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젝의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도서출판b, 2007)의 제6장을 읽는 것이 이번달 '사회적 독서'의 한 가지 목표량이었다. 어느새 마지작 한 주를 남겨놓고 있어서 부랴부랴 책을 들고 10여쪽을 읽었다. 공부란 읽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서 읽은 내용에 대해서 말하고 쓰는 노력이 덧붙여져야 한다. 그런 의미의 '정리'를 해가면서 진도를 뺄 생각이다. 더디 갈 수 있고, 가다 못갈 수도 있지만 가는 만큼은 확실하게 다져두는 게 또한 공부법이다. 적어도 '이론서'로 분류될 수 있는 책들의 경우에는(문제는 이렇게 정리해두어야 하는 책들이 책상에 쌓여 있다는 것이지만).

   

 

 

 

지젝의 원서 자체는 지난 1993년에 나왔으니 어느덧 14년이 되었다. 보통 이론서들의 운명이 10년을 넘기기 어렵다는 게 통념이고 보면 아직은 '살아있는 이론(live theory)'이라 할 만하다. 원서 자체는 듀크대학의 '탈-동시대적 개입(Post-Contemporary Intervention)' 시리즈의 한권으로 나왔고, 이 시리즈의 편집자가 스탠리 피쉬와 프레드릭 제임슨이다.

제임슨이야 다 아는 이론가/비평가이지만 밀튼 연구의 대가로서 한때 문학비평에서 이름깨나 날리던 스탠리 피쉬의 국내 수용은 지나가던 바람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문학연구와 정치적 변화>(동인, 2001)란 얇은 책 한권으로 면피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수사학의 시대가 도래한다고 하니까 자칭 '반정초주의자(anti-foundationalist)'인 피쉬도 뒤늦은 바람을 타게 될 지 모를 일이지만.

거기에 비하면 슬라보예 지젝은 동유럽 공산주의의 몰락과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여 현재까지도 전세계 지식사회를 강타하고 있는 지각운동이다. 발칸반도를 그 진앙지로 갖고 있지만 이 지각운동의 여파는 세계 곳곳에 미치고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올해만 해도 지젝이란 타이틀을 내건 책이 3-4종은 더 나올 듯싶고, 이러한 사정은 당분간 지속될 듯하다. 하니, 지젝의 얘기가 남의 나라 지진 얘기 같지 않다면 부지런히 읽어두어야겠다.

"서유럽은 동유럽 공산주의의 붕괴에 왜 그토록 매료되었는가?"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의 제6장 서두에서 지젝이 던지는 질문이다. "대답은 분명해 보인다. 서유럽의 응시를 매료한 것은 민주주의의 재창안이었다."(385쪽) 무슨 말인가? 서유럽에서는 갈수록 쇠퇴와 위기의 징후를 보여주는 민주주의가 동유럽에서는 아주 새롭고 진기한 것으로 재발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 즉, "서유럽은 동유럽에서 자신의 잃어버린 기원들을, 자신의 잃어버린 '민주주의적 창안'의 기원적 경험을 찾고 있다." ('민주주의적 창안(democratic invention)'은 '민주주의의 창안'이란 뜻으로 이해하는 게 편하겠다.) 그런 점에서 "동유럽은 서유럽에게 자아-이상(Ego-Ideal)으로서 기능한다." 자기 자신을 응시하는 시점으로서 기능한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지금 동유럽에서 출현하고 있는 현실은 서로 간에 매혹된 그 두 응시에 대한 이와 같은 목가적 그림의 어지러운 왜곡이다. 외국인 혐오에서 반유대주의까지 그 일체의 통상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협조적 민족 포퓰리즘의 성장에 직면한, 자유민주주의적 경향의 점진적 후퇴. 이 예기치 않은 전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민족적 동일화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을 재고해야 한다."(386쪽)

하지만, 서유럽의 기대와는 다르게 동유럽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은 서로에게 매혹의 시선을 보내는 '목가적 그림'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지젝의 지적이다.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건 "외국인 혐오에서 반유대주의까지 그 일체의 통상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협조적 민족 포퓰리즘의 성장에 직면한, 자유민주주의적 경향의 점진적 후퇴."이다. 원문으로는 "the gradual retreat of the liberal-democratic tendency in the face of the growth of corporate national populism which includes all its usual elements, from xenophobia to anti-semitism."(201쪽)

 

 

 

 

그러니까 "자유민주주의적 경향의 점진적 후퇴"는 서유럽의 상황이고, 이와 대조되는 것이 동유럽의 "협조적 민족 포퓰리즘"이다. 한데, 여기서 'corporate'은 '협조적'이란 뜻보다는 '조합국가(corporate state)'란 용례에 미루어 '조합적'이라고 옮기는 게 타당하지 않나 싶다. 정치학에서 쓰는 용어인지는 모르겠지만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조합국가란 "(이탈리아 파시즘에서처럼) 산업-경제 부문의 전조합이 국가의 통제를 받는 국가"를 뜻한다. 다른 동유럽 국가의 사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최근에 출간된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를 참조해볼 수 있겠다),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하에 민영화했던 기간 기업들을 실질적으로 다시 국유화한 러시아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할 듯싶다.

지젝이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원론적인' 정신분석적 설명이다. 미리 압축해서 말하자면, 정신분석적 이해의 대전제는 "어떤 주어진 공동체를 묶는 요소는 상징적 동일화의 지점으로 환원될 수 없다. 그 구성원들을 한 데 연결하는 끈은 언제나 어떤 사물을 향한, 체화된 향유를 향한 공유된 관계를 함축한다."(386쪽)는 것이다.

여기서 미리 이해되어야 될 중요한 개념은 '사물'인데, 같은 페이지의 각주1)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라캉의 세미나 제7권 <정신분석의 윤리>를 참조하라고 돼 있지만 국역본의 일반 독자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사항이다(혹 앞부분에서 역주로 자세히 풀어주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물'은 프로이트가 말하는 'Das Ding'의 번역어로서의 'the Thing'의 번역이므로(흔히 'the Freudian Thing'이라 부른다) 우리말로도 그냥 '사물'이라고 옮기는 것은 뭔가 부족해보인다. 사물이라고 강조라도 해주어야 하지 않나 싶다.

사물은 타자(Other) 안에 있는 의미화되지 않고, 의미화될 수도 없는 어떤 대상을 가리킨다(후기의 라캉이 '대상  a'라고 부르게 되는 것이다). <라캉의 재탄생>(창비, 2002)에서 한 대목을 인용하자면, "라캉은 프로이트와 하이데거의 용어를 빌려 주체에게 완전한 충족을 준다고 간주되는, 하지만 영원히 상실된 이 대상(어머니의 육체)을 사물(Ding, chose)이라고 부른다."(86쪽)

인용에서 '간주된다'는 것은 그것이 실정적인 것이 아니라 사후적인 투사효과에 의해서 구축되는 것임을 뜻한다. 이에 대해서는 지젝이  더 자세하게 설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민족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제로서의 '향유의 도둑질(Theft of Enjoyment)', 향유(향락)를 '그들'에게 도둑맞았다는 의식에 대해서는 다른 자리에서 다루기로 하겠다. 본의아니게 말이 길어질 듯하다. 고작 두 페이지도 안되는 분량을 읽었을 따름이지만 밀린 일들에 치어 '작전상' 후퇴하도록 한다...

07. 03.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라보예 지젝이 지난 3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모스크바에 머물면서 네 차례 강연회를 가졌다. '러시아연구소' 등의 초청으로 이루어진 이번 강연회에서 그가 다룬 네 가지 테마는 (1)톨레랑스 비판 (2)정신분석은 왜 여전히 중요한가? (3)글로벌 시대 주권국가의 전망(원탁회의) (4)할리우드의 가족신화 등이었다. 강연의 일부는 오디오 파일로 인터넷에 올라와 있기에 조금 들어봤는데, 러시아어로 동시통역돼 있는 데다가 잡음이 많아서 알아듣기 힘들었다. 관련사진과 현지 인터뷰 기사 하나만을 옮겨놓는다. 기사는 '노바야 폴리티카'(새로운 정치)란 저널에 게재된 것으로 직역하면 '정치적 올바름에는 뭔가 불공정한 것이 있다'란 제목이다(나중에 시간이 나면 번역해놓겠다).

07 марта 2007

Славой ЖИЖЕК

В политкорректности есть что-то неправильное

Москву посетил известный словенский интеллектуал Славой Жижек. Он известен как философ, публицист, эссеист, поклонник и толкователь психоанализа и марксизма, кумир левой публики в Европе. Его тексты намеренно провокативны – дабы побудить читателя думать, и обозначить проблему отчетливее и ярче. При содействии пиар-директора издательства "Европа" Инны Липатовой, Жижек согласился ответить на вопросы "НП".

– Вы – самый известный в Европе фрейдомарксист. Но многие мыслители, например, Карл Поппер, считают, что как марксизм, так и психоанализ – не наука. Они полагают, что эти феномены человеческой мысли даже ближе к религии. Что вы думаете по этому поводу?

– Все зависит от того, как люди определяют значение слова "наука". Психоанализ – не религия, но и не наука в строгом смысле слова. В нем нет объекта наблюдения, нет доказательств как в строгой научной дисциплине. Это нечто другое. Для меня отсутствие "объективности", то есть критика Поппера или Фейерабенда, не аргумент против психоанализа. Ведь тому как Поппер определяет науку ни одна из научных дисциплин не соответствует. Например, квантовая физика не будет являться наукой в строгом смысле подоб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Принято считать, что в нашем мире единственное "законное" знание есть наука. Но это лишь в узком смысле. Ведь есть иные очень важные сферы познания, например, мистическое прозрение, которое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другая сторону знания.

– Каково место марксизма в общественной мысли в начале XXI века?

– Конечно, сегодня мы наблюдаем великое поражение марксизма. И революция – как квинтэссенция марксизма, как его практика, – оставлена позади. Что для меня живо в марксистском наследии? Это проницательный взгляд во внутреннюю динамику капитализма. В капитализме остались (и всегда будут присутствовать) различные антагонизмы и контрадикции. В длительной перспективе капитализм не способен самостоятельно устранить собственные противоречия.

Вы – автор известной книги "13 тезисов о Ленине". Поэтому задам вам такой вопрос – если бы Ленин родился столетием позже, в 1970 году, с кем бы и бы где он был сейчас?

– Интересная особенность в Ленине – начало Первой мировой войны опрокинуло все е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 ожидания, история пошла по другому пути, чем он полагал прежде. Я думаю, он был бы сегодня аналогично сбит с толку, растерян. Не считаю, что он бы стал социал-демократом. Но он и не примкнул бы к тем многочисленным революционным движениям, которые появились после Второй мировой войны. Ему бы пришлось сильно поломать голову, чтобы найти свое место.

– У нас в России многие опасаются прихода из Европы политической корректности. Что вы думаете об этих страхах и об этом феномене?

– Политическая корректность имеет две стороны. С одной, она противостоит привычному консервативному отношению ко многим вещам. И это весьма позитивно. В тоже время есть что-то фундаментально неправильное в политической корректности. Она ставит правильные задачи, но решает их в лож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В целом, политическая корректность – это не исключительно негативный феномен.

– Ваше отношение к распаду Югославии?

– Я не думаю, во-первых, что распад Югославии – это то, чего хотело большинство словенцев. Они стали думать о независимости только после провозглашения воинственной политики Милошевича. Большинство людей хотело существования Югославии в новой форме. Проблема заключалась в опасной динамике режима Милошевича в Сербии.

Сегодня ситуация сложная. Преобладающая часть жителей Словении, например, гордится тем, что у них есть своя страна, со своей столицей, что мы – часть единой Европы. Но сохраняется субкультура родства всех бывших югославов – сербов, хорватов, боснийцев и так далее. Нет подлинной ненависти наций друг к другу. Думаю, для большинства югославов распад Югославии – это трагедия. Но, повторюсь, после того, как власть сосредоточилась в руках Милошевича, все возможные формы сохранения югосла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были мертвы.

– Как повлияло вступление Словении в Европейский союз на ее жизнь? Какие произошли изменения?

– Парадокс – с экономикой у нас не все так плохо. В бывшей Югославии Словения была основным экспортером продукции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На нее приходилось 70 % экспорта и импорта в Европейский союз. Так что для нас вступление в Евросоюз в плане экономики не было шоком. А вот культурно мы стали провинциальней. Еще один парадокс – при коммунистах те же художники-авангардисты имели финансирование своих выставок, получали поддержку государства и так далее. Сегодня же преобладающая культура более консервативна. Да, сохраняется радикальная рок и панк музыка. Но в последние годы коммунизма она имели большее признание и одобрение чем сейчас. Сегодня у нас сильное влияние консервативной Католической церкви. Те, кто были маргиналами до 1991 года, нынче верховодят.

Недавно итальянские журналисты меня спросили: теперь, когда вы стали частью единой Европы, что вы можете ей дать? Я ответил – "ничего". Мы не некая маленькая нация, обладающая огромными духовными ценностями. Мы просто маленькая умеренная "нормальная" страна. Меня спросили также – почему же я, левак, поддерживаю присоединение Словении к Европейскому союзу? Я ответил, что мне не нравится, что во многих пост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х странах наблюдается сильная консервативная реакция, например, не только у нас, но и в Польше. Я думаю, что в Единой Европе часть подобных издержек можно будет избежать. Вступление в Евросоюз позволит больше уважать права индивидуума. Ситуация сложилась бы хуже, если бы Словения оставалась вне Евросоюза. Ведь, если ты член Евросоюза, то должен соблюдать определенные нормы – уважать иные культуры, быть толерантным и так далее. Вот почему я за единую Европу.

Беседовал Максим АРТЕМЬЕВ

07. 03. 21.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바 2007-03-22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쟈님의 '번역'을 하루 빨리 읽고 싶습니다.^^ 그런데 강연 전문이 영어로 번역되면 좋을 것 같은데 이건 전혀 불가능한 일인가요? 그리고 몇일전 '기인'님 서재에서 로쟈님 사진을 봤는데, 생각했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더라구요...^^

로쟈 2007-03-22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 빨리는 어렵고요(^^;) 아마도 방학 가까이가 돼야 시간이 날 듯합니다. 문제의 사진은 좀 이상하게 나왔는데 실물이 조금 더 낫습니다. 4월에 데리다에 대한 짧은 강연이 예정돼 있는데, 시간되면 한번 들르시길...

에바 2007-03-23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간, 장소만 알려주시면 꼭 가겠습니다. 그리고 문제의 사진에 관해서라면 '기대 이상'이라는 뜻이었습니다.^^
 

다소 뜬금없는 제목은 나의 것이 아니라 한 출판동향 기사의 제목이다. '국내 출판계 슬라보예 지젝에 반하다'. 부제대로 '슬로베니아 출신 세계적인 정신분석이론가' 슬라보예 지젝이 국내에 잇따라 번역/소개되고 있고 있다는(아마 올해도 서너 권이 더 출간될 듯하다) 새삼스럽지도 않은 기사이지만 '자료'로 보관해놓는다.

세계일보(07. 03. 10) 국내 출판계 슬라보예 지젝에 반하다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58·사진). 철학이나 사상사 혹은 정신분석학 등에 특별히 관심이 없는 사람에겐 분명 낯선 이름인 지젝이 한국 지성계를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동유럽 조그마한 나라 출신으로 세기를 넘기며 전 세계 철학·사상사 판도를 뒤흔드는 그는 도대체 누구인가. 왜 이역만리 한국 땅에서 결코 쉽지 않은 그의 저작들이 잇따라 번역되고 출판되고 읽히고 연구되는가. 1995년 ‘삐딱하게 보기’(김소연·유재희 옮김, 시각과언어)와 97년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주은우 옮김, 한나래)가 선보인 이후 한국 출판계에 불어닥친 ‘지젝 현상’의 베일을 벗겨본다.

49년 슬로베니아(옛 유고연방)에서 태어난 지젝은 파리 제8대학에서 정신분석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는다. 현재 모교인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그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뉴욕, 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다)를 오가며 활발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유럽 학자들로부터 ‘동유럽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그의 이론·사상적 토대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헤겔의 관념 철학, 그리고 마르크스의 사유 전통이다.

 

영화 등 대중문화론은 물론 미학, 정치 이론 등을 자유자재로 결합하면서 성과물을 양산하는 그는 80년대 류블랴나에서 ‘이론정신분석학회’를 창립해 회장으로 취임한 뒤 전체주의와 인종주의에 반대하는 운동가로 활동했다(*학회라고는 하지만 처음 회원은 믈라덴 돌라르와 지젝 두 사람이었고, 연장자인 지젝이 회장을 맡았다). 현실 정치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 90년엔 대통령 후보로 나서기도 했다. 사회주의 체제를 경험하고 몰락을 목도한 것도 지젝에겐 소중한 지적 체험이었다.

2003년엔 한국철학회 초청으로 방한해 6회나 강연하며 국내 철학도들을 흥분시켰고, 올해엔 청소년잡지 ‘인디고잉’에 무료 기고문을 보내 화제가 되는 등 한국과도 인연의 끈을 이어가고 있다. 지젝이 신선하고 매력적인 21세기형 사상가로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보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소소한 대중문화와 정치 현상들을 통해 새로운 해석과 독특한 방식의 사유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삐딱하기 보기’의 번역자 김소연씨는 “그가 종횡무진 접어드는 길목에는 현실, 욕망, 무의식, 환상, 쾌락, 이데올로기, 포스트모더니티, 형식적 민주주의와 관료적 사회주의 등이 망라돼 있다”며 “지젝을 따라 그 길목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뒤통수를 치는 듯한 ‘발상의 전환’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때론 고개를 갸우뚱거릴 만한 ‘논리의 비약’으로 직행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지젝 소개에 앞장선 출판사는 인간사랑(대표 여국동)과 도서출판 b(대표 조기조). 인간사랑은 2001년 ‘향락의 전이’(이만우 옮김)를 필두로 2002년 ‘이데올로기라는 숭고의 대상’(이수련 옮김), ‘환상의 돌림병’(김종주 옮김), 2003년 ‘실재계 사막으로의 환대―9·11과 그에 관련된 날짜에 관한 다섯 가지 논문’(김종주 옮김), 2004년 ‘무너지기 쉬운 절대성’(김재영 옮김),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박정수 옮김)를 펴냈다(*반타작이다. 읽을 만한 번역과 그렇지 못한 번역이).

2004년부터 슬로베니아학파 총서 번역 작업에 뛰어든 b는 그해 ‘이라크―빌려온 항아리’(박대진 외 옮김), 2005 ‘성 관계는 없다’(공저, 이성민·조창호 옮김), ‘까다로운 주체’(이성민 옮김), 2006년 ‘신체 없는 기관’(김지훈 외 옮김), 그리고 최근엔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칸트 헤겔 그리고 이데올로기 비판’(이성민 옮김)을 잇달라(*잇따라) 소개했다(*b에서는 아직도 몇 권의 책이 더 나올 예정이다. 그러고 보니 책을 읽는 속도보다 나오는 속도가 더 빠르군!). 

 

유럽 철학·사상서를 주로 소개하는 새물결(대표 홍미옥)과 길(대표 박우정)도 지젝 저서 번역 대열에 가세했다. 새물결은 2001년 지젝이 엮은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김소연 옮김)을 펴낸 데 이어 이달 말 출간을 목표로 ‘전체주의가 어쨌다고?’(한보희 옮김)를 제작 중이다. 지난해 ‘혁명이 다가온다―레닌에 대한 13가지 연구’를 출간한 길도 올 여름께 ‘꼭두각시와 난쟁이―기독교의 전도된 핵심’(김정아 옮김)을 번역 출간한다.

이 밖에 지젝의 ‘믿음에 대하여’(동문선, 2003), ‘매트릭스로 철학하기’(이운경 옮김, 한문화, 2003), ‘잉여 쾌락의 시대―지젝이 본 후기산업사회’(권택영 옮김, 문예출판사, 2003), ‘진짜 눈물의 공포’(곽현자 외 옮김, 울력, 2004)도 이미 서가를 채우고 있고, 연구서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토미 마이어스 지음, 이성민 옮김, 앨피, 2005)와 ‘슬라보예 지젝’(정현숙 옮김, 경성대출판부, 2006)도 선보였다.

너무도 많은 분야에서 너무도 박학다식한 지식을 동원해 삐딱하게 기존 지식을 마구 파헤치는 지젝은 그만큼 적도 많다. 특히 해체주의자, 푸코주의자, 페미니스트들, 데리다주의자, 하버마스주의자들은 대부분 지젝을 싫어한다. 이유는 물론 그가 스스로 라캉주의자로 선언한 데도 있지만, 지적 호기심이 부지런한 지젝이 이들 학계보다 항상 먼저 움직이기 때문이다.(조정진 기자)

07. 03. 10.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인 2007-03-09 2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의 지젝 책 중 반절 정도는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반절 정도나 이해했나 모르겠네요. 사실 저도 지젝을 '이해'하는데 큰 노력을 쏟아보지 못해서.. 그렇게 매력적인지 아직은 의문부호입니다. 물론 '지젝'만으로 하는 수업을 한학기 들은 적이 있었기는 했는데... 그것도 벌써 2년 전이네요. ^^;

로쟈 2007-03-10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철학자도 많습니다. 사유는 어떤 자력 같은 것이기 때문에 각자가 끌리는 쪽으로 가면 되는 것이죠...

jouissance 2007-03-10 0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만간 "로쟈는 왜 지젝에 매혹되었는가" 라는 페이퍼가 뜰 것이라 잔뜩 기대하고 있습니다^^

로쟈 2007-03-10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데리다의 경우도 그렇지만, 지젝의 모든 글이 저에겐 경탄을 불러일으킵니다. 그거면 충분한 이유가 아닐까요?^^

sommer 2007-03-10 0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샌 지젝과 초기(60년대의)의 하버마스와의 근친성-과감한 논리적 도약/비약-이 흥미롭게 보이던데요. 데리다주의자, 하버마스주의자들보다 지젝이 오히려 데리다적이고 하버마스적일 수 있다는 묘한 생각까지 듭니다.

로쟈 2007-03-10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류들보다 훨씬 더 철저하게 파고든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볼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주의자'들은 좀 게으르니까요...
 

지젝의 <까다로운 주체>(도서출판b, 2005)에서 '바디우, 발리바르, 랑시에르'란 절을 읽다가(이에 대한 정리는 시간이 나면 해둘 생각이다) 문득 호기심에 '자크 랑시에르'를 검색해보았다. 일부 번역문을 포함한 관련자료들이 몇 가지 된다. 그 중 하나를 옮겨놓는다(씨네21에 실렸다는 랑시에르의 인터뷰는 찾지 못했다. 어찌된 일인지 편집장의 말만 뜬다). 랑시에르의 철학 전반을 소개하는 것으로 2005년 봄 연세대학원신문에 실렸던 듯한데, 필자는 최원씨이다. 아래는 필자가 다시 교정을 본 것이라고 한다(작성일자는 05. 03. 28로 돼 있다). 어젠가 '자크 랑시에르 워밍업'을 했지만 워밍업의 마무리로 적합해 보이는 글이다.

'불화'의 철학자 랑시에르 

아마도 한국에서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이름이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알튀세르가 한창 국내에 소개되고 있던 19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 무렵이 아니었나 싶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도 크게 이상할 일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로부터 15년 가량의 긴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그는 국내에 변변한 책 한 권 번역된 적 없는 낯선 철학자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의 깊은 독자라면, 그가 알튀세르의 주도로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1960년대 초반에 진행되었던 <'자본'을 읽자> 세미나에 멤버로 참여한 적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간 국내에서 진행된 알튀세르에 관한 논의에서 그의 이름이 거의 자취를 감춰버린 이유는 68년 학생운동에 대한 대응 문제를 둘러싸고 그가 알튀세르와 갈등하다 결국 독자적인 길을 선택했었기 때문이다(74년에 자신의 에세이를 모아 낸 <알튀세르의 교훈>이라는 책자에서 그는 알튀세르의 철학을 대중투쟁을 마비시키는 "질서의 철학"이라고 혹평하고,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그 자체로 엘리트주의적인 이론에 불과하다고 힐난한다―이러한 평가가 과연 얼마나 정당한지는 이 자리에서 논하지 않겠다).

하지만 그가 단지 알튀세르주의에 대해서만 거리를 두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동시에 '차이의 철학'이라 불리는 일군의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사상들(료타르, 들뢰즈, 데리다 등)에 대해서도 소원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의 관점에서 이러한 사상들은 '변혁'보다는 '해석'의 문제에 집착함으로써 마르크스가 포이에르바하에 대해 쓴 테제 가운데 11번째 테제("이제까지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왔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을 변혁하는 것이다!")를 다시 취소하는 것에 불과했다.

따라서 많은 프랑스 철학자들이 이제껏 국내에 활발하게 소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랑시에르의 작업만이 소개되지 않고 있었던 것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즉, 그는 어떤 학파에도 소속되지 않은 철학자라는 것이 그것이다. 사실 이러한 그의 '비소속성'은 단지 철학 내 이러저러한 학파나 입장들에 관련해서만 드러나는 그의 특징도 아니다. 예컨대 그는 지속적으로 정치와 철학에 관해서 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철학자'는 아니다. 반대로 그는 정치철학 내의 어떤 경향이 되길 단호하게 거부하고, 정치철학이라는 학문분과 전체를 자신의 비판대상으로 삼는다.

공인된 학문분과 체계 내에서 좀처럼 포착되지 않는 랑시에르의 이러한 이론적 위치, 이것이야말로 공인된 정치 공간 그 자체에 대해 그가 취하고 있는 외부자적인 태도와 상당히 조응하는 것이다. 그는 이를테면 '공적 공간'(혹은 '공론장')의 경계선에 서서 그 공간 바깥에 여전히 우리가 잊고 있는 어떤 '외부'가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구성원들의 '합의'에 기초해 있기에, 그 안에서 주체들이 서로를 알아보게 되고, 서로 말을 교환할 수 있게 되는 '호혜성'의 감각적 공간이야말로 고유한 정치의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그 모든 '정치철학'적인 사고(이는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 철학으로부터 시작해서 근대의 다양한 사회계약론, 현대의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에 이르기까지 정치철학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전제다)에 대해 랑시에르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말할 권리'를 비롯한 다양한 권리들의 분배가 다소간 평등한 방식으로 행해지는 이러한 '공적 공간'을 성립시키기 위해 사회는 언제나 내부의 어떤 특정 부분이나 구성원들을 "몫이 없는 부분(une part des sans part)"으로 미리 배제하고 출발한다고 주장한다. 보이지 않는 존재, 들리지 않는 목소리의 구축이야말로 '호혜성'을 가장하는 공적 공간 내의 모든 '공정함'과 '정의'의 조건인 것이다.

정치철학에 대한 랑시에르의 이 같은 급진적인 비판은 특히 <불화>(1995)라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에서 발전된다(*짐작에 'Disagreement'가 그 영역본인 듯싶다. 언젠가 복사해놓은 책인데 바로 못 찾겠다). 그는 고대 그리스어인 폴리테이아(politeia)의 번역어가 '정치(politique)'일 뿐 아니라 '경찰(police)'이기도 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정치'라고 인식하는 '분배'("집단들의 결집이나 합의가 달성되는 절차들, 권력의 조직화, 장소와 역할의 분배, 그리고 이 분배를 법적으로 정당화하는 체계")가 사실은 정치가 아닌 경찰의 일임을 폭로한다. 단, 그는 푸코를 참조하여 경찰활동의 의미를 폭력행사에 의한 질서유지 활동에 국한시키지 않고, 구성원들 각자에게 정당한 '몫'을 찾아주기 위해 사회가 행하는 그 모든 활동으로 확장시킨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분배란 언제나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이미 인정받은 사람들(서로 '호혜성'이 형성된 사람들)이 다소간 평등한 방식으로 공동체로부터 자신의 몫을 찾아가는 일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들 간에 때때로 분배방식 등을 둘러싼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분배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가 누구인가(즉 누가 그 사회의 '부분'인가)를 둘러싼 논란은 원칙적으로 있을 수 없다. 만일 공동체에 어떤 기여도 한 바가 없으면서 자기 몫을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면, 이들이야말로 '도둑심보'를 가진 자들로 분배에서 철저히 배제되어야 한다. 결국 경찰활동의 목표는 이러한 배제의 실현이며, 정치철학은 이를 정당화하고 이론화한다.

이제 랑시에르는 고유한 의미에서의 정치를 이러한 경찰 논리에 대립시켜 새롭게 규정한다. 정치란 바로 공동체에 별반 기여한 것이 없기 때문에 자기 몫을 주장할 수 없는 자들이 뻔뻔스럽게도 '평등주의' 논리에 입각하여 자기 몫을 주장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정치는 본래 자기 근거나 기원(arkhê)이 없는, "추문"에 불과한 것이다.

<니코마쿠스 윤리학> 제 5권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의 문제에 관해 논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은 공동체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한 사람들이 더 많은 분배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지만, 그 기여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합의를 보지 못하기에 서로 다투게 된다(즉 '불화'하게 된다). 귀족(aristoï)은 덕(aretê)(이는 '뛰어남(excellence)'이라는 의미 뿐 아니라 귀한 가문의 출신이라는 뜻을 동시에 갖는다)이 그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부자(oligoï)는 재산(공동체 경제에 대한 기부금)이 그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전자는 귀족제(aristocracie)를 실시하자고 주장하고, 후자는 과두제(oligarchie)를 실시하자고 주장하게 된다. 하지만 결국 귀족은 보통 부유한 계급과 마찬가지로 부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양자 사이에는 진정한 쟁점이 생기지 않는다.

문제는 아테네의 데모스(demos, 자유인 신분의 고대 도시국가 빈민들)가 주장하는 기준 때문에 발생한다. 데모스는 당시의 귀족들이나 부자들과 달리 공동체에 별다른 기여를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자유'―발언의 자유―라는 '빈 껍데기 재산'만을 가져와 공동체를 '논쟁'과 '분열'로 몰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 전체를 다수자인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며, 민주제의 실시를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모스의 주장과 실천이야말로 랑시에르에게는 정치적 실천의 원형을 구성하는 것이다.

결국 그에게 있어 정치란 한 사회의 '부분'으로 인정받지 못한 '몫이 없는 자들'이 자신의 존재를 그 사회에 폭로하고 인정받아 공동체를 완전히 새로운 원리에 입각하여 재구성하도록 강제하는 '범법' 활동이며, 따라서 이는 몫이 있는 자들 사이에서나 행해질 수 있는 '대화(dialogue)'가 아니라, 자신을 대화상대로 전혀 인정치 않는 사회에 대해 자신의 존재를 '3인칭'으로 폭로하는 '독백(monologue)'의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랑시에르의 정치 개념은 후기 하이데거의 진리(aletheia, 베일을 걷어냄) 개념 및 그와 긴밀하게 연결된 포이에시스(poiesis, 이는 '제작'이라는 뜻을 갖지만 하이데거에게서는 특히 사물을 이름짓고 그것을 현전 안으로 불러내는 언어의 '시적(poétique)'인 기능으로 인식된다) 개념과 유사하게 미학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그것은 공적 공간 안에서 감각되지 못하고 있는 자들을 이름지어 불러내고 공공연하게 전시함으로써, 기존의 감각공간을 다시 분할하는 실천이다. 이 때문에, 랑시에르에게 있어 정치란 '사건' 이외의 것이 될 수 없다. 하나의 정치적 사건을 통해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것을 보이고 들리게 하자마자 그것은 공인된 감각공간의 일부가 되어버리고 만다. 마치 기이한 피카소의 그림이 이제는 커피 잔의 무늬로 사람들에 의해 편안하게 소비될 수 있듯이, 또 그렇게 소비되는 그 순간 그것은 더 이상 예술작품이 될 수 없듯이.

그렇다면 공인된 감각공간 내에 본래적으로 흡수될 수 없는 것은 없다는 말일까? 랑시에르에 따르면 그런 것은 없다. 오히려 정치의 이러한 사건적 성격을 잊게될 때 '전체주의'와 같은 최악의 결과가 생겨날 수 있다. 랑시에르는 데모스(demos)와 오클로스(ochlos)를 구별하고 후자를 정치의 주체로 사고하려는 일체의 시도들을 비판하는데, 전자가 비규정적인 다수자(하나의 비어있는 장소)를 의미한다면 후자는 자신의 통일(unification)에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다수군중을 의미한다. 언제나 통일이란 '합의'를 전제로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정치란 언제나 '불화'에 기초해야만 한다는 랑시에르의 테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최원l Loyola University Chicago, 철학 박사과정)  

07. 02. 22.

On the Shores of Politics (Radical Thinkers) CoverHatred of Democracy Cover

P.S. 그런 관점에서 더 읽어볼 만한 책은 <정치의 해안에서(On the Shores of Politics)>나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Hatred of Democracy)> 같다(정치의 계절에 소개될 만하지 않을까?). 거듭 말하지만, 그의 미덕은 너무도 얇은 책들을 쓴다는 것(지젝도 바디우도 주저들은 두껍다). 이런 점에서도 그의 '비소속성'이 드러나는 것인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mmer 2007-02-23 15: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튀세르-이후(Post-althusser)'의 정치철학적 경향(발리바르, 랑시에르, 바디우, 아감벤, 라클라우, 네그리 등)은 '군중'을 새로운 정치적 주체로 정립하려는 시도에서 맥을 같이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스피노자의 언급처럼 체제에 위협을 가하는 동시에 스스로를 위협하는, 양가적인 '다수'의 위상을 어디에 둘 것인가의 문제 말이지요. 더 흥미로운 건 이런 경향을 일별하는 지젝은 '절대적'으로 그들 모두를 참조하면서 비판의 외양을 취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지젝은 칸트의 뒤를 이어 일련의 '비판서'들을 이미 써 온 건지도 모르겠네요...^^

로쟈 2007-02-24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젝만한 '강사'가 따로 없지요. 다 읽어서 정리해주고 비판해주고 아울러 계발적인 생각들도 툭툭 던져주고.^^
 

자주 드나드는 사이트들을 둘러보다가 똑같은 서평이 올라와 있어서(그러니까 알라딘 은어로 '중복서평'이다) 잠시 고개를 갸웃거렸다. 지난번에 슬라보예 지젝에 관한 기사를 쓴 오마이 뉴스의 '기자'가 한겨레의 '필진'으로도 참여하는지 같은 서평기사를 중복으로 올려놓은 것. 숀 호머의 <라캉 읽기>(은행나무, 2006)를 다룬 이 서평기사는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93045)에 지난 18일자로, 그리고 한겨레(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91868.html)에는 20일자로 기사등록이 돼 있다(메인화면에 띄워놓았는데 '중복'이란 얘기는 없다). 훌륭한 서평이라면 굳이 '중복'을 문제삼을 필요가 없겠지만, 부정확한 내용에다 오타까지 교정하지 않은 '부실한' 서평이다(오타는 따로 표시해두었다). 개인 블로그에 올려져 있는 거라면 참견할 이유가 없지만, 두 언론매체에 자주 발걸음을 하는지라 불평을 좀 늘어놓는다. 자사 사이트에 올려지는 기사라면 '관리' 좀 하시라고.  

오마이뉴스(07. 02. 18) 현대의 위대한 정신분석가-사상가 '라캉'의 대중적 읽기

라캉이란 이름을 글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된 것은 약 5년 전이었다. 그 영향력에 비해서 내가 알게 된 것은 너무 늦은 것 같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에 대한 개인적인 편견 때문에 5년 전 공들여 읽은 라캉에 대한 지식을 그 맥을 잇지 못하고 끊어 두고 있었다. 그러다 역시 편견 가득한 시선으로 알게 된 철학자가 지젝이며, 지젝의 최대 관심사가 라캉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쯤 되어서야 라캉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더 이해의 폭을 넓혀 놓으면 책읽기나 글쓰기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필자의 공부 생각에 반대할 이유는 없다.)

사실, 라캉은 프로이트나 니체, 마르크스만큼이나 현대의 중요한 이론가 사상가다. 시기적으로는 다른 세 명에 비해서 이후의 인물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인물이지만 현대의 인문학 일반, 문화이론, 영화비평 등지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물론, 그의 사상의 본령인 정신분석학 분야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최근의 문화이론과 영화이론 등지에서는 라캉이 인용되지 않는 경우를 못 찾을 정도라고 한다. 최근 국내의 C영화지에서 시행한 평론상 수상에서 "라캉을 인용하지 않고는 영화비평을 할 수 없는가?"라고 말했을 정도이며, 세계적인 S영화잡지에서는 라캉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정신분석학적 영화비평가 그룹이 있을 정도다.

라캉은 생전에 딱 한 권의 책만을 남겼고, 그의 이론의 대부분은 생애 내내 동료 연구자, 제자들과 진행한 세미나기록, 임상연구기록에 남아있다. '에크리'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데, 아직 영문으로도 완역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필자에게 작년에 영어 완역본이 출간됐다고 전했지만 교정되지 않았다. <라캉 읽기>의 내용에 근거해서 썼을 뿐이라고). 워낙에 방대하고 난해한 그의 이론과 글쓰기의 결과이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연구자와 저자들이 라캉에 관한 개설서나 읽기 형식의 책을 대단히 많이 내놓았다. 숀 호머의 <라캉읽기>도 그중의 하나라고 할 수도 있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라캉읽기를 읽기 위한 라캉읽기'라는 점이다. 즉, 아직 초보자들에게 라캉의 원전을 읽는다는 것은 한국어 번역본이 드물기도 하지만 워낙에 어려운 작업이다. 그래서 여타의 라캉 개론이나 라캉읽기를 읽는 것이 초보자에게는 적당하고, 그전에 '에피타이저'로 읽을 만한 책이 숀 호머의 <라캉읽기>다(*'라캉읽기를 읽기 위한 라캉읽기'가 무슨 말인가?).

그러나 숀 호머의 <라캉읽기>를 얇고 작은 책이라서 얕봐서는 안 된다. 이 책에는 라캉 이론의 구조가 잘 설명되어 있고, 주요 용어를 중심으로 그의 이론의 에센스가 잘 저며져 있다. 더구나 번역자 김서영이 일반번역자가 아닌 국내에서는 제법 알려진 라캉 전공자라서 번역이 굉장히 충실하고 좋다는 점도 이 책의 미덕이다(*이전에 소개한 대로, 숀 호머의 책은 지젝도 추천하고 있는 입문서이다).

숀 호머의 <라캉기>는 꼭 라캉의 이론을 교조적으로 다룬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라캉을 가운데 둔 의미망의 그물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여러 인물들, 예를 들면, 지젝, 크리에스테바, 아리가리, 버틀러 등의 이론도 작은 분량이지만 소개되어 있다(*각각 '크리스테바'와 '이리가레' 혹은 '이리가라이'의 오타이다).

그 외 특이할 만한 점은 라캉이 직접 취급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이론의 신봉자들이 취급하는 분야인 문화이론과 영화비평도 상당한 부분 소개되어 있어서 책읽기의 즐거움 배가된다.

한 가지 흠이자 천만다행 한 점은 그의 생애 후기에 소개되는 수학이론을 사용한 여러 설명들이 이 책에는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난삽한 부분이 생략된 이유는 숀 호머의 해설에 따르면 이 책이 라캉읽기의 맛보기이고, 실용목적상 문화이론이나 영화비평을 하는 사람들에게 읽힐 목적으로 쓰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일 더 진보된 라캉읽기를 원한다면 책 뒤에 소개된 목록을 참조하기 바란다.

라캉이론은 사실 그 의미가 고정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의 생애에 걸쳐 진화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올바를 것이다. 그리고 워낙 난해하고 요약을 거부하는 그의 이론의 특성, 원래 정신분석학의 임상소견에서 출발했다는 특성 탓에, 재차 그의 이론을 옮겨적는 사람은 굉장히 임의적(?)으로 요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라캉의 이론은 보통 상상계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한다. 어린이가 거울을 보면서 파편화된 것으로서의 자아의 이미지를 확보한다. 그러나 그 자아라는 것은 굉장히 파편화되고 비조직화된 것이다. 우리가 통상, 자아를 통일된 실체로 알고 있는 데에 반하여 라캉의 자아란 분열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 자아는 유아기 내내 상상계라고 부르는 동화적인 세계 속을 산다.

그러나 언어를 습득하고, 사회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상징계라고 불리는 단계에 진입을 한다. 거칠게 말하면, '언어=상징계'라고 까지 할 수 있는데, 구조주의 사유의 영향을 받은 라캉에게 언어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아다시피 언어는 구조화되어 있는데, 라캉에 따르면, 무의식도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은 그의 이론과 프로이트의 이론과의 차이점이기도 하다.

또 등장하는 것이 실재계와 대상a의 개념이다. 실재계란 상징계 바깥에서 심연처럼 상징계를 지탱하기도 하며, 또는 실재계의 잔여라고 부를 수도 있는 개념이다(*'실재계'가 어떻게 '실재계의 잔여'가 될 수 있나?). 이렇게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가 라캉이론의 기본개념이다.

그리고 추가되는 것이 팔루스와 성차의 개념인데, 이 두 가지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팔루스는 프로이트 이론의 '남근'과는 의미상 차이를 가진다. 아이는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미워한다. 그래서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의 팔루스가 되고자 하지만, 아버지에 의한 거세에 대한 공포 때문에 그럴 수가 없고 아이는 성인이 되고 다른 배우자를 선택한다는 것이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거세 공포증에 대한 이론이다. 그런데 라캉에 의하면, 이 팔루스(또는 남근)은 의미가 발전한다(*팔루스와 남근은 '의미상 차이'를 갖는데, 어떻게 '팔루스(또는 남근)'이 되는가?).

아이는 어머니의 팔루스가 되고자 하지만 어머니에게는 아버지가 존재하며, 팔루스는 의미가 확대되어 해석된다. 팔루스는 일종의 욕망의 대상이다. 팔루스는 단지, 남근으로서만 이해하면 곤란하고, 욕망 같은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에서는 '베일'이라고 불리는 것 뒤에 팔루스가 있다고 한다. 거기에 욕망의 본질이 숨어 있다. 아이가 어머니의 팔루스가 되고자 하지만 불가능한 것처럼, 사회에서 욕망의 실현은 무한정 지연되는 것이다. 이 부분을 지젝같은 사람은 마르크스주의와 연관시켜 자본주의적 모순을 설명하는 데에도 응용한다.

팔루스와 성차에 관한 이론 때문에 라캉주의자들은 페미니스트들의 공격을 당하기도 하는데, 숀 호머에 의하면 그것은 오해에서 비롯되었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 라캉의 이론은 이외에도 아주 다양한 내용들이 많고, 특히 영화비평이나 문화이론으로 응용을 하면 정말 재미있는 글들이 많다. 관심 있는 분들의 독서를 권한다.(*관심있는 분들의 독서를 권장하는 취지는 환영할 만한 것이나 그러한 권장은 '기사'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킨 이후에나 빛을 발할 수 있는게 아닐까? 이 서평의 제목에서 강조되어야 할 대목은 '라캉'이 아니라 '대중적' 읽기였다).

07. 02. 2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깽돌이 2007-02-21 2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아리까리'하네요.'라캉일기'도 있다면 재밌겠네요.저 시리즈에서 일본인이 쓴 '라캉의 정신분석' 나온 것 같던데 짬날때 서평 부탁합니다.

로쟈 2007-02-21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리가리'는 정말 고의적(?)이지 않나 싶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라캉의 정신분석>이 나온 건 봤지만 구매할 생각은 없습니다. 라캉의 용어들이 일어로는 어떻게 번역되는가를 얼마간 엿볼 수 있을 거라는 외에 특별한 관심을 끄는 책은 아니구요. 저로선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를 읽어보는 게 더 시급하며 더 유익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sommer 2007-02-22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캉과 정신분석' 중에서 '오브제 a와 황금수(비)'라는 장을 잠깐 읽어 봤는데, 흥미로운 해석이더군요. 다만 책의 목차를 훑어보니, 라캉의 초기의 '로마강연'-무의식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즉, 상상계에서 상징계로의 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지젝 같은 이가 시도하고 있는 전략들에까지 미치는 길은 험난하지 않을지 생각이 들더군요...

로쟈 2007-02-22 0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uture님의 서평을 기다리는 게 낫겠네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