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대문학의 대표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솔 벨로(1915-2005)의 <오늘을 잡아라>(1956)가 다시 번역돼 나왔다. 몇년 전 솔 벨로 강의 때 번역본이 절판돼 다루지 못했었다. 대표작 <허조그>와 함께 과제로 넘겼던 작품. 솔 벨로는 60년이 넘는 창작기간에 <허공에 매달린 사나이>(1944)부터 <라벨스타인>(2000)까지 14편의 장편소설을 썼다(거기에 단편소설집과 논픽션이 각각 4편, 희곡 한 편이 더해진다). 이들 작품으로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 그리고 세 차레 전미도서상을 수상했다(세 차레 수상은 아직도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

국내에도 번역본이 제법 나왔었지만 거의 품절되거나 절판된 상태다. <오늘을 잡아라>가 ‘리스타트‘의 출발점이 되면 좋겠다(개인적으론 유대문학 작가로 분류되는 솔 벨로와 필립 로스의 성취를 음미해보고 싶다). 주요작 가운데 <험볼트의 선물>(1976년 퓰리처상 수상작)과 <허조그>(1964년 전미도서상)는 새 번역본이 나온다고 한다. 첫번째 전미도상 수상작 <오기 마치의 모험>(1953)부터 <험볼트의 선물>(1975)까지가 소위 전성기의 작품인데(6편이다) 이 정도까지는 다시, 혹은 새로 번역본이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 목요일에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2020년의 루이즈 글뤽, 그리고 지낸해의 압둘라자크 구르나는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그 이전까지의 수장자는 대개 강의에서 다루었다(트란스트뢰메르와 밥 딜런이 예외다). 지난 10년간의 수장자 가운데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인 작가를 꼽으라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벨라루스)와 올가 토카르추크(폴란드)를 꼽겠다. 















다행히도 두 작가의 작품은 국내에 꽤 소개된 편이고, 지난주에도 토카르추크의 에세이 <다정한 서술자>(2020)가 번역돼 나왔다(영역판도 아직 안 나온 걸로 보인다). 토카르추크의 책으로는 최신간이다. 겸사겸사 국내에 소개된 토카르추크의 작품을 정리해본다. 토카르추크의 주력은 장편소설로 현재 9권을 발표했고(영어로는 지난해에 <야쿱의 서>가 다섯번째 번역서로 나왔다. 9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2권의 단편집, 1권의 시집, 5권의 에세이집, 1권의 아동문학(그림책)이 더해진다(단편도 하나 번역돼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로는 4권의 소설과 그림책에 이어서 이번에 에세이집이 추가된 것. 

 

장편소설의 목록은 이렇다(한국어판이 없는 경우는 영어판을 넣었다).


1993 <책의 인물들의 여정>


1995 <E.E.>


1996 <태고의 시간>



1998 <낮의 집, 밤의 집>



2004 <최후의 이야기>


2006 <세계의 무덤 속에 있는 안나>


2007 <방랑자들>

















2009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2014 <야쿠프의 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엘리엇의 사중주 네 편

3년 전 페이퍼다. 올해는 <황무지> 출간 100주년이기도 한데 아직 엘리엇과 관련한 책은 눈에 띄지 않는다. 새번역의 <황무지>나 시론집(에세이)가 기다리는 책이다. 조이스의 새번역 <율리시스>는 12월경에 나온다니 엘리엇도 구색을 맞춰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윌리엄 포크너의 대표작 The Sound and the Fury(1929)의 새 번역본이 나왔다. 오랫동안 <음향과 분노>라는 제목으로 불리다가 문학동네판과 함께 <소리와 분노>로 안착되는가 싶었는데 이번에 나온 열린책들판 <고함괴 분노> 때문에 다시 경합이 이어지게 되었다.

알려진대로 맥베스의 대사에서 제목을 가져온지라 번역은 더 많은 선택지를 가질 수 있다. <맥베스>의 번역에서 sound는 ‘소음‘으로도 많이 번역하기에 <소음과 분노>도 가능한 선택지다(˝인생은 백치가 들려주는 이야기, 소음과 분노로 가득 찼을 뿐 아무 의미도 없다.˝)

맥베스의 대사에서 sound는 사람이 내지만 알아들을 수 없는 비분절적인 소리를 가리킨다. 곧 voice에 대립하는 말이다. ‘음향‘이란 번역의 짝은 그러니까 ‘음성‘이다. 음성이 아닌 소리라는 뜻. 마찬가지로 ‘소리‘는 ‘목소리‘에 대응한다. 알아들을 수 있는 목소리와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의 대립이다. 반면에 ‘큰소리‘란 뜻의 ‘고함‘은 ‘분노‘와 연결된다. ‘소음‘은 짝이 없이도 무의미한 소리를 가리킨다.

내가 읽은 <소리와 분노>(<음향과 분노>도 갖고 있지만 <소리와 분노>만 세번 읽었다)에서 제목은 ‘백치‘ 벤지(벤저민)가 내는 소리와 관련되는데 그가 내는 소리 내지 반응은 ‘웅얼거림‘과 ‘울부짖음이다. 의미는 그에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제목으로 삼기에는 어색하다. 무의미한 ‘사운드‘를 의미로 고정시키기가 어렵구나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오르한 파묵의 모든 것

6년 전 페이퍼다. 이번겨울에 터키문학 강의를 진행할 예정인데 아무래도 중심은 오르한 파묵이다((가장 많이 소개돼 있어서 불가피한 면도 있다). 파묵의 책은 이후에도 여러 권이 추가돼 이젠 양손으로도 다 헤지 못한다. 강의에선 초기 대표작들을 읽을 예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