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때문에 구입한 책은 야스토미 아유미의 <누가 어린왕자를 죽였는가>(민들레)다. 저자는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교수이고 <단단한 삶>과 <위험한 논어> 등이 국내에 소개돼 있다. <어린왕자>는 좀 뜬금없는 경우. 그래도 뭔가 진지하게 분석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덕분에 처음으로 생텍쥐페리와 <어린왕자>에 대해 강의에서 다뤄볼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생각으론 세 작품 정도를 골라서 앙드레 말로나 로맹 가리 같은 작가들과 같이 묶어서 읽을 수 있겠다 싶다. 아마도 올겨울이나 내년 봄쯤에 일정을 잡을 수 있겠다. 아무튼 책의 요지는 이렇다고 한다.

˝저자는 <어린왕자>에서 사랑의 가면을 쓴 폭력의 메커니즘을 찾아낸다. 그리고 이를 ‘모럴 해러스먼트moral harassment’라는 개념으로 소개한다. 모럴 해러스먼트란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나는 보이지 않는 폭력으로 정신적, 정서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괴롭힘을 말한다. 어린왕자는 장미로부터 이러한 학대를 당했고 결국 죽음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렇게 볼 수도 있는지는 검토가 필요하고 일단은 보류다. <어린왕자>의 번역본을 포함해 관련서 멏 권을 구입했고 <생택쥐페리의 어린왕자 백과사전>(평단)까지 구비했다. 적당한 때에 누가 어린왕자를 죽였는지 나도 따져보도록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로지수라는 게 있다면 요즘은 나쁨과 보통만 있는 것 같다. 미세먼지와 연동돼 있을 리 없지만(알레르기는 무관하지 않겠다) 여하튼 안팎으로 상태가 저조하다. 문제는 여러 가지 의욕 감퇴로 나타나는데 책을 구입하는 페이스는 계속 유지되고 있지만(알라딘의 구매내역상으로 그렇다) 강의 외 독서는 리뷰를 쓰는 일도 벅찰 정도로 줄어들었다. 독서력의 일부는 독서체력이라는 걸 또 확인한다(물론 전부는 아니다. 백혈병과 투병하면서도 독서는 이루어지니까).

거창하지만 신에 대한 책도 밀렸다. 두꺼운 책을 위해서 얇은 책을 구입했는데 아마도 신에 관한 가장 앏은 책일 성싶은 게 키스 워드의 <신>(비아)이다. ‘우주와 인류의 궁극적 의미‘가 부제. 문고본 판형으로 100쪽이 겨우 넘는다. 저자는 영국의 신학자이자 성공회 사제이며 옥스퍼드대학의 명예교수로 재직했다.

˝신에 관한 질문은, 인간에 대한 질문, 그리고 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불가분하게 엮여 있음을 오늘날 신 논쟁들은 보여준다. 지은이 키스 워드는 모든 이가 납득할 수 있는 시작점을 다시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찬찬히 논증을 해나감으로써 신에 관해 잘못된 이해를 불러일으키는 생각을 조정하고 상당한 발전을 이룬 현대 과학과 기존의 신에 대한 생각들이 어떻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키스 워드의 책이 얇은 책이라면 김용규의 <신>(IVP)은 두꺼운 책이다. 932쪽이니 적어도 국내서로는 최대 분량이지 않을까 싶다. 앞서 나왔던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휴머니스트)의 개정판으로 60쪽가량 증면되었다. 그리고 부제는 ‘인문학으로 읽는 하나님과 서양문명 이야기‘로 바뀌었다.

˝서양문명의 심층에 자리한 기독교의 신에 대한 방대하고도 치밀한 지적 탐사를 통해 신학과 철학과 과학을 조화시킬 뿐 아니라, 문화·역사·미술·음악을 넘나들며 인문학적으로 성서와 기독교를 이해하는 전범을 제시하고, 기독교적 사유의 본질을 규명하는 한 편의 대서사시. 신의 정체와 서양문명의 핵심을 밝히는 이 기획은 현실과 역사에 대한 피상적 이해에서 나온 우리 시대의 문제들을 풀어 나갈 실천적 지혜, 곧 인간의 참된 본성을 숙고하고 미래를 모색할 든든한 디딤돌을 제공할 것이다.˝

신에 대한 나의 관심은 불경하게도 신 자체에 있지 않다. 나의 관심 주제는 근대적 개인과 자아의 탄생에 신 관념이 미친 영향이다. 곧 ‘자아의 원천들‘ 가운데 하나로 주목하는 것이다. 가설적인 견해는 강의에서 자주 얘기하는데 좀더 체계적인 내용으로 구성하기 위해서(책도 쓰려고 한다면) 신학과 기독교 문화사도 검토를 해봐야 한다. 범위를 한정할 수밖에 없는데 그래도 이런 책들이 유익한 길잡이가 되어 준다. 문제는 체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강의>(문예출판사)는 제목이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다. 프랑스의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강의. 덧붙일 것도 뺄 것도 없다. 원제 ‘오늘날의 문제들에 답하는 인류학‘이 번역본의 부제가 되었다.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근본적 문제에 대해 인류학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1986년 일본에서 현대 인류학의 거장 레비-스트로스가 했던 세 차례의 강연을 담은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강의>는 이 간단하지만 거대한 질문 앞에 제출한 답변이다.˝

레비스트로스의 인터집도 나와 있고 그게 입문서로 적당하다고 생각하지만 이 강의록 역시 입문서 역할을 해줄 수 있겠다. 무엇을 위한 입문인가? 아무래도 그의 주저들에 대한 입문서일 수밖에 없는데, 그런 면에서는 불만이 없지 않다. 레비스트로스의 저작이 국내에 많이 소개된 편임에도 몇 개의 이가 빠져 있기 때문.

간추리면 세 종이다. 먼저 박사학위논문이면서 구조인류학을 시연해보인 <친족의 기본구조>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그리고 핵심논문들을 묶은 <구조인류학>(전2권)이 아직도 나오지 않았다. 과거 1권만이 종로서적에서 나왔다가 오래 전에 절판된 상태다. 그리고 전4권으로 이루어진 대저 <신화학>의 절반이 아직 출간되지 않았다(1,2권만 나온 상태다). 예고는 되어 있지만 기약은 아직 없다.

이런 책들이 마저 소개되어야 한국어 레비스트로스도 버젓한 규모를 갖게 될 터이다. 그런 날이 조만간 올 것 같지는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격적인 봄학기를 앞두고 망중한 같은 (강의)휴일이었다. 그렇더라도 막상 내주의 강의자료들을 만들려고 하니 이삼일의 여유도 짧게 느껴진다. 해야 할 일의 최소한이건만. 무겁거나 복잡한 책(‘복닥한 책‘이라고 타이핑했다)을 잠시 제쳐놓고 손이 닿는 대로 집은 책이 <나는 나를 좋아할 수 있을까>(스윙밴드)다.

중앙일보 이영희 기자의 에세이집. 이름이 낯익어서 확인해보니 연락처에 이름이 있고 안면은 없지만 몇번 통화한 적이 있다. 문화부에서 출판담당 기자였을 때였나 보다. 책의 서두에서 출판담당 기자의 하루 얘기가 나오니 친숙하게 잘 읽힌다. 지난 2015년 알라딘 올해의 책으로도 선정된 <어쩌다 어른>이 저자의 첫 책이었다는 걸 프로필을 보고서야 알았다. 어쩌다 지나친 것인지.

‘나는 나와 잘 지내고 싶다‘는 첫 장의 제목이다. 베스트셀러 저자는 이렇게 글을 쓰는구나라고 한 수 배운다. 그렇게 몇장 넘기다가 적는 페이퍼다. 뒷북으로 알게 된 저자이니 널리 알린다는 건 말이 안 되고, 편안한 금요일 저녁시간에 어울리는 책이라는 생각에 말을 꺼냈을 뿐이다. 추천사를 쓴 MBC 김민식 PD는 ˝자고로 사람을 웃기는 데 자학개그만한 게 없다˝고 했다. 아마 이 책의 갈래가 (자학)개그집인 모양이다.

한데 저자의 일상을 자발적 생중계로 들여다보게 하는 터라 잠시 머뭇거리게 된다. 이런 게 소설과 에세이의 차이로군. 지금 저자가 <내 인생의 결산 보고서>를 읽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평강의에서 김희경의 <이상한 정상가족>(동아시아)을 다루었다. 한국사회 가족주의(저자는 ‘정상가족주의 이데올로기‘라고 부른다)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신랄하게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다양한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고 있는 게 강점인데 그와 더불어 몇권의 책에 대해 관심을 갖게끔 해준다.

두 권만 꼽자면 김덕영의 <환원근대>(길)와 장경섭의 <가족 생애 정치경제>(창비)다. 저자가 사회학자라는 점, 가족주의의 문제를 한국의 근대화과정과 연관지어 살펴보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환원근대>는 소장하고 있기에 책장을 좀 둘러보고 찾으면 되고 <가족 생애 정치경제>는 따로 구입해야 한다.

책을 구하는 건 밥먹듯이 하는 일이라 바로 주문하면 되는데 내일 일본문학기행을 떠나는지라 장바구니에만 넣어두었다. 내주에야 구입해서 읽어볼 수 있을 듯. 이 두 권이 한국의 근대와 가족주의 관련으로 저자가 참고하고 있는 책의 전부다(약간의 논문이 추가될 따름). 그래서 드는 생각이 새삼스럽지 않은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책이 너무 없구나라는 것.

분명 너무도 많은 책들이 나와 있고 또 나오고 있다. 하지만 주제를 좁혀서 뭔가 읽으려고 하면 막상 손에 잡히는 책이 드물다. 풍요 속의 빈곤? 우리 독서 현실의 씁쓸한 역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