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418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톨스토이의 <인생에 대하여>(바다출판사)에 대해 적었다. 통상 <인생론>으로 번역돼왔는데('삶에 관하여'란 부제를 붙인 번역본도 있다), 내용상으로는 '인간 생명론'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참회록>과 함께 후기 톨스토이의 문제의식을 엿보게 해주는 대표적인 저작이다(<종교론>과 <교육론> 등도 다시 나오면 좋겠다)...
주간경향(21. 03. 15) 인간 생명의 모순에서 벗어나는 길
톨스토이는 일찌감치 한국에 소개돼 가장 널리 읽힌 문호에 속하지만, 특이하게도 작가로서보다는 사상가나 설교자로서 수용됐다. 소설이라 하더라도 <전쟁과 평화>나 <안나 카레니나> 같은 전성기 대표작 대신에 설교적인 말년작 <부활>이 애독됐다. <안나 카레니나>를 집필한 뒤 정신적 위기를 겪으면서 모든 예술창작에 대한 과격한 부정으로 나아가는 톨스토이를 보통 ‘후기 톨스토이’라고 부르는데, 한국에서의 톨스토이는 후기 톨스토이에 치우친 면이 있다. <인생에 대하여>도 바로 후기 톨스토이를 대표하는 저작 가운데 하나다.
<인생에 대하여>는 통상 <참회록>과 같이 묶여 <인생론>이라고 번역돼왔다. 인생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살 것인가란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무난하지만, 톨스토이는 훨씬 더 근본적인 문제부터 성찰의 대상으로 삼는다. 때문에 그의 인생론은 내용상 인간생명론에 더 적합하다. 생물학적 이해에 따르면 모든 생명체는 세포들로 구성되며 인간도 예외가 아니다. 그렇지만 세포를 관찰함으로써 생명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물레방아를 알기 위해 강을 이해해야 한다고 보는 것과 같다. 좋은 가루를 빻기 위한 것이라는 물레방아의 목적을 망각한다면 물레방아에 대한 탐구는 사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톨스토이는 인간 생명의 이해를 위해서는 그 목적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생의 목적이란 무엇인가. 행복이다. 모든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며 성취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다음이 문제다. 인생의 목적이 행복이라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더라도 행복은 불가능하다. 개체적 생명은 숙명적 죽음으로 인해 끝내 행복을 성취할 수 없다. “인간은 그 자신만을 위한 행복과 생명을 희구하지만 한 개체로서 그는 결코 어떤 행복도 어떤 생명도 소유할 수 없는 존재임을 깨닫는다.” 톨스토이는 이것을 ‘인간 생명의 근원적인 모순’이라고 부른다.
인생의 모순, 혹은 인간 생명의 모순에서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한가. 톨스토이는 개체적 자기보존과 종족보존만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적 삶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본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다르게 이성을 갖고 있는 존재이며 한번 깨어난 이성은 동물적 삶에서는 충족될 수 없는 요구를 품게 한다. 이성적 의식의 탄생과 함께 동물적 생존은 사이비 인생으로 전락한다. 톨스토이에 따르면 동물적 생존, 즉 육체적 개체의 생존은 인생이라는 말에 값하지 못한다. 인간의 진실한 생명은 동물적 개체의 행복을 부정하는 순간 비로소 시작된다.
인간에게 이성은 하나의 법칙이고, 인간의 생명은 그 법칙에 따라 완성된다. 그리고 그 법칙이란 동물적 행복을 포기하고 이성의 요구에 따르는 것이다. 동물은 개체적 행복에 반하는 활동이 생명의 거부가 되지만, 인간은 정반대로 개체의 행복만을 달성하려고 할 때 생명을 거부하는 것이 된다. 인간에게 동물적 개체성은 필멸적이며 진정한 생명의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톨스토이의 비유에 따르면 동물적 개체성은 이성적 존재에게 주어진 일종의 삽과 같다. 다시 갈아쓸 수 있는 도구이지 그 자체가 목적일 수 없다. 인간의 생명은 이성의 법칙에 복종하는 동물적 개체의 활동이다. 그리고 그 이성의 유일한 활동이 바로 사랑이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러 톨스토이의 목소리는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겹쳐진다. “가서 행하라,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 그리하면 생명을 얻으리라.”
P.S. 리뷰에서 <인생론>과 같이 언급한 <참회록>이 새 번역본(<고백>)으로 나왔다. <고백록>까지 포함하여 모두 같은 책의 번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