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의 여행에세이 <라오스에 대체 뭐가 있는데요?>(문학동네, 2016)에서 제일 먼저 펼친 대목은 핀란드 여행기다. '시벨리우스와 카우리스매키를 찾아서'.(핀란드의 대표 감독 아키 카우리스마키가 책에서는 '아키 카우리스매키'로 표기되었다. 설사 발음이 그쪽에 가깝다 하더라도 더 익숙한 표기를 따르는 게 낫지 않을까. 나는 '카우리스마키'를 고집하겠다.) 한 인터뷰에서 읽어서 하루키가 카우리스마키의 영화 팬이란 건 알고 있었고, 그 점에서는 나랑 취향이 맞군, 이란 생각을 했었다.

 

 

아니나 다를까, 핀란드 하면 떠오르는 것 가운데서 그가 첫손에 꼽은 것이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다(그 다음이 시벨리우스의 음악이어서 이 장의 제목이 '시벨리우스와 카우리스매키를 찾아서'다). 하루키 덕분에 알게 된 것인데, 핀란드의 헬싱키에는 카우리스마키 형제(아키와 미카)가 운영하는 명물 바 '카페 모스크바'가 있다고 한다.

"카우리스매키의 팬 입장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여긴 꼭 가봐야겠다고 전부터 별렀던 술집이다. 어둡고 야한 1960년대풍 인테리어부터 주쿠박스 겉면에 붙은 편집증적인 선곡 목록까지, 모든 것이 대단하다 싶을 만큼 완벽하게 카우리스매키의 취향을 따르고 있다. 전해들은 말에 따르면 이 바의 기본적인 경영 방침은 '차가운 서비스와 따뜻한 맥주'라고 한다. 흐음, 역시 상당히 유니크하죠."

벼르던 대로 하루키는 이 카페에 들렀지만 아무리 기다려도(40분 가까이 기다렸다고) 종업원이 나타나질 않아 결국은 미지근한 맥주도 마시지 못한 채 나오고 말았다고 한다(이것도 은근히 카우리스마키스러운 일이라며 위안을 삼지만). 이런 일에 바톤 터치라는 게 있을 수 없지만, 50대에 하고 싶은 일 한 가지가 생겼다(내게도 먼 나이가 아니다). 그건 헬싱키의 그 카페 모스크바에 가서 하루키도 마셔보지 못한 따뜻한 맥주를 마시는 것이다. 이런 자리에 앉아서.

 

 

흐흠, 예의 그 차가운 서비스를 극복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16. 06. 08.

 

P.S. 말이 나온 김에 카우리스마키 영화의 음악 한 대목. <과거가 없는 남자>의 한 장면에 나오는 '파하 바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fn7wsxGZlt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의 록 가수 데이빗 보위의 사망 소식을 저녁에 접했다. '글램 록'의 대부가 암투병 끝에 어제(10일) 사망했다는 소식이다. 그의 음반을 산 기억이 없으므로 팬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레오 카락스(처음엔 '레오 까라'로 알려졌다)의 영화 <나쁜 피>(1986)의 한 장면 때문에 그는 내게 잊을 수 없는 이름이 되었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그의 '모던 러브'와 함께 질주하는 드니 라방의 모습이 영화의 압권이었던 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zMHXugVlzSw). 그 기억 때문에 유튜브에서 영화의 장면을 반복해서 보고 듣는다. 그는 갔지만 그의 목소리는 여전히 힘차다...

 

 

찾아보니 데이빗 보위에 관한 책은 국내에 출간된 게 없는 듯하다. 하지만 영어로는 꽤 많은 책들이 나와 있고, 올해도 평전과 함께 <데이빗 보위와 철학> 같은 책이 출간 예정이다. 짐작엔 한두 권 정도 번역돼 나올 것 같다...

 

16. 01. 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내 최초의 영화전문 도서관으로 '씨네 라이브러리'가 CGV명동역에서 개관하는데, 개관 기념행사로 '스크린 문학전 2015'가 열린다(http://section.cgv.co.kr/event/2015/0420_cinelib/02_Screen.aspx). 그 가운데 지난해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터키 영화 누리 빌게 세일란 감독의 <윈터 슬립>에 대한 씨네톡 강연 5월 9일에 진행하게 되었다. 원작이 안톤 체호프의 단편 <아내>여서다. 영화는 저녁 6시에 상영되며 강연은 대략 9시 20분부터 진행될 듯싶다. 영화의 런닝타임이 무려 3시간 16분이어서다(지난해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이었던 제인 캠피온이 "중간에 화장실 가는 시간을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농담을 했을 정도다). 여하튼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15. 05. 01.

 

 

P.S. 체호프의 <아내>(큰나무, 1999)는 비교적 덜 알려진 작품인데, 다행히 번역돼 있고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영화와 비교해서 읽어봄직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정판으로 다시 나왔으니 '오래된 새책'으로 분류할 만한 책은 <세계 영화 대사전>(미메시스, 2015)이다(영화책이라 '로쟈의 영화'로 분류한다). 제프리 노웰 스미스가 엮은 이 책은 애초에 <옥스포드 세계 영화사>(열린책들, 2005/2006)로 나왔던 책. 원제도 그러한데, '영화사'가 어떤 이유에서 '영화 대사전'이 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온갖 영화를 다 거명하기에 '사전'으로도 부름직하다는 뜻이겠다.

 

세계 영화의 역사를 백과사전 형식으로 기록한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의 2015년 신판으로, 1895년 무성영화 시절부터 1995년 현대 영화까지 100년의 방대한 영화사를 기록하였다. 각 장마다 그 시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작품, 감독, 배우들의 모습뿐만 아니라 필름, 사운드, 스크린, 렌즈, 카메라 등 기술적 요소들의 발전 과정도 함께 짚고 있다.

오해의 소지가 있어 확인해봤지만, '2015년 신판'이란 건 번역본의 경우가 그렇다는 것이지 신판을 옮겼다는 의미는 아니다. 원저는 여전히 1996년판이다(인터넷에 뜨는 걸로는 1999년판이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원저가 1995년 영화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기획, 출간되었다는 걸 알게 해준다.

영화 탄생 100주년에 맞춰 기획된 이 책은 책임 편집자인 제프리 노웰스미스가 전 세계 80명 이상의 영화학자와 영화 평론가들을 참여시켜 '서커스 무대 같은 곳에서 초라하게 시작된 영화가 수백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자 가장 스펙터클하고 창의적인 현대 예술'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포괄적인 시각으로 놀랍도록 생생하게 보여 준다.

영화학도는 물론이고 영화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이런 책은 필수 '공구서'에 해당한다.

 

 

필수 공구서에는 영화사 책과 함께 영화연구 내지 영화이론에 대한 책도 포함되는데, 존 힐 등이 쓴 <세계영화연구>(현암사, 2004)가 거기에 해당한다. 이런 책들을 일년간 숙독하면서 주요 영화들을 꼼꼼히 챙겨보는 게 말하자면 '영화 공부'다. 국내서로는 정태수의 <세계 영화예술의 역사>(이대출판부, 2010)과 민병록의 <세계 영화영상기술 발달사>(문지사, 2001)도 눈에 띄는데, 도서관에서 한번 찾아봐도 좋겠다.

 

 

아, 말이 나온 김에 좀더 전문적인 식견을 원하는 독자라면 영화학자 데이비드 보드웰의 책들을 참고할 수 있겠다. <영화사>(지필미디어, 2011)와 <영화예술>(지필미디어, 2011)이 역시나 개정판으로 나와 있고, <영화 스타일의 역사>(시인사, 2010)도 영화에 관한 고급 교양서이다...

 

15. 03.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월 2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되는 올 부산국제영화제 이벤트 행사의 하나로 김기덕 감독과 대담을 나누게 됐다. 붙여진 타이틀이 '로쟈, 김기덕을 만나다'이다(http://www.biff.kr/kor/html/event/event_01_view.asp?idx=446&event_idx=11¶ms=c1_4=Y&keyword=&x=40&y=25). 행사 일시는 10월 5일 오후 5시 30분이고, 장소는 영화의 전당 두레라움 광장이다. '아주담담' 행사의 개요는 이렇다.

 

다양한 게스트들이 관객들과 소통하는 아주담담 프로그램이 영화의전당 두레라움 광장에서 펼쳐진다. 올해 아주담담엔 프랑스 감독 베르트랑 보넬로와 레지스 바르니에, 러시아 감독 안드레이 즈비야긴체프, 방글라데시 감독 모스토파 파루키와 아부 샤헤드 이몬, 한국 감독 김기덕 등이 참여한다. 특히 김기덕 감독이 나오는 아주담담은 ‘로쟈’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이현우씨가 사회자로 나서 김기덕 감독의 영화세계에 관한 깊이 있는 대담을 나눌 예정이다

주로 대담의 화제는 이번에 영화제에서도 상영되는 김기덕 감독의 신작 <일대일>(2014)이 될 예정이다. 그밖에 궁금했던 질문거리들도 준비해볼 참이다. 흥미로운 기회를 만들어준 영화제 주최측에 감사를 표한다. 

 

 

14. 09. 30.

 

 

P.S. 단행본으로 김기덕 감독과 그의 영화에 대해 다룬 책은 아주 드물다.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엮은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행복한책읽기, 2003)가 나왔었지만 절판된 지 오래 돼 이젠 헌책방의 '전설'이 됐다. 10년도 더 전의 책이므로 이후의 작품들까지 다룬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면 좋겠다...

 

[포토]19회 BIFF 아주담담 `로쟈, 김기덕을 만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