글들을 모은 낭시의 예술론집인데(불어 원서가 있는 건 아니고 영역본의 편자가 낭시의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표지의 사진이 인상적이어서(게레로의 작품이라고만 나온다) 검색해봤지만 찾지 못했다. 어쨌든 이 두 책을 소개한다는 명분으로 이 페이퍼는 '세계의 책'으로 분류된다. 아직 주저들이 번역/소개되지 않은 철학자이지만(나는 네댓 권의 영역본과 연구서를 갖고 있다) 불시에 또 소개될지 누가 알겠는가.

달랑 이런 내용만 띄워놓기는 멋쩍으니까 참고자료도 하나 덧붙여둔다. 앞서 언급한 블랑쇼의 책을 번역한 박준상씨가 2003년 6월 동국대학교 대학원신문에 게재한 소개의 글이다.

장-뤽 낭시와 공유·소통에 대한 물음

박준상 (연세대 철학과 강사)

1. 공유 내의 존재 etre-en-commun
여기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장-뤽 낭시Jean-Luc Nancy(1940- )에 대해 무엇을 먼저 말해야 하는가? 그의 사상의 특성이라고 여겨질 수 있는 것을 밝혀봄으로 논의를 시작해 보기로 하자. 낭시의 사유의 핵심에 정치적인 것이 놓여 있으며, 그의 사상은 시종일관 정치적이다. 하지만 여기서 '정치적인 것'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는 일반적인 관점으로만 이해되어져서는 안 된다.




많은 다른 정치사상가들의 경우에 그러하듯, 낭시는 물론 정치적 사건들(동구권의 해체, 걸프전), 정치적 변화들(세계화, 서양중심주의의 한계), 정체政體들·이데올로기들(민주주의, 공산주의, 나치주의)에 대해 구체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의 그러한 분석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개입일 뿐이고 구체적인 정치적 판단으로 이어질 뿐이며, 모든 경제·문화·사회현상들을 총체적으로 설명 가능하게 하는 어떤 초월적 원리를 배경에 깔고 있지 않다. 말하자면 낭시의 정치철학은 이른바 '형이상학적'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관점에서 보면, 매우 급진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모든 종류의 정치가 가능하기 위한 전제 또는 조건으로서의 정치적인 것을 문제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 정치적인 것이란 이미 공동존재(함께 있음, etre-avec)에, 인간들 사이의 소통에 기입되어 있으며, 어떤 '우리'의 존재의 수행(실현, 표현)이다. '우리'의 존재, 다시 말해 '나'의 존재도 타자의 존재도 아닌, 모든 단일성, 동일성(정체성), 내재성 바깥의 존재, 고정된 개체의 속성에 따라 규정되는 존재가 아닌, '나'와 타인 사이의 보이지 않는 관계 내의 존재, 관계에만 정초될 수 있는 존재. '나' 자신의 존재에 대한 확인으로 귀결되는 자기의식의 반대편에 놓이는 존재, 또한 어떤 주제theme에 고정되어 동일화된, '내'가 구성한 타인의 존재를 부정하는 존재. 정치적인 것으로써 '우리'의 존재의 수행이란 '우리'의 서로에게로 향함·나타남, 관계 내의 서로를 향한 실존들의 만남, 접촉touche이다. ('접촉'은 낭시의 용어이지만,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람은 그의 동료,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이다. 데리다의 낭시에 바쳐진 저서, <접촉, 장-뤽 낭시> 참조, J. Derrida, Le Toucher, Jean-Luc Nancy, Galilee, 2000.)



낭시는 보이지 않는 관계('나'와 타인은 보이지만 그 관계는 보이지 않는다)의 존재, 공유 내의 존재를 조명하며, 거기에 그의 사유, 정치적 사유의 핵심이 있다. 그러나 '나'와 타인―또는 타인들―의 관계를 정치에까지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이거나 과장이 아닌가? 분명 '나'와 타인 사이의 관계의 존재, 공유 내의 존재 그 자체는 정치가 아니다. 그러나 공유 내의 존재는 '나'와 타인 사이의 모든 종류의 만남의 근거에 있는 나눔partage, 어떤 '무엇'을 나눔이 아닌, '우리'의 실존('우리'의 있음 자체)의 나눔의 양태, 나눔의 전근원적 양태를 지정한다. 공유 내의 존재는 인간들 사이의 모든 종류의 소통과 공동체 구성의 근거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나아가 현실의 정치적 결정·행동에 있어 결코 간과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공유 내의 존재는 '정치적'이다. 그것은 모든 종류의 정치의 근원이다.

아마 낭시는 공유 내의 존재가 지금까지 한번도 제대로 사유된 적이 없이 망각 가운데 묻혀버렸다고 말할 것이다. 이제까지 나눔과 공동체라는 정치적 문제에 있어, '무엇'을 나눔과 '무엇'에 기초한, '무엇'을 위한 공동체만이 부각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0세기에 소비에트를 중심으로 세계 전역에 걸쳐 진행된 마르크스주의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었던 것은 하나의 '무엇', 즉 재산의 공유共有였다.

나치는 열광적인 정치공동체를 이루었지만, 그것은 공동의 이념적 '무엇'(반유대주의와 게르만 민족의 우월주의)의 기초를 바탕으로 가능한 일이었다. 어떤 공동체가 가시적 '무엇'(재산, 국적, 인종, 종교, 이데올로기)의 공유를 최고의 가치로 삼을 때, 그 공동체는 필연적으로 왜곡될 수밖에 없다. 왜곡, 말하자면 보이는, 쥘 수 있는―전유專有할 수 있는―동일성의 지배, 공유 내의 존재의 망각. 그 '무엇'에 따라 전개될 수 없는, 그 '무엇'이 목적일 수 없는, 실존의 나눔의 망각, 함께 있음 자체의 망각. 하이데거는 우리가 존재자에 대한 이해와 소유라는 관심에 사로잡혀 존재망각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아마도 낭시는 우리가 보이는 '무엇'에 대한 공유 바깥의 나눔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관계에 기입되는 공유 내의 존재를 망각했다고 말할 것이다.

거기에 결국 낭시의 급진적이고 근본적인 정치적 물음이 있다. '우리'가 함께 있는, 함께 있어야 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무엇' 때문이 아니며, '무엇'을 나누기 위해서도 아니다(우리는 재산을 공유하기 위해 함께 있는 것이 아니다―이 말은 재산을 나눈다는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우리'가 함께 있는 이유와 목적은 다만 함께 있다는 데에 있다. 함께 있음의 이유와 목적은 함께 있음 그 자체이다. 다만 함께 있기 위해 함께 있음, 즉 공유 내의 존재를 위한 함께 있음, '무엇'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있음 자체를 나눔, 다시 말해 '나'와 타인의 실존 자체가 서로에게 부름과 응답이 됨, '우리'의 실존들의 접촉.



2. 유한성의 경험
공유 내의 존재, 거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가시적 어떤 것의 공유가 아니라, 타인이 '나'를 향해 다가옴, '내'가 그 다가옴에 응답함, 즉 '내'가 타인을 향해 건너감, 타인을 향한 외존外存ex-position, 관계 내에 존재함, 어떠한 경우라도 비가시적, 동사적 움직임들의 부딪힘, 접촉이다. 유한有限한 자들의 만남. 낭시는 현대철학에서 많이 언급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된 '유한성finitude'이라는 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사상가이다.

인간의, 인간들의, '우리'의 유한성, 여기서 유한성은 첫째로 완전한 내재성內在性의 불가능성이다. 완벽히 자기 자신에게 갇혀 있을 수 있는, 그 스스로에 정초된―그 스스로가 자신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율성을 가진 개인이란 없다. 인간은 항상 자기 아닌 자에게 열려 있을 수밖에 없다. 그에게로 향함, 그에게 노출되어 있음, 그를 향한 외존, 관계 내에 존재함, 그것이 '나'의 존재의 조건이다. 인간은 자유의 존재가 아니라, 그가 향해 있는 타인에 의해 제약된 존재, 하지만 그 제약으로 인해 비로소 의미sens에 이를 수 있는 유한한 존재이다. 유한성 가운데에서의 존재란 먼저 외존 가운데에서, 관계 내에서의 존재, 폐쇄성과 내재성 바깥의 존재를 의미한다.

두 번째로 유한성은 만남의 유한성을 가리킨다. '우리'의 실존들의 접촉은 영원한 것도 아니고 지속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 접촉은 불규칙적, 단속적 시간에, 즉 시간성 내에서 전개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의식을 통해 확인하고, 표상할 수 있는 '무엇'에 정초되어 있지 않고, '무엇' 바깥의 타인의 나타남에 응답하는 순간의 정념情念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접촉, '무엇'에 의하지 않는, '무엇' 때문이 아닌 급진적인 만남, 그것에 정념만이, 극단의 단수성(singularite, 타인의 나타남의 단수성)을 긍정하면서, 답할 수 있다. 정념, 만져지지 않는,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무엇'에 따라 고정될 수 없는 관계 자체에 대한 감지.

그러나 만남의 유한성은 인간들의 관계가 지속될 수 없다는 것을, 나아가 지속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다만 그 유한성은 관계를 '내'가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을, 즉 타인을 '나'에게 필요한 그 '무엇'의 요구에 따라 어떤 동일성 내에로 동일화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그에 따라 그것은, 만일 '무엇'이 관계를 지배할 때, 그러한 지배(예를 들어 재산의 지배, 정치적 이념의 지배, 인종과 국적의 동일성의 지배―지금 이 땅의 경우 학벌과 지역적 동일성의 지배)에 지속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하는, 근거·이유·목적도 없는 만남, 또는 그 자체가 이유와 목적인 만남, 즉 실존들의 접촉과 그 순수성을 정당화한다.

세 번째로 낭시가 말하는 유한성은, 그 가장 보편적인 의미에서, 한계상황(죽음, 병, 고독)에 놓여 있는 인간의 존재양태를 표현한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라도 낭시에게 유한성은 공유 내의 존재와 무관하지 않다. 하이데거는 죽음에로의 접근이 '나'로 하여금 일상적이고 평균적인 존재양태, '그 누구Man'의 지배에서 벗어나 본래적 실존에로 눈을 돌리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에 반해 낭시는 죽음에로의 접근의 경험이 '나'로 하여금 본래적 실존에로 돌아가게 한다기 보다는 오히려, 외존(타인을 향해 존재함, 타인과의 관계 내에 존재함)을 통한 급진적인 공유 내의 존재를 부르게 한다고 본다. 죽음에로의 접근의 경험은 '나'와 자신의 본래적 관계의 회복을 요청한다기 보다는, 죽음이라는 절대타자 앞에서 '나'의 동일성이, 그것이 무엇이든, 한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07. 01. 13.

P.S. 한 분이 귀뜀해주신 바에 따르면 국내에도 개봉된 바 있는 영화 <텐 미니츠 첼로>(2002)에 낭시가 직접 출연했다. 열 명의 감독이 찍은 단편영화 열 편으로 구성돼 있는 <텐 미니츠 첼로>의 다섯번째 영화가 바로 클레르 드니 감독의 <낭시를 향해서(Vers Nancy)>이다. 기차여행을 하면서 10분간의 철학적 대화를 나눈다고 하는 이 영화의 시놉시스는 이렇다. 

철학자 장 뤽 낭시와 그의 학생 중 한 사람인 안나가 기차여행을 하며 서로 나누는 대화만으로 이루어진 영화이다. 낭시는 ‘침입자’라는 단어로 이민자들이나 타자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불안과 공포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또한 인종융합에 관한 미국적 개념인 ‘도가니’가 차이를 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비판하며 더불어 이들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태도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 길게 이어진 대화가 끝난 후 그들의 자리에 한 흑인이 들어와 조용히 묻는다. “언제 도착하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7-01-13 17:38   좋아요 0 | URL
세계 지식인 지도 저런것도 있었나요. 당장에 보관함 넣습니다. 김상환 교수가 엮은거네요?

로쟈 2007-01-13 17:41   좋아요 0 | URL
중앙일보엔가 연재됐던 글들입니다...

토마스 2007-01-14 22:40   좋아요 0 | URL
장-뤽 낭시가 등장하는 영화도 있습니다. 국내에서 개봉되었던 옴니버스 영화 <텐 미니츠 첼로> 중 클레어 드니가 연출한 <낭시를 향해서>에 등장합니다. 기차 안에서 주인공은 장-뤽 낭시와 그의 철학적 개념인 환대, 타자 등에 관한 대화를 나눕니다. 그러고보면, 이 영화의 제목이 꽤 의미심장하지요. 낭시는 레비나스와 데리다 이후 환대, 타자에 관한 성찰을 친절하게 영화에서까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영화감독들이 가끔 영화를 통해 사상을 전하는 일이 있기는 하지요.

로쟈 2007-01-14 22:32   좋아요 0 | URL
요긴한 정보군요.^^ 눈에 띄면 구해봐야겠습니다...
 

방학중인 아이에게 과제도서를 읽히기 위해서 동네도서관에 갔다가 문학잡지들을 훑어보게 되었다. 정확한 통계는 모르지만, 짐작에 한국은 전세계에서 (전국단위) 문학잡지가 가장 많이 출간되는 나라가 아닌가 싶다. 그 잡지들을 가득 채우고 있는 문인-필자들의 수에 있어서도 단연 세계 수위권이 아닐까 싶고. 역설적인 것은 그러한 양적인 팽창의 이면에서 문학/비평의 영향력을 갈수록 쇠퇴하고 있다는 점이다. 간행물 열람실에 스무 명 넘게 앉아들 있었지만 문학잡지를 기웃거리는 사람은 나 혼자뿐이었다... 아이 때문에 오래 버티고 앉아 있을 수는 없었고, 다만 겨울호 시잡지들에 지젝과 정신분석에 관련한 글들이 게재된 걸 보았다. 많이들 읽기는 하는가 보다.   

집에 돌아와 아이가 피아노학원에 간 틈에 나는 미루어두었던 책 주문을 넣었다. 이전에 한번 소개한 거 같은데, 노튼(W. W. Norton)출판사에서 내는 '어떻게 읽을 것인가(How to Read)' 시리즈의 <라캉> 편이 이번 달에 출간됐다(작년에 나는 <데리다>를 구했었다). 저자는 슬라보예 지젝. 작년까지는 선주문을 넣을 수 있었을 뿐인데, 이젠 온전하게 주문을 넣을 수 있다. 아마존의 소개를 빌면 이렇다.

"The How to Read series provides a context and an explanation that will facilitate and enrich your understanding of texts vital to the canon. These books use excerpts from the major texts to explain essential topics, such as Jacques Lacan's core ideas about enjoyment, which re-created our concept of psychoanalysis."

그러니까 자크 라캉 입문서로서 더없이 유익하고 요긴해 보이는 책이다. 분량도 128쪽이니까 전혀 부담이 없다. 이 달안으로 책을 손에 쥘 수 있을까?  

참고로, 주문을 하진 않았지만 지젝이 편집하고 서문을 쓰는 버소출판사의 새 시리즈 '혁명(Revolution)'도 눈길을 끈다. 이달부터 책들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마오쩌둥의 <모순론/실천론>과 로베스피에르의 <미덕과 테러>가 일착으로 나왔다. 마오쩌둥의 책은 우리의 경우 두레와 범우사에서 출간된 적이 있는데 현재는 모두 품절됐다. 이 참에 이 새 시리즈를 번역해내는 건 어떨까? 

<라캉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와 함께 덩달아 주문한 책은 작년에 출간된 전기 <자크 데리다>이다. 컨티뉴엄(Continuum)출판사에 나왔고, 분량은 250쪽. 내가 알기엔 최초의 전기이며 평도 나쁘지 않다. 한데, 작년에 왜 주문하지 않았을까? 짐작에는 내가 검색해볼 당시에 아직 미간이었던 듯하다. 혹은 예정보다 출간이 늦어졌든가. 아마존의 소개는 이렇게 돼 있다.

"At the time of his death in 2004, Jacques Derrida was arguably the most influential and the most controversial thinker in contemporary philosophy. Deconstruction, the movement that he founded, has received as much criticism as admiration and provoked one of the most contentious philosophical debates of the twentieth century. Jacques Derrida: A Biography offers for the first time a complete biographical overview of this important philosopher, drawing on Derrida's own accounts of his life as well as the narratives of friends and colleagues. Powell explores Derrida's early life in Algeria, his higher education in Paris and his development as a thinker. Jacques Derrida: A Biography provides an essential and engaging account of this major philosopher's remarkable life and work."(강조는 나의 것)

The Cambridge Companion to Pushkin

지젝과 데리다 관련서와 함께 전공 관련서들도 두어 권 주문했는데, 가장 반가웠던 책은 캠브리지대학의 컴패니언 시리즈로 나온 <푸슈킨>. 이 또한 이달에 첫선을 보인 책이다. 한 인터넷서점의 소개는 이렇다.

Alexander Pushkin stands in a unique position as the founding father of modern Russian literature. In this Companion, leading scholars discuss Pushkin’s work in its political, literary, social and intellectual contexts.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individual chapters analyse his poetry, his theatrical works, his narrative poetry and historical writings. The second section explains and samples Pushkin’s impact on broader Russian culture by looking at his enduring legacy in music and film from his own day to the present.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reinvention of Pushkin as a cultural icon during the Soviet period. No other volume available brings together such a range of material and such comprehensive coverage of all Pushkin’s major and minor writings. The contributions represent state-of-the-art scholarship that is innovative and accessible, and are complemented by a chronology and a guide to further reading.

편자는 앤드류 칸이라는 비교적 젊은 러시아문학 연구자이자 옥스포드대학의 조교수이다. 책은 그다지 두껍지 않지만, 아래의 목차를 보면 (적어도 러시아문학 전공자라면) 가벼운 흥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List of illustrations Page.ix
  List of contributors viii
  Acknowledgements ix
  Note on the text x
  Chronology xi
  Map xv
 
  Introduction 1
  Andrew Kahn
 
  part I Texts and Contexts
1   Pushkin’s life 11
  DAVID BETHEA AND SERGEI DAVYDOV
 
2   Pushkin’s lyric identities 26
  ANDREW KAHN
 
3   Evgenii Onegin 41
  MARCUS LEVITT

 

 

4   Pushkin’s drama 57
  CARYL EMERSON
 
5   Pushkin’s long poems and the epic impulse 75
  MICHAEL WACHTEL

 

 

6   Prose fiction 90
  IRINA REYFMAN
 
7   Pushkin and politics 105
  OLEG PROSKURIN
 
8   Pushkin and history 118
  SIMON DIXON

 

 

9   Pushkin and the art of the letter 130
  MIKHAIL GRONAS
 
10   Pushkin and literary criticism 143
  WILLIAM MILLS TODD III
 

 

part II The Pushkinian tradition

 
11   Pushkin in music 159
  BORIS GASPAROV

 

 

12   Pushkin and Russia Abroad 174
 
  ROBERT P. HUGHES

 

 

13   Pushkin filmed: life stories, literary works and variations on the myth 188
  STEPHANIE SANDLER
 
14   Pushkin in Soviet and post-Soviet culture 202
  EVGENY DOBRENKO
 
  Appendix on verse-forms 221
  Guide to further reading 224
  Index 228

아무튼 조만간 몇 권의 책들이 장서 목록에 오르게 되겠다. 애서가들에게 새해를 맞는 '보람'은 다른 데 있지 않다...

07. 01. 0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유 2007-01-05 11:15   좋아요 0 | URL
저로선 좋은 번역서를 기다려봐야겠네요.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지젝'이나 '라캉'이라면 곧 나올수도 있겠지만.. 좋은 번역서를 기다려봅니다.
 

오늘자 한겨레를 읽다가 흥미로운 기사가 눈에 띄어 옮겨놓는다. 물론 책에 관한 것이고, 세계 각국의 베스트셀러로 2006년 한해를 되돌아보는 기획기사인데, 그 중 독일편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재작년에 방한한 바 있는 독일 철학자 페터 슬로터다이크의 역사철학서 <분노와 시간>이다. <냉소적 이성비판>으로 명성을 얻은 바로 그 철학자의 최신간이다. 기사를 봐서 흥미로운 내용이 담긴 책인데 내년에 번역돼 나올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 전에 1권만 나오고 소식이 없는 <냉소적 이성비판> 2권이 먼저 번역돼 나와야겠지만.  

 

 

 

 

한겨레(06. 12. 29) 베스트셀러로 짚어본 2006 세계…유럽편

독일에서는 가을 출간된 <분노와 시간>(Zorn und Zeit)이라는 에세이 형식의 역사 철학서가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 철학서가 베스트셀러에 들기 힘든 건 어디나 매한가지이지만, 이 책은 독일 출판계에서 하나의 신화를 이뤄냈다(*주어캄프출판사에서 출간했고 356쪽 분량이다).

 

 

 

 

 

 

 

 

 

저자인 페터 슬로터다이크는 68세대로 칼스루에 대학에서 철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텔레비전 철학토론 프로그램으로 대중에게 낯설지 않은 그는 <냉소적 이성 비판>으로 이미 1980년대에 베스트셀러 철학서를 내놓았다.



‘정치, 심리적 시도’라는 부제를 단 이 책은 세계 역사를 심리, 인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슬로터다이크는 ‘분노’라는 감정이 역사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고 본다. 즉 억압되어 쌓인 분노가 근대 해방운동, 지난 세기의 전체주의까지의 역사에 기본적으로 작용하는 힘이라는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 서구사회의 역사는 ‘분노 감정의 경영관리’의 역사라고 말한다. 공동체의 분노의 집합은 재화의 축적에 비유된다. 대표적인 예로, 레닌의 코민테른은 인민들의 분노가 모여 작용하는 ‘분노의 세계은행’이다.

반면, 이슬람 세력은 차세대 역사 변화의 원동력이 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왜냐면 이슬람은 엄청난 선교력이 있고, 특히 소외되고 약한 자들의 마음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이슬람 세계의 좌절한 젊은 남성들이 서구세계에 대해 갖는 시기심과 분노는 역사를 바꿀 만한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슬로터다이크는 이들이 정치적 저항세력으로서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한다. 이슬람 세력은 정치·문화적 알맹이가 부족해 공산주의 같은 ‘저항세력의 세계은행’을 설립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진단한다.(베를린/한주연 통신원)

06. 12. 29.

 

 

 

 

P.S. 출간돼 있는 역사철학서 몇 권을 나열해본다. 슬로터다이크의 '역사철학'은 아마도 이 계열의 맨마지막 장에 와야 할 듯싶다. 그리고, '냉소적 이성' 외에 '분노'란 말은 슬로터다이크의 키워드로 더 등록해야겠다. '분노의 관리로서의 세계사'는 '자유의 확장으로서의 세계사'(헤겔)와 짝패를 이룰 만하지 않은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mmer 2006-12-29 16:03   좋아요 0 | URL
'분노라는 감정의 경영관리'라는 그의 역사인식은 니체-하이데거의 오묘한 결합으로 보이네요. 덤으로, 니체에 관한 책을 쓴 바 있는 뤼디거 자프란스키와 함께 '철학 사중주'라는 토론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더군요.

로쟈 2006-12-29 16:45   좋아요 0 | URL
독일에선 가장 대중적인 철학자이기도 한가 봅니다...
 

지난주부터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정작 읽어보지 못하고 있는 책이 있다. 나타샤 시네시오스의 <거울(Mirror)>(2001)이 그것인데, 제목에서 알 수 있지만 타르코프스키의 <거울>(1975)에 대한 '깊이 읽기'이자 '자세히 읽기'이다. 저자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시나리오 선집(Andrei Tarkovsky: The Screenplays)>(2003)의 공역자이기도 하다.

얼마전에 예고한 바 있는데, 오늘은 타르코프스키가 20년전에 세상을 떠난 날이다. <거울>을 들고 다닌 건 그 때문이다. 하지만 연말에 짬을 낸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새삼 깨닫게 된다. 아니, (물리적) 시간조차도 연말에는 더 빨리 내빼는 게 아닌가 싶다(부끄러워서?). 책은 문고본 판형의 120쪽 분량인데, 주된 내용은 <거울>의 제작과정과 작품에 대한 자세한 분석으로 돼 있다. 마지막 장은 이 영화의 수용에 관한 장이다. 아무려나 영화 <거울>에 대한 가장 상세한 안내서로서 손색이 없다.

이 책의 존재는 사실 몇 달전에 알게 되어 도서관에 구입신청을 했었고 이달 중순에 대출할 수 있었다. 같이 주문한 책이 댓권 되는데 모두 I. B. Tauris출판사에 내는 'KINOfiles Film Companions' 시리즈의 '러시아영화' 편에 들어 있는 책들이다(전체 시리즈의 책임자인 리처드 테일러 자신이 러시아영화 전문가이다). 현재까지는 10편의 영화를 다룬, 10권의 책이 출간돼 있다. 그 10편의 영화는 차례대로, <전함 포템킨>, <카메라를 든 사나이>, <위선의 태양>, <참회>, <침대와 소파>, <거울>, <학이 날다>, <리틀 베라>, <희생>, <폭군 이반> 등이다. 그러니까 에이젠슈테인과 타르코프스키의 영화가 각각 2편씩 목록에 포함돼 있다(<침대와 소파>만이 내가 처음 접하는 영화이다).  

이후에 한 문단을 더 적어내려갔는데, 알라딘의 서버가 다운되는 바람에 날아가버렸다. 어쩌겠는가. 한두 번이 아닌 것을. 여하튼 20주기를 맞이하여 경건하게 타르코프스키와 그의 영화들을 한번쯤 돌이켜보면 좋겠다는 것. 아래 사진은 <거울>에서 자신이 결정적인 실수를 한 줄 알고 인쇄소로 바쁘게 뛰어가는 젊은 시절의 어머니 촬영장면이다. 그러니까 영화에서는 그녀의 뒷모습이 보이게 된다(*자고 일어나니 이미지가 먹통이다. 영화의 시작 장면으로 바꿔놓는다. 남편을 기다리던 젊은 아내, 젊은 엄마의 뒷모습으로. **또 먹통이어서 다시 교체했다).  

 

타르코프스키는 어머니-시간의 뒤통수를 좇아가며 그것을 '봉인된 시간'(=영화) 안에 성공적으로 보존해놓았지만 극장 밖의 우리는 매번 놓치거나 헛걸음만 하게 된다. 시간은 언제나 발빠르게 우리를 앞질러 가기 때문이다. 타르코프스키에 대해 몇 자 적으려던 생각도 저만치 뒤처져 있다. 세밑의 시간은 왜 그리 걸음이 빠른 것인지(부끄러워서일까?). 이제 곧 과거가 되고 역사가 될 시간, 2006년에 작별을 고한다. 아듀, 아듀오스, 우리는 또 한 해를 살아냈다네!...

06. 12. 29-30.

 

 

 

 

P.S. 국내에서 읽어볼 수 있는 타르코프스키 책은 여전히 3권 그대로이다. '러시아 영화 시리즈'에 대한 기대는 한참을 더 미뤄야할 모양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12-30 05: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수유 2006-12-30 09:38   좋아요 0 | URL
저도 저 책을 읽고 싶네요. 저 시리즈들이 번역이라도 되어 나온다면 좋으련만..

로쟈 2006-12-30 12:18   좋아요 0 | URL
**님/ 100불이면 좀 쓰셨군요.^^ 전 국내에서 출시됐을 때 구입했는데.
수유님/ 누가 출간하겠다고 하면 제가 번역이라도 하고 싶은데요...

수유 2007-01-01 11:25   좋아요 0 | URL
정말 로쟈님이 번역하셨으면 좋겠네요. 출판사를 세울만한 역량이 된다면 참 좋겠는데 말이죠.^^;; 그런 꿈을 꾸어보아도 좋을것 같아요.
 

날짜로는 어제가 되겠지만 '오늘' 오전엔 강의가 있었고 오후엔 전시회 관람이 있었다. 그리고는 성적처리하는 데 나머지 시간을 꼬박 쏟아부었다. 별다른 개성이나 성의가 없는 답안지/리포트들을 읽는 일은 나름대로 고역이다. 그나마 잠시 마음을 달래준 것은 한꺼번에 들이닥친 책들인데, 학교에 가보니 얼마전 미국과 러시아의 인터넷서점에 주문한 책들과 해외도서관에 주문한 자료, 그리고 복사를 맡긴 책들과 알라딘에 주문한 책들까지 모두 합해 15권의 책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이번달 북매거진 '텍스트'까지 포함하면 16권이다). 책을 많이 구해보는 편이긴 하나 이 15권은 올해의 '기록'이라 할 만하다(해마다 나의 장서는 4-500권씩 불어난다).

그 '기록'을 기록해두기 위해서 집에 들고 온 몇 권의 책들 가운데 한권을 집어든다. 푸슈킨 연구논문집인 <나의 아프리카 하늘 아래서(Under the Sky of My Africa)>가 그것인데, 노스웨스턴대학출판부에서 올해 나온 책이다(이 대학에선 '러시아 문학과 이론 연구 총서'가 출간된다). 제목에 걸맞게 표지는 까만색이고 러시아 시인 알렉산드르 푸슈킨(1799-1837)의 초상화가 박혀 있다. 그런데, 어인 아프리카?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푸슈킨의 외증조부가 표트르 대제의 총신이었던 아브람 페트로비치 한니발(1696-1781) 장군이었고 그가 아프리카 노예 출신의 흑인이었다. 족보를 따지자면 러시아 최고 시인에겐 아프리카의 피가 흐르고 있는 셈. 푸슈킨의 그의 조상을 모델로 <표트르 대제의 흑인>이란 소설을 쓰기도 했다.

그런 사정을 감안하여 던질 수 있는 질문. "푸슈킨은 흑인이었고 그게 정말 중요한가?" 이 연구논문집은 러시아와 미국의 정상급 학자들이 그러한 물음에 답한 글들을 모아놓고 있다. 이 주제에 관한 앤솔로지로서는 최고의 책이다. 분류하자면, 이런 게 나의 '전공서적'이며 이런 류의 책이나 논문들을 읽고 그와 유사한 성격의 논문들을 쓰는 게 나의 '전공공부'이다(아직도 간혹 당신의 전공이 뭐냐고 물어오시는 분들이 있다).   

 

이미 지난 1999년에 푸슈킨 탄생 200주년을 맞아 한국어로 된 푸슈킨 선집이 2종 출간된 바 있다. 그것만으로도 러시아문학 연구자들의 체면은 얼마간 유지된다. 단, 아쉽게 생각하는 건 푸슈킨에 관한 국내 출간 단행본 연구서나 논문모음집이 단 한권도 없다는 것(놀라운 일이지만 이건 톨스토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미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출간되는 탐나는 연구서들을 구해볼 때마다 마음 한켠에서는 매번 그런 비교를 하게 된다. 2009년에는 사정이 좀 달라지기를 기대하며 나 자신에게도 분발의 채찍질을 가한다. '아프리카의 하늘 아래서'.(점차 인문학은 '니그로의 학문'이 되어 가는 게 아닐까?)

06. 12. 28.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린(隣) 2006-12-28 10:23   좋아요 0 | URL
'니그로의 학문', 참 재밌는 지적이십니다. 그런데 우리의 인문학은 '황인종의 정체성'이 있을까요. 항상 백색의 뒤에서 백색의 타자로서만 다른 색깔들을 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니 좀 우울해지기도 하네요. 재밌는 공부 많은 성취 하시길 빕니다. 추천하고 퍼갑니다.

로쟈 2006-12-28 11:19   좋아요 0 | URL
사회적으로 홀대받는 학문이란 뜻으로 썼습니다. 혹은 백수들의 학문. 토니 마이어스의 책에 따르면, 사회적 호명(주체화) 이전의 '주체'를 헤겔은 '니그로'라고 불렀다죠...

sommer 2006-12-28 15:47   좋아요 0 | URL
아직 호명의 '기회'를 실제로 받지 못했다는 의미일테죠. 그럼 언제라도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얘기가 되버리네요...

로쟈 2006-12-28 15:56   좋아요 0 | URL
뒤집어서 말하면, 언제든지 다시 '니그로'가 될 수 있다는 뜻도 되죠. 혹은 자발적인 자기-철회의 제스처를 통해서도 가능하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