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부영 선생님의 분석심리학 3부 시리즈를 다 구입해서 읽는 중이다. 폭넓은 저자의 분석심리학- 융이론에 끌렸다. 보통 심리학이나 진화생물학에서 남와 여를 구분해서 뭐가 어떻고 저렇구 하는 이분법적 조사에 온전히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일리가 있다고 받아들이는 편이다. 


남녀간에 이유없이 좋고 싫고 사랑하고 미워지는 것은 서로의 아니마(아니무스)가 작동하는 것이다. 나의 아니무스도 시간과 공간과 때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는 것 같다. '왜 그때 하필 머저리같은 남자에게 끌렸던가!'를 떠올리면 이해가 가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무의식의 측면에서 여성과 남성이 다른 면을 한마디로 지적한다면 아니마는 기분(Launen, mood) 을, 아니무스는 의견(Meinungen, opinion)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이다. (아니마와 아니무스,63p)


윗 문장을 읽는다면 남성은 이성적이고 여성은 감성적이라는 둥, 이성보다 감성이 한단계 아래라는 등의 케케묵은 주장은 억측임이 발견된다. 무의식의 심혼은 이성과 감성을 성별에 상관없이 적절히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 중에서 성평등의 시각을 발견함.


여성의 권리가 많이 신장되었고 남성과 여성이 평등하다 못해 남성의 여성화를 우려하는 시대이지만 우리 문화는 여전히 남성중심주의의 경향이 우세하며 여러 곳에서 불이익이 목격된다. (아니마와 아니무스,202p) 

남성의 권위를 크게 내세우는 문화권의 남성들은 겉으로 보이듯이 그렇게 강한 남성이 아니다. 무의식적인 모성과의 유대, 모성에 대한 무한한 자존심을 은폐하려는 반작용으로 남성성을 더욱 강화시키고...(203p)



또 본문 중에 흥미로웠던 부분은, 토니 볼프의 여성마음의 구조적 형태. 어머니/ 헤라타이라/아마존/메디알레 의 4가지 구분이다. 이것은 여성들에게 선천적으로 갖추어진 것으로 그녀의 본성에 가장 맞는 구조적 형태를 실현하고 점차 분화된다. 나를 지배하는 여신은 현재 페르세포네라고 가정할 때 마음의 구조적 형태는 메디알레(중개자)가 되는 것이다. 예술가, 무당, 점술인, 여전도사, 상담사 등...(우리속 에 있는 여신들 참조)




융은 모두 우리에게 속하지 않는 어떤 집에 살고 있다는 생각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람들이 모두 자기마음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하지만 아니라는 것. 나는 어떤집에 살고 있는걸까... 나의 아니무스와 그림자. 그리고 어떤 아니마를 만나면서 어떤 반응을 만들어내고 있는걸까.

이제 3권 중 마지막 <자기와 자기실현>을 읽을 차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그리 좋은거니... 이탈리아 여름 프랑스어 사랑 바흐 떨림... 모든것. 또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엌 청소로 오르가즘을 느끼는 여자는 없다 - 함께, 지혜롭게, 뜨겁게 진보하는 페미니즘 어록 150선
버지니아 울프.최재천 외 123명 지음, 아티초크 편집부 엮음 / 아티초크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첨에 책제목 보고서 ‘뭐 이딴식으로 지은거야...‘ 했는데 대역전극. 최고. 간결하고 명료한 메세지. 분노도 오르가즘적으로 발산할 수 있구나...
체홉이 저런말을 했다니 언빌리버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초의 인간 열린책들 세계문학 3
알베르 카뮈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왜! 앞으로도 뒤로도 가지 않는 진도의 관계

만난건 오래전. 항상 정복욕과 소유욕은 흥미를 앞서는 법이다. 평행선을 달리다가도 갖고야 말겠다는 욕망은 막을 수가 없었다.
앞 뒤를 살짝 뒤집어 보거나, 책장을 후르륵 넘기거나, 책 냄새를 맡아보거나, 마음에 드는 문장을 발견하고는 책을 다 읽었다고 생각이 들었으나 이건 양심적이라 생각들지 않았다. 구지 첫장부터 끝장까지 차분히 앉아서 한장씩 넘기며 읽는 게 맞는 것이다. 하지만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직관(N)이 주기능인 나에게는 앞선 독서법이 당연하였다는.
비극이냐 희극이냐 최고의 작품은 무엇? 나에게는 미완성이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는 법 - 회의적으로 들린다.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을 수 있다. 마지막을 예상하지 않고 달려본다. 열정적으로 건너보내는 버티는 시간을 들여다보다.
최초의 인간을 상상하다. - 쓸쓸한 인간. 백지인 인간. 강한 인간. 이기적인 인간. 인간 중 인간. 가장 인간적인 인간. 완전체. 그러나 씁쓸한 첫사랑의 맛.



그들은 동물적으로 삶을 사랑하고 있었지만, 삶이란 또한 그 뱃속에 가지고 있는 줄도 몰랐던 불행을 규칙적으로 낳아 놓곤 한다는 것도 경험으로 알고 있었다. 14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