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난달 4일자 <가디언>지에 유럽헌법 찬반투표에 대한 지젝의 기고문이 실렸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일단 원문을 여기에 옮겨놓는다(우리말 번역도 어디에 돌아다닐 듯싶은데 찾지 못했다). 내용 브리핑은 요즘 바쁜 일들이 마무리 된 이후에 하도록 한다(아마도 8월 이후가 될 것이다). 성미가 급하신 분들은 원문을 참조하시길(더 급하신 분들은 번역문도 올려주시면 고맙겠다). 

The constitution is dead. Long live proper politics 

Like Amish teenagers, Europe's voters were not offered a truly free choice

Slavoj Zizek
Saturday June 4, 2005
The Guardian

Amish communities practise the institution of rumspringa. At 17 their children, until then subject to strict family discipline, are set free. They are allowed, solicited even, to go out and experience the ways of the modern world - they drive cars, listen to pop music, watch TV and get involved in drinking, drugs and wild sex. After a couple of years they are expected to decide: will they return to be full members of the Amish community or leave it forever and become ordinary American citizens?

But far from being permissive and allowing the youngsters a truly free choice, such a solution is biased in a most brutal way. It is a fake choice if ever there was one. When, after long years of discipline and fantasising about the illicit pleasures of the outside world, the adolescent Amish are thrown into it, of course they cannot help but indulge in extreme behaviour. They want to test it all - sex, drugs and drinking. And since they have no experience of regulating such a life they quickly run into trouble. There's a backlash that generates unbearable anxiety, so it is a safe bet that after a couple of years they will return to the seclusion of their community. No wonder that 90% of Amish children do exactly that.

This is a perfect example of the difficulties that always accompany the idea of a "free choice". While the Amish adolescents are formally given a free choice, the conditions they find themselves in while they are making that choice make the choice itself unfree. In order for them to have an effectively free choice they would have to be properly informed on all the options. But the only way to do this would be to extract them from their embeddedness in the Amish community.

So what has all this to do with the French no to the European constitution, whose aftershock waves are now spreading all around, immediately giving a boost to the Dutch, who rejected the constitution with an even higher percentage? Everything. The voters were treated exactly like the Amish youngsters: they were not given a clear symmetrical choice. The very terms of the choice privileged the yes lobby. The elite proposed to the people a choice that was effectively no choice at all. People were called to ratify the inevitable. Both the media and the political elite presented the choice as one between knowledge and ignorance, between expertise and ideology, between post-political administration and the old political passions of the left and the right.

The no was dismissed as a short-sighted reaction unaware of its own consequences. It was charged with being a murky reaction of fear of the emerging new global order, an instinct to protect the comfortable welfare state traditions, a gesture of refusal lacking any positive alternative programme. No wonder the only political parties whose official stance was no were those at the opposite extremes of the political spectrum. Furthermore, we are told, the no was really a no to many other things: to Anglo-Saxon neoliberalism, to the present government, to the influx of migrant workers, and so on.

However, even if there is an element of truth in all this, the very fact that the no in both countries was not sustained by a coherent alternative political vision is the strongest possible condemnation of the political and media elite. It is a monument to their inability to articulate the people's longings and dissatisfactions. Instead, in their reaction to the no results, they treated the people as retarded pupils who did not understand the lessons of the experts.

So although the choice was not a choice between two political options, nor was it a choice between the enlightened vision of a modern Europe, ready to embrace the new global order, and old, confused political passions. When commentators described the no as a message of befuddled fear, they were wrong. The real fear we are dealing with is the fear that the no itself provoked within the new European political elite. It was the fear that people would no longer be so easily convinced by their "post-political" vision.

And so for all others the no is a message and expression of hope. This is the hope that politics is still alive and possible, that the debate about what the new Europe shall and should be is still open. This is why we on the left must reject the sneering insinuations of the liberals that in our no we find ourselves with strange neo-fascist bedfellows. What the new populist right and the left share is just one thing: the awareness that politics proper is still alive.

There was a positive choice in the no: the choice of choice itself; the rejection of the blackmail by the new elite that offers us only the choice to confirm their expert knowledge or to display one's "irrational" immaturity. Our no is a positive decision to start a properly political debate about what kind of Europe we really want.

Late in his life, Freud asked the famous question " Was will das Weib? ", admitting his perplexity when faced with the enigma of female sexuality. Does the imbroglio with the European constitution not bear witness to the same puzzlement: what Europe do we want?

To put it bluntly, do we want to live in a world in which the only choice is between the American civilisation and the emerging Chinese authoritarian-capitalist one? If the answer is no then the only alternative is Europe. The third world cannot generate a strong enough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the American dream. In the present world constellation, it is only Europe that can do it. The true opposition today is not between the first world and the third world. Instead it i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world (ie the American global empire and its colonies), and the second world (ie Europe).

Apropos Freud, Theodor Adorno claimed that what we are seeing in the contemporary world with its "repressive desublimation" is no longer the old logic of repression of the id and its drives but a perverse pact between the superego (social authority) and the id (illicit aggressive drives) at the expense of the ego. Is not something structurally similar going on today at the political level: the weird pact between the postmodern global capitalism and the premodern societies at the expense of modernity proper? It is easy for the American multiculturalist global empire to integrate premodern local traditions. The foreign body that it cannot effectively assimilate is European modernity.

The message of the no to all of us who care for Europe is: no, anonymous experts whose merchandise is sold to us in a brightly coloured liberal-multiculturalist package will not prevent us from thinking. It is time for us, citizens of Europe, to become aware that we have to make a properly political decision about what we want. No enlightened administrator will do the job for us.

· Slavoj Zizek is the international director of the Birkbeck Institute for the Humaniti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토니 마이어스의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앨피)를 읽었다. 분량도 많지 않지만, 좋아하는 철학자에 관한 책이어서 단숨에 읽었다, 는 아니고, 며칠 걸려 읽었다. 중간에 다른 일들이 항상 끼어들기 때문인데, 생각해보니 오고가는 전철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읽은 듯하다. 복사한 원서까지 무릎에 펴놓고...

일단 우리말 번역본은 아마도 좀더 편안하게 독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 '갖은 짓'(친근한 표현으로)을 다했다. 그냥 '슬라보예 지젝'으로 돼 있는 원서의 제목을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로 바꿔놓았을 때 이미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이지만, 책의 소제목들도 대부분이 옷을 갈아입거나 분칠을 했다(가령, "The curse of Jacques: Limitations on the influence of Zizek"이란 절은 두 대목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는 혹은 생뚱맞은", "데리다와 라캉을 중재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라 이름붙여졌다). 그리고 용어들도 가급적 이해하기 쉬운 걸로 바꾸었으며(가령 '누빔점'으로 번역되던 point de caption은 '소파 고정점'으로 바뀌었다) 원서에는 한 장도 들어가 있지 않은 인물사진/참고사진 등도 꽤 여러 장 집어넣었다(이런저런 이유로 책의 분량은 142쪽짜리 원서의 2배 가량이 되었다. 부록으로 원서에 없는 글 한편이 국역본에는 더 들어가 있더라도). 한마디로 편집자가 부릴 수 있는 수단은 다 부려본 게 아닌가라는 인상을 책을 읽으면서 받았다. 해서 한국어 독자들이 훨씬 더 친근감 있는 지젝을 만날 수 있는 멍석은 마련된 셈(*point de caption은 point de capiton의 오타이다. 이유가 없지는 않은 게 275쪽 '찾아보기'에 point de caption으로 잘못 타이핑돼 있고, 나는 그걸 받아적었던 것. 본문 134쪽에는 제대로 표기돼 있다) .

책이 나오기까지의 자초지종과는 무관한, 약간 도취적인 역자서문을 뒤로 하고 본문으로 들어가면, 한 입 크기로 잘 썰어놓은 지젝을 만나게 되는바, 우리말로 된 '가장 쉬운 지젝 입문서'란 선입견에 걸맞는 내용들이 펼쳐진다. 솔직히 두드러진 경력의 소유자로 보이지 않는 저자이지만 이 만한 '정리력'을 선보이는 게 영미학계의 '내공'이 아닌가란 생각도 든다. 1급 학자들을 뒷받침하는 2급 학자층이 두터워야, 즉 미드필드가 두터워야 새로운 이론/업적이 나오든가 말든가, 골도 들어가든가 말든가 한다. 골대 앞에 한 명 세워놓고 골이 들어가기만을 기다리는 건 전근대적인 방식이자 요즘의 동네축구도 못되는 방식이다. 하긴 핑계거리가 없는 건 아니다. 이들은 영어사용자들이고, 지젝이 영어로 쓴 책들을 읽은 것이기 때문("지젝은 유연하면서 쉽게 이해되는 문체로 글을 쓰는데"(229쪽) 같은 소리를 들으면 기분 나쁜 한국 독자들도 있겠다). 애당초 지젝이 한국어로 책을 썼다면, '나'라도 이런 정리를 못하랴 싶다. 하지만, 핑계는 핑계로 내버려두기로 하자.  

어쨌든 이 슬로베니아 출신의 '괴물' 철학자는 영어권 학계/이론계에 등장한 지 불과 15년 정도만에 '우리 시대의 사상가' 명단에 당당하게 자신의 이름을 등재시켰다. 그리고 일부 회의적인 시각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저자 마이어스의 주장대로 그의 파괴력/영향력은 갈수록 확고해질 가능성이 높다(마이어스의 마지막 문장. "한마디로, 지젝은 존재하게 될 것이다!Quite simply, Zizek will have been." 그러니까 그의 크기가 다 드러나고 제대로 평가받는 건 미래의 일이 될 거란 얘기). 적어도, 1989/1991년 이후 탈냉전 시대, 그리고 2001년 9.11 이후에 '가능한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그의 작업들은 그가 '우리 시대의 철학자'로서 전혀 손색이 없다는 걸 확증해준다. 마이어스의 책은 그런 '지젝 따라잡기'로서 (현재로선) 더없이 유익한 길잡이이다. 그리고, 그런 의의를 책 제목에 반영하자면,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보다 더 적절한 제목은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두려워하랴?"가 될 것이다(초심자라도 두번쯤 책을 통독하게 되면, '웬만한' 지젝을 읽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때때로 다시 참조해가면서).    

번역본의 뒷표지에도 박혀 있지만, 마이어스가 지젝의 사상을 요약하기 위해서, 그에게 영향을 준 세 사람(헤겔, 마르크스, 라캉)에 대한 설명 이후에 내세운 핵심 이슈는 다섯 가지이다. (1)주체란 무엇이며, 왜 그토록 중요한가? (2)탈근대성에서 끔찍한 것은 무엇인가? (3)현실과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4)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무엇인가? (5)왜 인종주의는 환상인가? 등. 이들 각 장마다 말미에 내용요약(Summary)까지 박스 처리돼 있는 책의 내용을 다시 요약한다는 건 동어반복이겠는지라(나중에 '읽기'를 시도한다면 모를까), 여기서는 국역본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몇 가지 오타와 미심쩍은 대목만을 지적해둔다.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는 지젝'이지만, 혹 옥의 티 때문에 독서의 재미가 반감되지 않을까라는 우려도 갖게 되기 때문에. 즉, 몇 가지 지적사항만 고려한다면, 책은 지젝 입문서로서 나무랄 데 없다는 걸 거듭 강조해둔다.

-32쪽에서 지젝의 동료이자 두번째 아내였던 '레나타 살레클(Renata Salecl)'의 올바른 표기는 언젠가 지적한 대로 '레나타 살레츨'이며 이미 도서출판b에서도 '살레츨'로 표기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지난 3월말에 지젝은 아르헨티나에서 세번째 결혼식을 올렸다. 30년 연하의 신부와(첫결혼을 일찍 한 그이기에 아마도 세번째 신부는 자신의 아들보다 나이가 더 어릴 듯하다). 마이어스가 요약해주고 있는 지적 경력에 따르면, 지젝은 1971년 그러니까 22살에, 철학과 사회학 학사를 취득하고, 1975년에 400쪽에 달하는 학위논문을 쓰고 석사학위를 취득한다. 그리고는 대학교수직을 얻을 뻔하지만, 그의 '강의'가 학생들을 물들게 할지 모른다는 당국자들의 우려 때문에 결국 얻지 못한다. 그는 동료였던 믈라덴 돌라르와 함께 이론정신분석학회를 창설하고(지젝이 회장, 돌라르가 부회장이었다. 둘이 시작한 학회였고), <제문제>란 잡지와 <아날렉타>란 시리즈도 낸다(마이어스에 따르면, 지젝은 자신의 책에 대한 악평이나, 있지도 않은 책에 대한 서평을 잡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지젝은 1979년 류블랴나 대학의 사회학연구소의 연구원이 되는데, 당국의 염려/배려에 따라 그는 강의 부담이 전혀 없이 순수하게 연구만을 수행하게 된다(이 때문에 지젝은 방한강연시 자리를 옮길 생각이 없노라고 조크를 섞어 얘기했다. 굳이 의무적인 강의까지 해야 하는 미국 등지의 대학으로 유명세에 걸맞게 옮길 이유가 없다는 것). 그리고 1981년에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터뷰에 따르면 그의 박사학위논문은 하이데거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는 슬로베니아를 방문했었던 라캉의 사위 자크-알랭 밀레르의 초청으로 친구인 돌라르와 함께 프랑스로 건너가서 밀레르의 세미나에 참석한다(그 세미나를 통해서 비로소 라캉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고 지젝은 고백한바 있다). 지젝은 세미나에 참석하는 한편, 밀레르의 정신분석도 받게 되는데, 이때 두 사람간에 트러블이 있었는지 1985년 밀레르의 지도로 지젝은 정신분석학 박사학위논문을 쓰게 되지만, 밀레르로부터는 논문의 출판을 거부당한다. '좌절'한 지젝은 슬로베니아로 돌아가며 정치활동에 뛰어든 그는 1990년에 슬로베니아 대통령 후보에 출마하기도 한다. 그러는 와중에 출간한 것이 1989년의 (영어권)데뷔작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이다. 이후에 그가 현재까지 (영어로) 낸 책이 최소 26권 이상인바(나는 그 중 24-5권 정도를 갖고 있다), 올해도 최소 2권 이상이 나올 예정이다(얼마전에는 란 연구서가 출간되기도 했다).  

이러한 경력에서 마이어스는 두 가지 중요한 모멘트를 지적한다. 비주류/비제도권적 성향과 관련한 것인데, "이와 같은 비제도성으로 인해 적어도 두 번(한번은 석사논문과 관련해서, 다른 한번은 두번째 박사학위와 관련해서) 기성제도에 편입할 기회를 놓쳤지만, 지젝은 제도에 대한 이런 저항을 통해서 자신의 위치를 발견했다... 지젝 이론의 놀라운 성공은 부분적으론 이른 시기에 겪은 실패와 그 실패 속에서 자기 자신을 체제와 이질적인 존재로 인식할 수 있었던 데서 비롯됐다는 것이다."(37쪽) 이러한 교훈을 따르자면, 이론가로서 성공하기 위한 요건은 '실패'이다. 그것도, 두 번. 지젝의 말을 비틀자면,  "이론가는 반드시 두번 실패해야 한다." 마이어스는 주체에 대한 지젝의 특이한 관점/이론이 이러한 자기경험과 무관하지 않을 거라고 지적하는데, 그럴 법한 견해이다.

-58쪽. 라캉의 두 타자에 대해 설명하는 소단락에서 마지막 문장. "따라서 이런 타자성은 동일화 과정으로 내면화될 수 없다는 점에서 상징계의 타자성보다 훨씬 더 극단적이다."(58쪽) 여기서 '상징계'는 '상상계'의 오타이다. 문맥상 '이런 타자성'이란 게 '상징계의 타자성'이므로 원서와 대조하지 않더라도 오타라는 걸 알 수 있다.

-112쪽. "왜냐하면 어머니의 초자아적 명령 아래에서 이 딸에게 남겨진 유일한 쾌락의 통로는 고통의 강도에 개입하는 것뿐이기 때문이다."에서 '고통의 강도'는 'a degree of pain'을 옮긴 것인데,  별로 중요하진 않지만, '얼마간의 고통' 정도의 뜻이 아닐까 한다. 다른 대목들에서 읽기 편한 쪽으로 옮겨주고 있기 때문에 '고통의 강도'란 표현은 좀 낯설다. 113쪽 소단락에서 "이런 은폐야말로 법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긍정적 조건이기 때문이다"에서는 positive의 역어로 '긍정적'보다는 '실정적'이 낫지 않을까 싶다. 이건 오역을 지적한다기보다는 내 생각이 그렇다는 것이다. positive만 하더라도 우리말로는 적극적/긍정적/능동적/실정적 등으로 옮겨지는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르게 번역에서 애를 먹는 경우는 상응하는 우리말이 없을 때가 아니라 이처럼 너무 많을 때이다(주체/주어/주제로 번역되는 'subject'나 반성적/반사적/성찰적/재귀적으로 번역되는 reflexive도 마찬가지이다).

-115쪽에서, "이 예수상이 전하는 진짜 메시지는 실재 예수를 주창한 자들에게는 결코 오직 않을 그의 부활이 아니라, 실제 예수가 몸소 보여준 자기발전의 영적 편력이다." '오직 않을'은 물론 '오지 않을'의 오타이고, 시제상 예수의 부활은 미래가 아니라 과거에 일어난 것이다(미래와 관련된 건 '부활'이 아니라 '재림'이다). 원문은 "Resurrection, which... never actually happened"이므로, "실제적으로는 일어난바 없는 부활" 정도의 뜻으로 옮겨져야겠다.

-119쪽. 오역이랄 건 없지만, 좀 모호한 대목: "지금까지 타자 속에서 찾으려 했던 것을 이제부터는 우리 자신 속에서 찾으라고 요구한다... 여기서 타자란 그 자체로는 그/그녀의 주체가 못 되는 상상적 사본, 사실상 그/그녀를 향한 메시지로 자기충족적인 자아(타아)의 측면이다." 뒷문장의 원문은 "[T]he Other is reduced to the other, an Imaginary counterpart who is not a subject in his/her own right, but in effect, an aspect of a self-sufficient ego (the other) with a message for him/her."(59쪽) 여기서는 대문자 타자Other와 소문자 타자other 간의 구별이 중요한데, 다른 대목들에서 Other를 '대타자'라고 옮겼으므로, 처음에 나오는 '타자' 역시 '대타자'라고 옮겨져야 한다. 그리고 소문자 타자라는 것, 이런 대타자의 상상적 대응물(counterpart)이다. 그런 한에서, 이 소문자 타자는 (대타자와 같은) 제 값의 주체가 아니며, 단지 자기-충족적인 자아의 측면에 불과하다. 대략 그런 정도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147쪽. 첫문장에 '좌파 이데올로기는 한물 갔다가도 얘기되는 오늘날"에서 '좌파'는 동사 leave의 과거분사형left를 명사로 잘못 옮긴 것이다('이데올로기 일반론'이 갑자기 '좌파 이데올로기론'으로 둔갑할 이유가 없다). 그리고, 편집상의 실수인데, "지젝은 두 죽음.."으로 시작되는 대목부터 149쪽 전체는 147쪽의 "상징적 죽음과 실재적 죽음"이라는 소단락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아마도 책을 급하게 내느라고 꼼꼼하게 교정을 보지 않은 탓으로 보인다(재판을 찍는다면, 마땅히 교정되어야 할 것이다). 해서, "이데올로기에서 현실을 구분해내는 법"이란 장의 결론은 이렇다. "현대 정치의 문제는 그것이 비정치적이라는 것, 현존하는 자본주의 사회 체제를 자연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이다. 이 구조를 바꾸기 위한 첫 단계는 그 '자연성'이 이데올로기적 형성물임을 폭로하는 것이며, 그런 비판을 위한 첫걸음은 그것의 실행가능성을 수립하는 것이다. 그것이 지젝의 모델이 지향하는 목표이다."(147쪽)

-154쪽. "지젝은 이 공식(=라캉의 성차 공식)의 난폭한 수용에 언제나 경의를 표하지는 않는다." '난폭한 수용'은 'outraged reception'인데, 내가 보기에는 라캉의 성차공식에 대해 '불편해하는', 혹은 '다혈질적인 반응' 정도의 뜻이다. 지젝은 (라캉처럼) 그런 반응에 그다지 개의치 않는다는 것. 조금 내려가서, "이론이 뉘앙스가 풍부한 사유보다 독실한 신임을 얻는 데 더 많은 시간이 드는 이 시대에, 이런 전략은 확실히 참신한 우상파괴처럼 느껴진다." 원문은 "In an era where theory often spends more time establishing its pious credentials than actually articulating nuanced thought..."이다. 번역문은 '이론'과 '사유'를 비교의 대상으로 놓았는데, 이건 오류이다. 이론이 뭐하는 것보다 뭐하는 데 더 시간을 많이 보내는, 즉 더 전력하는 시대에, 란 뜻이어야 한다. nuanced thought란 '뉘앙스가 풍부한 사유'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뉘앙스를 갖고 있어서) '다소 모호한 사유'란 뜻이다. articulate란 것은 그걸 분명하게/명료하게 한다는 뜻이고. 지젝은 그런 뉘앙스를 즐기지 않고 대놓고, 아주 공격적으로 말한다. 에둘러 말하지 않는 것, 그게 지젝다운 면모이다.   

-159쪽. 이것도 편집상의 실수인데, "마르크스가 자유, 평등, 사유재산, 벤담의 <자유. 평등. 사유재산의 배타적 영역과 벤담>에 대해 논할 때"가 말이 되는가? 173쪽에서는 한 문장이 누락됐다. "이런 의미에서, 사랑은 이데올로기와 비슷하다." 다음에 "우리는 그것을 '성적 차이의 이데올로기'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we may even say that it is the ideology of sexual difference.)가 빠졌다. 마지막 문장의 '일치'는 '화해' 혹은 '조화' 정도의 뜻이다(남성과 여성의 '일치'가 불가능한 건 상식적인 차원에서도 당연하지 않은가?). 원문은 "[I]t is not possible to reconcile 'man' with 'woman'."

-224쪽. 이건 궁금한 점이다. 지젝 비판가들을 다루면서 마이어스가 "Theorists such as Teresa Ebert and Denise Gigante..."라고 한 대목을 번역본은 "좌파 페미니스트로 유명한 테레사 에버트, 프린스턴 대학 영문학 박사과정에 있는 데니스 히간테 같은 좌파 이론가들은"이라고 옮겼다. 역자가 얼마나 '수고'했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테레사 에버트'와 '데니스 히간테'의 뒷조사까지 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Gigante'가 '히간테'로 표음된 것은 어떤 근거에서인지?(일부 인구어에서 g와 h 사이에 호환성이 있다는 건 알지만, 이 경우에도 그런 건지 궁금하고 Gigante란 이름만 갖고 이 사람의 출신 국적까지 파악되는 건지 신기하다.)  

앞에서 언급했지만, 마지막에 부록으로 실린 글 "향락과 그것의 정치적 부침"은 역자에 따르면, "지젝의 이 책의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하여 보내준 미발표 원고"(235쪽)인데, 대부분, 즉 241쪽에서 252쪽까지는 이미 작년에 당대비평 특별호 <아부 그라이브에서 김선일까지>(생각의나무)에 "아메리카 하위문화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또는 럼스펠드가 아부 그라이브에 관해 알고 있는 모르는 것"이란 제목으로 실렸던 것이다. 물론 다른 대목들도 아주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알베르트 슈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환상의 돌림병>을 참조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유감스러운 건, 252쪽에서 Walter Benjamin을 '발터 베냐민'으로 표기한 것(이전에도 지적한바 있지만, '벤야민'이란 기존의 표기가 어떤 점에서 결격인지 나로선 이해할 수 없는 노릇이다. 유식한 자들의 이런 '상징폭력'은 불쾌하다. 저서도 아니고 번역서인 경우엔 상식과 관행을 존중하면 된다).

원서의 Further Reading은 번역서에서 '지젝의 모든 것'이란 제목으로 갈무리돼 있다(이 책이 2003년에 나온지라 작년에 나온 <이라크> 등은 서지에서 빠져 있다). 이 책을 읽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서 몇 가지 간추리면, 마이어스는 먼저 지젝의 책 중 단 한권만 읽는다면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을 권하겠다고. 그가 어려운 책으로 꼽는 것은 <부정성과 함께 머물기>(근간)이고, 초심자가 읽기에 가장 좋은 책은 <환상의 돌림병>이다(국역본은 물론 '만만찮다'). 최근에 나온 <까다로운 주체>는 "가장 이해하기 쉬운 편"에 속하는 책이지만, "부분적으로는 무척 어렵"다. 그리고 <믿음에 대하여>는 "지젝의 다른 저작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도 쉽게 읽을 수 있는(그래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인데, 우리의 경우엔 유감스럽게도 가장 못 믿을 책이며 따라서 가장 안 팔린 책이다(나도 뜯어말린 책이지만). 현재까지 나와 있는 지젝 선집으로는 라이트Wright 부부가 편집한  <The Zizek Reader>(Blackwell, 1999)가 있다. 지젝의 원문을 '한번' 읽어보고픈 독자에게 한권만 추천하라고 한다면 이 책을 꼽을 수 있겠다...

05. 05. 16.

P.S. 한 가지. 248쪽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 <이중처벌Double Jeopardy>의 국내 출시명은 <더불 크라임>(1999)이다. 토미 리 존스와 애슐리 저드가 나오는 영화. 애슐리 저드가 찍은 이 계통의 영화들 가운데에서는 가장 뛰어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 2005-05-18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복이어서 이전 글을 삭제했더니 아니다 다를까 댓글도 사라져버렸네요. 자명한 산책님과 self-so님의 양해를 바랍니다...

lizom 2005-05-21 15: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자가 로자님에게




다른 사람의 번역본을 꼼꼼하게 원문 대조까지 하면서 읽는 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닌데, 이토록 꼼꼼하게 읽고 교정까지 해 주신 건 지젝에 대한 로자님의 각별한 애정과 출판 기획자 겸 번역자로서의 소명의식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말씀 하신 대로,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는 출판사(앨피)의 공격적인 개입이 두드러진 번역서입니다. 번역에서부터 교정까지 모든 작업을 번역자에게 일임하고 그저 ‘제본’만 하는 기존 출판사의 안일함과 비교할 때 앨피의 ‘과도할’ 정도의 개입은 제게 신선한 충격이자 출판 기획자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끔 한 기회였습니다. 원고 내용을 완전히 소화하여 소제목을 바꿔 달고, 성실한 교열과 그림 선별 및 해설까지 달아준 앨피의 노력에 대해서는 결과와는 무관하게 박수를 보내야할 것입니다.




제목에 대해: 지적 발랄함이나, 대중적 스타일에도 불구하고 지젝이 한국의 지식사회에 안정적으로 터를 잡지 못한 건 그의 이론이 접근하기 ‘두려울’ 만큼 난해해서라기보다는, 그의 입장에 ‘미워할’ 만한 점이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논쟁적이라는 거죠. 그 ‘미워할 만함’에 그의 작업이 지닌 생산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자유주의와 제국적-민족주의로 재무장한 우파와 교착 상태에 빠진 구좌파 양쪽에 대해 공격의 칼날을 휘두르는 지젝의 논의는 확실히 한국 사회의 지식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다만, 저는 지젝의 사유 ‘결과’보다, 그 사유의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칸트, 헤겔, 마르크스를 현대의 이데올로기 비판에 입각해서 재독해 할 필요성을 던져 주는 데 지젝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역에 대해: 영국식 영어문장에 익숙지 않아 정확치 못하거나 불명확한 번역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112쪽 ‘고통의 강도'는 ’얼마간의 고통’으로 고치는 게 맞습니다.(참고로, 말씀하신 대로 저는 원문의 내용을 훼손하지 않는 한, 한국어스럽게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13쪽 ‘긍정적positive 조건’의 positive는 ‘실증적’과 ‘긍정적’의 두 가지 뉘앙스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그래서 보통은 실정적으로 번역했는데) 이 경우는 부정되어야 할 것처럼 여겨지는 ‘은폐’가 오히려 법의 긍정적 조건이 된다는 것을 살려 ‘긍정적’으로 썼습니다.


 관련하여, 항상 고민스러운 reflexive의 번역어를 처음엔 ‘반성적’이라고 했다가, 문맥상 닿지 않는 경우가 너무 많아 ‘무리하게’ ‘재귀적’으로 고쳤는데, 사실, 여전히 불만스럽습니다.


147쪽의 "이론이 뉘앙스가 풍부한 사유보다 독실한 신임을 얻는 데 더 많은 시간이 드는 이 시대에, 이런 전략은 확실히 참신한 우상파괴처럼 느껴진다."(In an era where theory often spends more time establishing its pious credentials than actually articulating nuanced thought...") 는 “이론이 불명료한 사유를 명확하게 하는 것보다 자신의 신자를 확보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시대”로 고치는 게 맞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결정적으로, 


147쪽 첫문장 '좌파 이데올로기는 한물 갔다가도 얘기되는 오늘날"의 오역(leave의 과거분사 left를 명사로 잘못 읽은 것)


147쪽의 본문과 상자글 편집 실수.


159쪽. "마르크스가 자유, 평등, 사유재산, 벤담의 <자유. 평등. 사유재산의 배타적 영역과 벤담>에 대해 논할 때" -> <자유, 평등, 사유재산의 배타적 영역과 벤담>


등은 마지막 최종 교정을 거치지 않아 생긴 ‘결정적’실수입니다. 독자 여러분께 사과드립니다.




인명에 대해: 인명 표기는 항상 고민스러운데, 성실한 조사가 관건이겠죠. Denise Gigante를 데니스 지간트로 발음하지 않고 데니스 히칸테로 한 건, Gigante가 giant(거인)에 해당하는 스페인어이기 때문입니다. 스페인어에서 G와 J는 ‘ㅎ’ 에 가까운 [x]로 발음되어, Gigante는 ‘히간떼’로 들린다는 데 착안하여 그렇게 표기한 것입니다. 물론, 미국식으로 ‘지간트’라고 불릴 수도 있지만.




252쪽에서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을 '발터 베냐민'으로 표기한 것은 오타입니다. 죄송합니다.


저 역시 유식한 자들의 ‘상징폭력’에 대해서는 항상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로자님이 이번에 번역하신 <까다로운 주체>의 163-164쪽 “실체는 praxis, 즉 능동적 개입인 반면에 주체는 theoria, 즉 수동적 직관이다. 여기서 Sein과 Sollen이, 진과 선이 대립하고 있다.”에서 원어praxis, theoria, Sein, Sollen에 해당하는 한국어(가령, 실천활동, 이론활동, 존재태, 당위태 같은)나 발음표기도 없이 그대로 남겨둔 것이 혹 그 상징폭력에 해당하는 건 아닐까요?


 다시 한번, 꼼꼼한 지적 감사합니다. 아무쪼록 <누가...>와 <까다로운 주체>가 서로 상승작용하여 지젝이 많이 읽히는 데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십시오.


로쟈 2005-05-21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세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제 생각에도 편집진이 '과도하게' 개입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교정은 좀 소홀하지 않았나 싶은 것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굉장히 읽기 편한 번역이어서 몇 가지 '옥의 티'들이 못내 아쉽더군요. 그리고 저는 <까다로운 주체>의 번역자가 아닙니다. 아마 '로카드님'과 혼동하신 모양입니다.^^

로즈마리 2005-06-07 0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분 다 대단하시네요. ^^
 

지난번에 신간 <성관계는 없다>(도서출판b)를 '최근에 나온 책들'의 하나로 꼽았었는데, 나는 필요 때문에 다른 책들보다 먼저 이 책을 손에 들게 되었다. 이 논문선집의 요점 중의 하나는 라캉의 성구분 공식에 대한 독해/이해를 제공하는 것이고, 브루스 핑크의 서론격 글인 "성적 관계 같은 그런 것은 없다"(There's No Such Thing as a Sexual Relationship)은 그런 역할에 충실하다.

 

 

 

 

나는 이전에 같은 테마를 다룬 <라캉과 포스트페미니즘>(이제이북스)을 읽었더랬지만, 그 번역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던 대목들이 핑크의 글에서는 명쾌하게 정리/해명되고 있었다. 해서, 라캉 읽기의 '걸림돌'이라고 할 만한 몇몇 대목들, 가령 '욕망 그래프', '네 가지 담론', '성 구분 공식' 등에 대해서 이젠 편하게 참조할 수 있는 책들이 우리에겐 주어졌다(앞의 둘에 대해서는 지젝을 참조하면 된다).

 

 

 

 

핑크의 글에 대해서는 편역자 해제에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나는 군말을 덧붙일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해서 독자들은 그냥 읽어나가면 되는데, 여기선 내가 개인적으로 읽어나가다가 유려한 번역이지만 좀 미심쩍게 생각되는 몇몇 부분을 짚어보기로 한다. 옥의 티라고 할 만한 대목들이 몇 군데 있어서이다.

가벼운 것부터 지적하면, 64쪽에서 '사물'이 발견하는 기표의 예로 든 'art'는 '예술'이 아니라 '미술'로 옮겨져야 할 것이다(그러니까 '예술', '음악'이 아니라 '미술', '음악'이다).그건 67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74쪽에서, "적어도 플라톤까지 거슬러 올로가는 저 오래된 형식과 질료의 은유"에서 '형식'은 물론 'form'의 번역이지만, 이 경우에는 '형상'이라고 번역하는 게 관례이다. 나는 '형식(형상)' 정도로 옮겨주는 게 나을 거 같다. 65쪽에서 "원인을 의미화하기"는 "subjectifying of the cause"의 번역인데, 역자가 "signifying of the cause" 정도로 잘못 본 것 같다. 다른 대목의 번역들을 보건대, "원인을 주체화하기"라고 옮겨져야 할 듯싶다. "그 자신의 원인이 되기"란 뜻이니까.

76쪽에서 "라캉은 S(빗금A)에 관해서 직접 언급하지는 않지만"은 "The little Lacan directly says about S(빗금A)"인데, 여기서 little은 형용사나 부사가 아니고 명사이며 (사전에 따르면) '적으나마 있는 것'이란 뜻이다. 그러니까 풀어서 얘기하자면, "라캉이 S(빗금A)에 대해서 직접 언급한 것은 얼마 안되지만, 그에 따르면"이란 뜻이다(요컨대, "직접 언급하지는 않지만"이 아니라 "직접 언급한 것"이다).

78쪽에서 "왜냐하면 그 파트너는 '남자들'이란 범주에 들어가지 않고, 따라서 여자는 남자와 '관계하거나' 남자를 '따르기' 위해서 남자에게 호소할 필요가 전혀 없으니까 말이다."는 "S(빗금A), as that partner is not situated under 'Men' at all, and thus a woman need have no recourse to a man to 'relate' or 'accede' it."의 번역인데, 이건 내가 보기에 오역이다. 역자는 맨마지막에 나오는 it을 남자들(Men)으로 봤는데, 문맥상 '그 파트너'인 S(빗금A)이어야 한다. S(빗금A)는 '남자들'이란 범주에 들어가지 않으니까 당연히 S(빗금A)와의 관계에서 '남자들'은 불필요하다는 얘기이니까(남자를 따르기 위해서 남자에게 호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넌센스이다).

81쪽에서 "그것은 남근 경제나 단순한 구조주의 안으로 결코 만회될 수 없다"고 한 것은 "It can never be recuperated into a 'phallic economy' or simple structualism."의 번역인데, (오역을 지적하는 게 아니라) 나라면 "그것은 남근경제나 단순한 구조로 결코 회복될 수 없다"라고 옮기고 싶다. 바로 위 문단에서는 'Sexual relationships'를 '성적 관계'라고 단수로 옮겼으므로 그것을 받는 'they'도 단수인 '그것은'으로 옮겨야 할 것이다(수의 일치상). 아니면, '성적 관계'를 '성적 관계들'로 옮기든가.

85쪽에서 "프로이트는 여자는 법에 대해서 이와는 다른 관계를 맺는다고 제안하는데, 그는 그 관계를 아직 덜 고도로 발달된 자아-이상이나 초자아와 관계지었다."는 "Freud suggests that women have a different relation to the law, which he correlates with a less highly developed ego-ideal or superego"의 번역인데, 역자는 관계사 which의 선행사를 relation으로 보았다. 나는 그게 law가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지젝이 다른 자리에서 지적하는 바이지만(144쪽) 라캉에게서 법은 상징적 자아-이상으로서의 법과 초자아 차원에서의 법이라는 두 가지 얼굴을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  

근간으로 돼 있는 브루스 핑크의 <라캉의 주체(The Lacanian Subject)>는 몇 차례 언급한바 있지만, 가장 명쾌한 라캉 입문서이다. 좋은 번역서가 조만간 나온다면, 라캉에 대한 많은 오해와 갈증이 해소될 걸로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의 2장 2절 ‘세계의 밤’부터이다. 102쪽. 진도를 좀 빨리 나가기로 하겠다. 이제까지처럼 일부 오역들을 지적하면서,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정리하는 방식이다.

(21) 둘째 문단, “실증주의적 에고 심리학의 상승과 함께”(with the ascent of positivist ego psychology)는 “득세와 함께”가 더 낫겠다. 이러한 (미국식) 에고 심리학의 득세 때문에, 정신분석학의 고유한 혁신성과 전복성이 거세되는데, 이에 대한 비판으로 러셀 자코비(제이코비)의 <사회적 건망증>(원탑문화사, 1992)이 있다(이 책에 대해서는 <향락의 전이> 초반부에도 언급이 되고 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은 모두 에고 심리학에 근거하고 있다. 이것의 가장 큰 특징은 심적 장치가 얼마만큼 현실(현실원칙)에 잘 적응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을 가름하는 것이다. 그것은 달리 ‘적응’심리학이라고 불릴 만하다(이 적응심리학은 ‘승화’를 대단히 중요하게 다룬다. 승화란 자칫 ‘병리적일 수 있는’ 리비도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방출하는 걸 말한다). 라캉-지젝의 정신분석학은 물론 그러한 현실원칙과 기준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며, 그런 의미에서 그들의 이론적 기획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명비판과 상통한다.

(22) 103쪽. “그러나 이러한 비판의 시야는 그것이 비록 도래할 소외되지 않은 사회에서...”에서 ‘그것’은 앞에서도 지적한 바 있지만, 뒤엣말을 받는 지시대명사이며, 우리말 문법에 맞지 않는 번역투이다. 우리말에서라면, ‘그것’은 ‘시야’(나 혹은 ‘비판’)을 받지만, 원문에서는 (심적 장치와 현실과의) ‘일치’를 받는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이론적 출발점은 이 심적 장치의 논리와 현실의 요구 사이의 본래적인, 환원불가능한, 말하자면 구성적인 불일치이다. 프로이트가 말하는바, “‘문명의 불만’이 인간적 조건을 정의하는 것은 이 불일치 때문이다.” 여기서도 ‘인간적 조건(condition humaine)’은 ‘인간의 조건’이라고 고치고 싶다. ‘인간적’은 ‘비인간적’과 쌍으로 쓰이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 단락의 마지막 문장: “현실에 대한 우리의 가장 ‘자연적인’ 열려 있음은 심적 장치의 본래적인 논리에 압력을 행사하는 금지들이 성공적으로 그 본래적 논리를 붕괴시키고 우리의 ‘제2의 자연’이 되었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에 대한 원문은 “Our most 'natural' openness to reality implies that the prohibitions which exert pressure upon the inherent logic of the psychic apparatus have successfully broken it down and become our 'second nature'.”이다. 여기서 ‘제2의 자연’은 ‘이차적 본성’이라고 하는 게 옳다. 요지는, 우리가 현실(원칙)에 자연스럽게 적응하는 것은 사회적 금지들이 (심적 장치의 내적 논리를 무너뜨리고) 내면화되어 이차적 본성이 되었다는 걸 암시한다는 것이다.

(23) 104쪽. 중간에 “외적 현실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정신계의 매우 내재적인 기능화에는 완전한 만족에 저항적인 어떤 것이 있다.”(there is something in the very immanent functioning of the psyche, notwithstanding the pressure of 'external reality,' which resists full satisfaction.) 여기서 notwithstanding은 ‘-에도 불구하고’란 뜻이긴 하지만, 문맥상 맞지 않는다. “외적 현실이 압력이 아니더라도” 완전한 만족에 저항하는 어떤 내재적인 기능이 있다는 게 요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완전한 만족을 방해하는 건 외적 현실만이 아니라는 것. ‘매우 내재적인 기능화’는 엉뚱한 번역이다. 매우 내재적인? the very는 ‘바로 그’라고 옮기는 게 낫겠다.

(24) 각주29)에서, noism을 ‘부정주의’로 NON-ideology를 ‘비이데올로기’로 옮긴 것도 다소 무신경하다. 이 대중적인 이데올로기는 문맥상, ‘금지주의’나 ‘금지의 이데올로기’라고 옮겨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톨스토이의 명제’는 물론 ‘도스토예프스키의 명제’이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의 저자를 뜬금없이 ‘톨스토이’라고 오역한 것은 무슨 선입견의 작용인 것인지? 무지이거나, 착각이거나.

(25) 106쪽부터 entity의 쇼가 시작되는데, 역자는 ‘실체’라고 번역하기를 꺼려하는 바람에, ‘실존체’니, ‘실재하는 단위체’(110쪽)니 하는 말들로 옮겼다. entity는 실제로 있는 것을 뜻하는데(하이데거의 ‘존재자’를 entity로 번역하기도 한다), ‘존재’나 ‘것’ 혹은 ‘실체’ 등으로 번역된다. ‘실존체’라니? 그렇게 강한/대단한 뜻을 갖고 있지 않다. 문제가 된 문장은 “대상a는 공간 속에 존재하는 실정적인 실존체가 아니다”인데, 실존체는 그냥 ‘실체’라고 하면 될 거 같다. substance와 구별해 주기 위해서 ‘실존체’라고 옮긴 것 같지만. 앞의 (23)에서 얘기됐던 ‘내재적인 기능’이 바로 이 ‘대상a’이다. 해서, 106-7쪽에서는 대상a에 대해서만 잘 이해하고 넘어가면 된다.

(26) 108쪽부터 나오는 내용은 지젝의 책에 단골로 등장하는 대목이기에(그만큼 초기 지젝에게서 핵심적이다) 중요하다. 그가 독일 관념론을 라캉 정신분석학으로 어떻게 재독해하는지 그 단초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고. ‘세계의 밤(night of the world)’에 대한 헤겔의 언명을 지젝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추상적 부정성’의 경험, 자아 속으로의 주체의 ‘정신병적’ 퇴각(세계의 밤)은 변증법적 운동의 최종적인 결과, 구체적 내용의 긍정적 접합 속에 지양되는 지나가는 계기가 아니다. 차라리 그 요점은 긍정적인 정신적 내용의 이 매우 구체적인 접합은 근본적 부정성(세계의 밤)의 일정한 존재를 취하는 형식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걸 아이디어로 해서 지젝은 <부정성과 함께 머물기Tarrying with the Negative>란 책 한권을 썼을 정도이다.

두번째 문장의 원문: “the point is rather that this very concrete articulation of the positive spiritual content is nothing but a form in which the radical negativity (the 'night of the world') assumes determinate being.” 그러니까 기존의 해석에서 이 ‘근본적인 부정성’으로서의 ‘세계의 밤’이라는 건 변증법적 지양의 한 계기였을 뿐이지만, 지젝에 따르면 이 지양이라는 것, ‘긍정적인 정신적 내용의’ 구체적인 절합/분절이야말로 ‘근본적 부정성’이 취하는 한 가지 형태일 뿐이다. 이 ‘세계의 밤’의 정신분석학적 이름이 ‘죽음충동’이며 ‘대상a’이다.

positive는 ‘긍정적’ ‘실정적’으로 번역되는데, 어떻게 구별해서 써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사실 이론서 번역에서 까다로운 부분은 한 개념어에 대응하는 우리말이 둘 이상 있을 경우이다. 가령, 여기서의 articulation은 ‘분절’도 되고, ‘절합’도 된다(‘접합’은 좀 이상하다). substance는 ‘실체’도 되고 ‘실질’도 된다. body는 ‘신체’도 되고 ‘물체’도 된다(이정우는 <의미의 논리>에서 body를 ‘신체’로 번역되어야 하는 부분까지도 전부 ‘물체’로 옮겼고, 김재인은 <천개의 고원>에서 전부 ‘몸체’로 옮겼다). 번역에서 까다로운 건 이런 단순한 개념어들이다.

(27) 이하 114쪽까지의 내용들은 앞의 진술을 부연설명하는 부분들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112쪽 중간 부분: “라캉적 정신분석학의 교훈들 가운데 하나는 - 그리고 동시에 라캉이 헤겔과 재접합하는 지점은 - ‘삶’의 유기적인 직접성과 상징적 우주 간의 근본적인 불연속성이다.” ‘라캉적 정신분석학’은 ‘라캉 정신분석학’이라고 해야 한다. ‘재접합’은 ‘재결합(rejoin)’으로, ‘상징적 우주’는 ‘상징적 세계’로 옮기고 싶다. 라캉에게서 ‘상징적 세계’란 물론 ‘언어의 세계’이며, 헤겔 또한 이 언어의 힘(지배력)을 강조한다. 그것은 유기적 ‘삶’에 대한 ‘죽음’(=로고스/언어)의 지배/통치이기도 하다.

(28) 115쪽. “그러므로 우리가 ‘문화’라고 부르는 것은 그것의 존재론적 지위 바로 그것에 있어서는 삶에 대한 죽음의 통치, 즉 ‘죽음충동’이 실정적인 존재치를 획득하는 형식이다.” 원문은 “What we call 'culture' is therefore, in its very ontological status, the reign of the dead over life, i.e., the form in which the 'death drive' assumes positive existence.” 오역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중요한 대목이어서 옮겨보았다. 한참을 우회했는데, 115쪽에서 지젝은 이러한 사전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로셀리니 영화의 ‘헤겔적인’ 교훈과 매력을 말한다. “그것들은 항상 어떤 ‘진정한’ 실체적인 삶의 그림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치 여주인공의 구원은 이 실체적인 ‘진정성’(substantial authenticity)으로 뛰어드는 그녀의 능력에 달려 있는 듯 보인다.”

(29) 117쪽부터 얘기되는 것은 ‘희생의 매혹’이다. 이 ‘희생’은 앞에서 얘기된 ‘행위’와 구별되어야 한다. 이 희생은 “큰 타자에 대한 ‘화해의 선물’”인데, 이것은 큰 타자의 욕망의 심연을 은폐한다. 그리고 그런 점에서 희생의 논리는 케보이(당신은 무엇을 원하는가?)의 논리와 단절된다(역자는 Che vuoi? 음역/번역하지 않거나 이중으로 번역했다). 이러한 단절/저항의 주체로서 지젝이 르네 지라르(<희생양>)를 따라서 꼽는 인물이 바로 욥이다. 지젝은 욥의 희생에 논리에 대항하는 욥의 물음을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윤리적 혁명”으로 묘사한다. 이하 122쪽 사랑의 논리로까지 이어지는 부분은 순조롭게 읽히며 재미있다.

(30) 123쪽. “즉 주체는 그의 상상적 자기 경험 속에서 효과적으로 ‘주도권을 쥐고 운영하는’ 의미화 메커니즘을 오인하다는 표적인 구조주의적 테제가 라캉에게 얼마나 낯선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여기서 “효과적으로 주도권을 쥐고 운영하는”은 “effectively ‘runs the show’”의 번역이다. 구조주의의 테제란 주체의 ‘상상적 자기 경험’을 실질적인 ‘의미화 메커니즘으로서’의 구조라는 ‘큰 타자’와 대비시키는 것인데, 라캉이 보기에 그러한 ‘큰 타자’는 없다. 그것은 주체의 가정/전제로서만 존재할 뿐이다. 그리고 이것이 라캉의 큰 타자와 알튀세르의 큰 타자 간의 차이점이기도 하다.(<라캉의 재탄생>에 실린 ‘라캉과 알튀세르’를 다시 읽어봐야겠다.)

(31) 그래서 라캉이 더 강조하는 것은 ‘해방’이 아니라, ‘퇴각(=물러남)’이다: “큰 타자로부터의 주체의 이 ‘퇴각’이 라캉이 ‘주체적 궁핍’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것은 희생의 행위가 아니라 바로 그 희생을 희생시키는 포기의 행위이다. 이렇게 해서 획득되는 자유가 우리의 이웃으로서의 타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큰 타자 자체 속의 지지대 또한 없는 우리 자신을 발견하는 지점이다.”(124쪽) 그리고 이 자유는 해방의 정반대물이다(해방은 항상 주인으로서의 큰 타자를 상정한다). 결론적으로 로셀리니의 영화들은 이러한 자유에 관한 영화들이며, “어떤 외상적 만남의 실재와 타협하려 하지만, 궁극적으로 실패한 시도”들이다. 그리고 그의 영화들에서 이 모든 행위(act), 즉 연기는 잉그리드 버그만의 것이었다.(왜 여자는 남자의 징후인지 이젠 아셨는지?)

 

 

 

 

(32) 이 절에 대해선 이상으로 대충 마치기로 한다. 집에 갈 시간이 다 됐다. 이 절을 마감하는 각주47)에는 로셀리니 영화의 알레고리적 성격과 관련하여, 제임슨의 ‘히치콕을 알레고리화하기’란 글을 참조하라고 돼 있다. 그래서 나는 정말 그 글을 참조해 보고자 했다! 그 글은 얼마전에 번역된 <보이는 것의 날인>(한나래)에 실려 있다. 그런데, 한번 언급한바 있듯이 번역이 좀 미덥지가 못하다. 제임슨도 악문이지만, 번역문은 한술 더 뜨기에. 비근한 예로 ‘히치콕을 알레고리화하기’의 212쪽에 “라캉의 표현으로는 ‘신성하지 않은 시침들 upholstery tacks’로서 기능하는 특별한 기표들”이란 말이 나온다. 신성하지 않은 시침들? 이게 라캉의 용어라고?

라캉을 좀 읽은 독자라면, ‘upholstery’란 단어에서 대충 때려잡을 수 있는바, 이건 흔히 ‘quilting point’로 더 많이 번역되는 ‘누빔점’ 혹은 ‘고정점’이란 뜻의 어구이다. 그걸, upholstery tacks라고 낯설게 옮겨놓은 제임슨도 짓궂지만(이런 게 변증법과 무슨 관계가 있나?) 그걸 눈치없이 ‘신성하지 않은 시침들’이라고 번역해놓은 역자의 무식 또한 상당한 수준이다(요컨대, 라캉을 별로 읽어본 바 없다는 얘기다). 사정이 이렇게 되면,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역자가 다 뒤집어쓰는 수밖에 없다. 부록으로 책 한권 더 준다고 해서 덥석 25,000원이나 하는 비싼 책을 사버렸는데, 이걸 어디에다 하소연해야 할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휴가 시작되기 전에 일단 이 장은 끝내놓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후에도 밀린 일들 때문에,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라캉닷컴에 가면 이라크전쟁과 관련한 지젝의 강연문 내지는 원고를 여러 편 읽어볼 수 있다. 이번에 Verso출판사와 b출판사에서 나올 책에 포함되지 않을까 짐작해 보는데, 아침엔 프린트한 원고 한편을 좀 읽다가 버스에서 내내 졸았다. 어젯밤에는 인간사랑에서 근간 예정인 의 번역 원고를 교정보다가 잠이 들고(번역본의 상태는 커트라인은 거뜬히 통과할 만한 수준이지만, 책으로 나오기에는 아직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많다. 소위 후반부 작업(교정)이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즘 다른 할일들이 너무 많아서 잠시 아예 손을 놓고 있는 편인데, 사정을 모르는 사람은 맨날 지젝만 붙들고 있는 줄로 알 거 같다. 하지만, 사실 이달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은 양대 해석학자인 가다머와 리쾨르여서, 그간에 안 갖고 있던 이들의 책과 연구서를 10여권 이상 복사했다(해서, 두 사람의 책을 모두 합하면 30권쯤은 되는 거 같다. 이젠 읽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어느새?). 어제부터는 리쾨르의 <악의 상징>(문학과지성사)을 영역본과 대조해서 읽기 시작했다(‘문학과 악’ 혹은 ‘문학 속에 나타난 악’이란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되어서이다).

94년에 초판이 나온 이 책은 리쾨르의 책으론 비교적 많이 팔리고 있나 본데(문지의 ‘우리시대의 고전’ 시리즈에 들어가기도 하고), 사실 번역은 별로 맘에 들지 않는다. 출간당시 프랑스에 유학중이던 한 선배가 번역이 엉망이라고 핀잔을 준 적이 있는데, 그 얘기를 듣고 내가 책을 안 샀는지, 아니면 책을 산 뒤에 그 얘기를 들어서 낭패감이 들었는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질 않아서, 책을 (어쩌면 다시) 사면서도 찜찜하기는 했는데, 역시나 책을 읽으면서 영 개운하지가 않다(이런 걸 ‘투덜대며 겨자 먹기’라고 한다).

본문 시작부터 오역이 나오는 거야 예사로운 일이지만(영어로는 guilt로 옮겨진 것을 우리말로 ‘허물’로 옮긴 것에도 동의하기 어렵다), 역자는 리쾨르의 모든 문장을 단문으로 쪼개서 번역하고 있다. 역자인 양명수 교수는 권택영 교수 뺨치는 스타카토 문체를 구사하는데(문장의 짧음은 혹 생각의 짧음을 반영하는 건 아닌지), 그거야 자기 스타일이라고 쳐도 리쾨르의 문체마저 완전히 자기 스타일로 바꾸어놓은 것은 좀 납득하기가 어렵다. 해서, 책의 저자는 리쾨르라기보다는 차라리 그에게서 영감(리쾨르의 표현을 응용하자면, false-inspiration)을 받은 양명수라고 해야 더 타당할 거 같다(주여, 오역은 흠입니까, 죄입니까, 허물입니까?). 혹 이 책을 읽었거나 읽을 계획을 갖고 계신 분들은 이 점을 고려하시기 바란다.

 

 

 

 

(15) 각설하고,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로 돌아오자. 계속해서 96쪽이다. 지난번에 카린의 상징적 자살 ‘행위’까지 했는데, 거기서 act와 action의 구별에 유의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덧붙여서 act와 구별해야 하는 것이 ‘행위로의 이행’ 혹은 ‘행위로의 이동’이라고 번역되는 passage a l'acte(a에 붙은 강세 부호는 생략했다)이다. 이건 영어로 passage to the act인데, 지젝은 보통 불어 그대로(이탤릭체로) 쓴다. 정신의학에서는 정신병적인 충동적 행동을 그렇게 부르는 거 같은데, 라캉-지젝은 외연을 좀 확대해서 사용한다(D. 에반스의 <라캉정신분석사전> 참조).

여기까지는 그래도 괜찮지만, 사정은 조금더 복잡하다. 에반스에 따르면, 라캉은 프로이트의 Agieren(행동화)의 번역어로 사용되던 passage a l'acte에 조금 다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둘을 구별한다. 즉 영어로 하자면, 라캉은 acting out과 passage to the act를 구별한다. 전자는 대타자에게 보내는 상징적 메시지이고, 후자는 대타자로부터 실재의 차원으로 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행위로의 이행은 상징적 그물망으로부터의 탈출이고, 사회적 연대의 해체이다.”(이것이 지젝이 ‘자유’라고 부르는 것 아닌가?) 여기서 내가 좀 헷갈리는 것은 지젝과 라캉의 용어 사용이 일치하지 않는 거 같기 때문이다. 즉 라캉의 acting out과 passage to the act의 구별에 대응하는 것이 지젝에게는 passage to the act와 act의 구별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내가 무심코 읽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지젝에게서 ‘acting out’이란 말은 주목하지 못했다).

적어도 에반스의 설명에 기댈 때 그러한데, 가령 96쪽에서 지젝은 “현실에서의 자살은 상징적 소통의 그물망 속에 붙잡혀 있다. 스스로를 죽임으로써 주체는 큰 타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려 시도한다. 즉 그것은 죄의식의 승인, 정신을 맑게 하는 경고, 감상적인 호소로서 기능하는 행위인 반면, 상징적 자살은 주체를 주체들 간의 회로로부터 배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여 ‘현실에서의 자살’(영어 표현은 모르겠다. ‘suicide in reality’일까?)과 ‘상징적 자살(symbolic suicide)’을 구별하고 있는데, (라캉식 구별에 따르면) 전자가 acting out이고, 후자가 passage a l'acte 아닌가? 그런데 지젝은 이 후자(상징적 자살)를 act라고 부른다(여기까지가 나의 추론인데, 내용을 자세히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길). 해서, 요컨대 지젝을 읽을 때, act(행위)와 action(행동), 그리고 passage a l'acte(행위로의 이행)이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데 유의해야겠다.

(16) 앞의 인용문에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면, ‘정신을 맑게 하는 경고’는 ‘a sobering warning’의 번역인데, 좀 무심한 번역이다. 이 경고는 자살에 의해서 촉발되는 것인데, 자살이 우리의 정신을 맑게 하는가? 나로선 동의하기가 어렵다. ‘정신이 바짝 들게 하는 경고’이라거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경고’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17) 이어지는 문장, “그러므로 <스트롬볼리>가 깔아놓은 함정은 스스로를 ‘명백한’ 것으로서 제공하는 그것의 종결부를 읽는 것에 있다.”는 좀 어색하다. 원문은 이렇다: “The trap laid by consists therefore in the reading of its end that offers itself as 'obvious'.” 다시 옮기면, “<스트롬볼리>의 함정은 이 영화의 결말이 그 자체로 너무도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 걸로 보는/읽어내는 데 있다.” 그러니까, 함정은 너무도 명백하고 당연한 결말이 아닐까라고 보는 데 있다. 반면에, 지젝은 이 영화의 결말이 모호하며 확정적이지 않다고 본다. 왜냐하면, “영화는 카린이 새로운 상징적 정체성에서 그녀의 장소를 발견하기 전에, 새로운 수행문, ‘새로운 창립사’ 앞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장소(place)’는 ‘자리’라고 옮기는 게 더 적절해 보이고, ‘새로운 창립사(founding word)’는 따옴표가 잘못 쳐져 있는데, 나라면, “새로운 ‘자기정립의 말’”이라고 옮기겠다.

(18) “그렇지만, 라캉이 강조하는 바는, 그러한 상징적 자살이라는 ‘영점’의 통과는 이런 이름을 받을 가치가 있는 모든 행위 속에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에서 ‘이런 이름’은 무얼 받는 말일까? 우리말 문법에 따르자면, 이런 이름이 가리키는 건 앞에 나오는 ‘영점’이나 ‘상징적 자살’이다. 하지만, 원문에서 그것이 가리키는 건 ‘행위’이다. 직역을 하다보면, 이러한 번역투의 오역이 자주 나온다. 다시 옮기면, “... 상징적 자살이라는 ‘영점’의 통과는 ‘행위’라는 이름에 값하는 모든 행위 속에 작동하고 있다...”

(19) 98쪽에서, ‘잠정적인 엄폐(temporary eclipse)’는 ‘일시적인 소멸’로 옮기고 싶고, ‘행위는 덜 수 없는 위험에 의해 정의된다’에서, ‘덜 수 없는 위험(irreducible risk)’은 거의 ‘환원불가능한 위험’이라고 자동번역되지만, 문맥상 ‘제거할 수 없는 위험’이라고 옮기고 싶다. 이 대목은 행위의 정의와 관련하여 음미해볼 만하다. 지젝에 의하면, 행위의 최종결과는 궁극적으로 무의미하며, 엄밀히 말해서, 순수행위로서의 절대적인 거부(NO!)와 관련하여 부차적이다(strictly secondary in relation to the NO! of the pure act).

그리고 그에 따른 각주 26)도 중요하다. <햄릿>의 대사이기도 한, ‘out of joint’(탈구되어 있는 <시간>)는 데리다에게서도, 들뢰즈에게서도 아주 중요한 문구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주의해서 읽어둘 필요가 있다. 99쪽 연속되는 각주에서 “사물이 항상 ‘자기 자리를 원하는(wanting (at) its place)’ 우주”는 “사물이 항상 ‘자신의 장소에 자리하기를 원하는’ 우주”라고 하면 더 이해가 쉬울 거 같다. 즉 사물들이 제자리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자기 자리로 돌아가려고 하는 우주이다. 마찬가지로, 피투적 존재로서의 현존재(Dasein)란 자신이 있어야 할 장소에 있지 않다고 지각하는 존재, 즉 out of joint되어 있는 존재이다. 모처럼 하이데거 전공자로서의 지젝이 한마디 하고 있는 대목이다.

(20) 100-102쪽까지 이어지는 대목은 전부 ‘행위’의 구체적인 사례들이다. 흥미로운 것은 101쪽에서 행위의 범례적 사례들이 ‘여성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안티고네를 유력한 예로 제시하는 부분이다. 지난번 방한 강연회 때, 이 책의 역자 주은우가 지젝에게 질문했던 내용이기도 한데(당신은 안티고네의 행위를 행위의 모범적인 모델로 간주하는가?), 이에 대해서 지젝은 안티고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은 다소간 부정적인 쪽으로 바뀌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어쨌든 이러한 ‘여성적’ 제스처는 프랑스의 레지스탕스이자 가톨릭 신비주의자 신비주의자 시몬느 베이유에게까지 이어진다.

그런데 이 베이유가 런던에서 ‘자살적인 굶주림’에 의하여 삶을 마쳤다고 돼 있는데, 못 먹어서 죽은 게 아니라 안 먹어서 죽은 것이므로, ‘자살적인 음식거부’라고 해야 온당할 거 같다. 그 다음, 102쪽의 마지막 문장에서 ‘절망적인 시도(desperate attempt)’는 ‘필사적인 시도’라고 고치고 싶다. 아무튼 요 몇 페이지는 ‘행위’란 개념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하면서도 유익하기 때문에(더불어 재미있고 쉽게 이해된다) 반드시 참조할 필요가 있다...

(2절 ‘세계의 밤’은 또 언제 다루어야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