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은 러시아 책이다. 러시아 인문학의 거장 레프 구밀료프의 <상상의 왕국을 찾아서>(새물결, 2016)가 출간된다. 좀 과장하자면 상상도 못한 일이다. 중앙아시아사의 최고 권위자로 알고 있는데, 이 분야의 책이 국내에 소개될 일이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이다(찾아보니 영어판은 2009년에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에서 나왔다). 부제는 '십자군과 칭기스칸, 유럽-중앙아시아와 이집트까지 지구사와 극미시사의 결합'인데, 홍보 문구 같다.  

 

 

구밀료프는 학문적 업적 이전에 출생 때문에라도 주목을 받을 법한 인물이다. 20세기 전반기의 걸출한 시인인 니콜라이 구밀료프와 안나 아흐마토바가 그의 부모이기 때문이다. 아래가 가족사진이다. 두 시인 부모 사이의 꼬마가 물론 레프 구밀료프다.

 

 

아버지 니콜라이 구밀료프는 1919년에 반혁명 혐의로 처형되었고, 이 때문에 아들은 1938-1956년까지 중앙아시아에서 수용소 생활을 해야 했다. 아들의 구명을 위해서 아흐마토바는 스탈린을 찬양하는 시도 여러 편 써야했다. 아래가 구밀료프와 아흐마토바의 사진이다. 1960년대 초의 모습.

 

 

그런데 한편으론 그런 수용소 생활이 중앙아시아사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어 나중에는 이 지역 역사 연구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문명론으로 '범아시아주의'까지 제창하게 된다. 이런 정도가 내가 아는 상식이고, 실제로 그의 책을 읽어보진 못했다. 언젠가 러시아 TV 인문학자 열전에서 미하일 바흐친, 유리 로트만 등과 함께 소개되는 걸 기억할 따름이다. 작가 소개를 보니 2012년에는 탄생 100주년을 맞아 기념 공식우표가 발행되었고, 카자흐스탄에는 그를 기념해 '구밀료프 유라시아 민족대학'이 설립되었다 한다. 아래가 그 우표다.

 

 

러시아어로 된 구밀료프를 찾아서 읽을 일은 없었을 테지만, 번역돼 나온다면 또 사정이 달라진다. 중앙아시아사를 다룬 국내서도 요즘은 드물지 않기 때문에 비교해서 읽어봐도 좋겠다.

 

 

아, 책은 러시아어본이 아니라 영어본 번역으로 보인다...

 

16. 07.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엑스플렉스(X-Plex)의 제안에 따라 8-9월에 진행되는 '크리에티브 리딩' 강좌에 참여하게 되었다(https://www.xplex.org:49408/products/now/creative_reading/). 내가 맡은 건 '러시아문학 읽기'로 8월 31일과 9월 7일, 두 차례 진행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1-2강. 미국문학 읽기- 민승기 (8월 3일, 10일)

 

3-4강. 영국문학 읽기- 최은주 (8월 17일, 24일)

 

5-6강. 러시아문학 읽기- 이현우 (8월 31일, 9월 7일)

 

러시아문학의 간판급 작가인 고골과 체호프의 대표 단편을 자세히 읽어보는 강의. 작품의 주제와 구성 등에 대해서 꼼꼼하게 살펴보고 그 의의를 음미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1) 고골, <외투>(문학동네)

 

 

2) 체호프,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문학동네)

 

 

7-8강. 한국문학 읽기- 윤이형 (9월 21일, 28일)

 

16. 07.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부터 이진아도서관에서 16주간 진행해온 '20세기 러시아문학' 강의가 마지막 한 주를 남겨놓고 있는데(<롤리타>가 마지막 작품이다), 마침 마지막 작가인 나보코프의 작품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예전에 박영문고판으로 나온 적이 있다). <어둠 속의 웃음소리>(문학동네, 2016). 당초엔 1932년에 <카메라 옵스큐라>라는 제목의 러시아 소설로 발표되었던 작품이다. <어둠 속의 웃음소리>는 나보코프가 1938년에 영어판으로 펴내면서 붙인 제목이다.

 

 

간단한 소개에 따르면, "교양 있는 중년 남성이 어린 소녀에게 맹목적으로 빠져들었다가 몰락하게 되는 과정이 한 편의 영화처럼 진행되는 이 소설은, 필명이 아닌 자신의 이름으로 출간된 영어 소설이자 <롤리타>의 원형이다." 때문에 다음 주 종강 강의에서 두 작품의 관계에 대한 간단히 언급하려고 한다.

 

 

현재 번역본으로 읽을 수 있는 나보코프의 작품은 미완성작 <오리지널 오브 로라>를 포함해서 다섯 편이다. 순서대로는 <어둠 속의 웃음소리>,<절망>, <사형장으로의 초대>가 러시아어로 먼저 쓰이고 발표된 작품이고, <롤리타>는 영어로 발표했다가 나중에 러시아어로도 옮겨놓은 작품이다. 나보코프의 작품들에 대해서는 한 차례 강의를 진행한 적이 있지만(<절망>과 <롤리타>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어둠 속의 웃음소리>가 다시 번역돼 나온 김에 이번 가을이나 겨울에 한차례 더 강의 일정을 짜보려고 한다. 기대는 몇 작품 더 번역돼 나왔으면 싶지만...

 

16. 06.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시아 관련서를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 이대식의 <줌 인 러시아>(삼성경제연구소, 2016)다. 러시아 역사, 문화, 경제에 대한 종합적인 그림을 그려주는 가이드북이다.

 

 

여행서를 제외한 러시아 가이드북으로 내가 추천하곤 했던 책은(재미있게 읽은 책이기도 하다) 예일 리치먼드의 <우리가 몰랐던 러시아, 러시아인>(일조각, 2004)과 조재익 기자의 <굿모닝 러시아>(지호, 2004)였다. <굿모닝 러시아>는 절판되어 아쉬웠는데, 다행히 <줌 인 러시아>를 통해서 그런 아쉬움을 지울 수 있게 되었다. 훨씬 강력한 가이드북이 등장했으므로.

 

저자는 러시아 유학시절 여행 안내와 통역으로 학비를 충당했는데, 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하는 한국 대기업과 정부 관계자들의 전문 가이드로 유명세를 떨치기도 했다(이건희 회장의 가이드를 맡기도 했다. 사실 대학 동기이기도 해서 나 또한 2004년 모스크바 체류시 페테르부르크로 며칠 여행을 갔을 때 그의 도움으로 여름궁전과 도스토예프스키 박물관 등을 둘러볼 수 있었다).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줌 인 러시아' 동영상 지식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는데, 러시아에 대한 그의 풍부한 식견이 이 한권의 책에 집약됐으니 '가성비'가 아주 높은 책이다. 러시아 여행이나 러시아에서의 사업을 기획하고 있는 독자라면 필독해볼 만하다.

 

 

참고로 러시아 여행을 위한 필독서로는 이진숙의 <러시아 미술사>(민음인, 2007)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 가이드북으로는 <이지 러시아>나 <론리 플래닛 러시아>가 가장 대중적이다. 올겨울이나 내년 여름쯤 러시아 문학기행을 기획하고 있는데, 나도 서서히 준비를 해야겠다...

 

16. 05.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상 가까이에 체호프가 크니페르와 주고받은 서신집이 눈에 띄어서 잠깐 적는다. 내가 갖고 있는 건 영어판 선집이다. <Dear Writer... Dear Actress...>란 제목인데, 요즘식으로 번역하면 <친애하는 작가님... 친애하는 배우님> 정도 될까? 두 사람은 연애시절에, 그리고 결혼 이후에도 많은 양의 편지를 주고받아서 러시아어판으로는 500쪽이 넘는다. 영어판은 선집이라 290쪽 분량.

 

 

영어판으로 체호프의 편지들은 <서신 속의 삶>(펭귄)이란 선집으로도 나와 있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들은 또 다른 판본으로 나와 있고. 찾아 보니 <서신 속의 삶>에 대해서는 닉 혼비가 독후감을 쓴 게 있었다. <닉 혼비 런던스타일 책읽기>(청어람미디어, 2009)에 수록돼 있는데, 이 책도 어느 사이엔가 절판된 모양이다. 2010년 초에 적은 한 페이퍼에 내가 이런 언급을 남겼다.

 

"어젯밤 문득 닉 혼비의 <런던스타일 책읽기>(청어람미디어, 2009)를 빼들었다가 우연히 체호프의 편지들에 관한 수다를 읽고서 '런던스타일로 체호프 읽기'란 페이퍼를 구상했지만 실행하지는 못했다. 쾌락원칙뿐만 아니라 현실원칙도 고려해야 하는 게 '현실'이므로 몇 가지 핑계를 대 욕구의 좌절을 정당화하는 수밖에 없었다. 하면서 든 생각은, 그런 발상의 '쓸모없는 책얘기'는 정말 나밖에 할 사람이 없겠다는 것과(쓸모없으니까!) 하지만 그런 얘기들을 늘어놓기 위해선 나이도 그만 먹고 휴가를 가질 필요가 있겠다는 것이었다. 체호프에게 얄타라는 휴양지가 필요했듯이." 

 

'런던스타일로 체호프 읽기'를 구상했다지만 지금은 생각나는 게 아무것도 없다. 닉 혼비의 책을 다시 들춰봐야 떠올릴 수 있을 듯. 닉 혼비의 책은 한때 꽤 인기가 있었던 걸로 기억되는데, 한풀 껶인 것인지 근래에 나온 책들에 대해선 별로 반응이 없는 듯싶다 그래도 그의 잡식성 독서록 정도는 다시 나왔으면 한다(한때는 '런던스타일'이란 말을 유행어로 만들지 않았나?). 영어판도 2015년에 다시 나왔군.

 

 

생각해보면 체호프의 편지들만 우리에게 소개되지 않은 건 아니다. 변변한 전기도 한권 없다. 러시아어로, 영어로 나와 있는 전기가 드물지 않은데(대학원 때 내가 읽은 전기들은 절판된 걸로 보아 영어권에서도 많이 읽히지는 않는 듯하지만), 좀 아쉬운 일이다. 소개될 기회가 정녕 없는 것일까.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의 해설에도 적었지만 체호프의 작품을 읽는데 그의 전기가 필수적인 참고가 되는 건 아니다. 다만 그를 사랑하는, 애정하는 독자들이라면 '체호프의 모든 것'이 궁금하고 의미가 있는 것이고, 아직 변변한 서간집이나 전기조차 읽을 수 없는 현실은 분개할 만하다. 그렇지 않은가요, 작가님? 아니, 남의 편지들까지도 왜 꼭 읽으셔야 한답니까, 독자님?.. 

 

16. 05. 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