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곱게 지지 말기로 해
김진아 지음 / 봄알람 / 2021년 11월
평점 :
저자는 자신의 코어 커리어, 일하는 사람으로서의 정체성, 코어 커리어를 카피라이터로 잡고 있다. 저자가 해낸, 하고 있는, 할 많은 일들은 단단한 코어 커리어인 카피라이터 업무를 통해 쌓은 분석력과 기획력을 활용하여 뻗어 나가는 일이라고 한다.
책을 읽으며 나의 코어 커리어는 뭘까 생각해 봤다. 많은 일을 했지만, 돌이켜보면, 나의 코어 커리어는 영어와 읽기였다. 이 두 가지로 대부분의 일을 해왔다. 내가 그간 다양한 일을 해왔지만, 좋아하는 것만 했고, 거기에 어떤 공통점이 있긴 있을 거라고 막연히 생각해왔었는데, 답을 얻은 기분이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코로나로 인해 주 4일제 도입이 빨라지고 시간제, 탄력 근무제 등 노동 유연화가 가속화 되며, 장래희망은 '파이어족' 이지만 경제적 기반이 약해 노년에도 일할 확률이 높은 여성들은 확고한 커리어를 가지고, 배리에이션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몸도 일도 코어가 중요해~
같은 세대의 여성 저자가 자기 반성을 하고, 정확하게 이야기하는 것들을 보면서 속이 후련했다. 그 여성이 반성에 그치지 않고, 계속 부딪히고 나아가는 여성이어서 보는 것만으로도 힘이 난다.
여자의 운명이 왜 '여자'의 운명인지 묻지 않은 결과가 지금이라면, 살던대로 살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긍정의 힘은 기도가 아닌 시도에서 나온다."
첫 챕터부터, 나한테 하는 얘기인가.. 멍 때리다가 책을 덮고, 두 번째 시도에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일하면서 유학 검색하고, 탈출 꿈꾸고, 계획하는 탈출 전문가. 나도 그랬는데.. 회사 생활이 싫었던 것도 아니었는데, 그랬다. 그냥 뭔가 달라 보이고 싶고, 특별하게 보이고 싶었나 싶다. 대신 나는 무슨 날이면 한국을 탈출했다. 생일, 크리스마스에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결혼을 전제하지 않더라도 '어떻게든 되겠지' '무슨 수가 생기겠지' 같은 방임적 태도 역시 회피의 일종이다. 가부장제 영향력 아래 살아온 여성의 자기 부양자로서의 인식은 남성보다 약할 수밖에 없다." (18)
여자들이 가장 먼저 놓아야 할 것이 막연한 낙관주의라고 하는데, 구구절절 맞는 말이고, 읽으면서, 나의 낙관주의를 생각했다. 아, 나 망하는건가? 망했는데 모르고 있나? 아님, 낙관주의 플러스 알파랄 것이 나에게 있어서 여기까지 왔나? 그렇다면 그게 뭘까? 나는 낙관주의자라서 마지막 질문을 덧붙인다. 다른 기조로 할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아마, 낙관주의로 성공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뭔가가 있긴 있을거다. 뭘 알아야 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이 책을 읽는 것은 뭔가 새로 계속 알게 되는 경험이었다.
'남자라는 클라이언트' 에서 굉장히 미묘한 친밀한 관계의 남자와 있을 때의 '부자연스러움' 에 대해 나온다. 아무리 친해도 완벽하게 무장해제할 수 없고 완전히 편해질 수 없는 일정량의 긴장을 동반하는 상태, 저자는 그것을 클라이언트와의 그것으로 비유한다. 이거 정말 미묘한 거라서 타인과 이야기해본 적도 없는데, 책에서 읽을 줄 몰랐다. 완벽하게 무장해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 정도의 친밀한 관계를 여자와 이루었을 때와 비교해보면 된다. 미묘하지 않고, 대놓고 불편한 것도 있다. 딸기를 씻어올 때, 여자와 남자 중 여자가 씻어오면, 여자가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서 기분 나쁘고, 남자가 씻어오면, 여자가 해야 하는데, 남자가 해"주는" 것 같다고 나도 세상도 그렇게 봐서 기분 나쁜 것. 이건 정말 어쩔 수가 없다. 새로 태어나서 새로 세뇌당하기 전에는.
"남성 중심 사회에서 길러지고 적응하며 살아온 여성은 관계의 기울기를 인지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여자를 왜 더 쉽게 놔버릴까' 에서는 "자신의 외모를 지나치게 의식하거나 전시하는 여성이 주위에 있을 때 생성되는 묘한 긴장감, 불안감, 피로감" (36) 을 이야기한다. 이런 것도 정말 잘 이야기하지는 않지만, 뭔지 아는 그거. 잘 이야기하지 않는 이유가 있을텐데, 이렇게 펼쳐 놓다니 대단하다.
'나는 내게 실망해야 해' 챕터는 짧게 나마 저자의 행로를 봐 왔고, 책을 읽어왔어서 더 와닿는 글이었다. 틀리기 싫어하고, 흠잡히기 싫어서 레퍼런스만 주구장창 찾는 것.
"문제는 여기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쓴다는 사실이었다. 언제나 예상보다 초과였다. 정말 중요한 건 직접 아이디어를 내고 결과물을 만드는 단계다. 시간은 한정돼 있고 몸풀기 시간이 길다는 건 그만큼 이 '본 게임'에 쓸 시간이 줄어든다는 뜻이다. (..) 나의 기획서를 써 내려가지만 뭔가 시시하다. 새로운 느낌도 없다. 조금 전까지 보던 완성도 높은 사례들과 비교가 되어 더욱 그렇다. 내 실력과 자질에 대한 좌절은 여기서 시작된다. 나의 독특한 취향, 까다로운 안목, 날카로운 비평 의식이 정작 나의 결과물로 연결되지 않다니. 믿고 싶지 않아. 이건 그냥 시간이 부족해서 그래! 속으로 외치며 시간을 더 쓴다 해서 더 좋은 게 나오지는 않으리란 예감을 애써 외면한다." (53)
아.. 진짜.. 책 읽으며 종종 느끼는 바이지만, 이 책 읽으며 특히, 나한테 하는 이야기로 들려 계속 찔렸다.
"레퍼런스는 남의 작업이다. 내 것이 아니다. 인터넷에서 검색되는 정답과 '맞는 말'에는 '나'라는 필터를 통과시켜 나의 현실에 적용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나를 둘러싼 사람, 환경도 변수로 작용함은 물론이다." (56)
공감. 레퍼런스가 너무나 널려 있는 세상이다보니, 내 것을 말하는 사람이 희귀해졌다. 레퍼런스들은 혼돈의 과정을 거쳐 나온 것이고, 남의 것에 기대기보다 내 것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에너지를 투입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모든 것을 최적화하려는 욕망은 실패의 최소화와 닮아 있지만, 실패도 실망도 계속 하고, 맷집을 기르고, 나만의 방식을 찾으라는 이야기가 위안이 되었다.
" '한 달에 200만 원 씩 쓴다면 지금 가진 돈으로 얼마나 살 수 있을까?'
'한 달에 100만 원 씩 쓴다면?' 생명 연장을 위해 월 지출액을 줄여 계산하면 어쩐지 기분은 더 나빠졌다."
아, 나 이 생각 맨날 하는데, 나는 이거 계산하는거 심지어 좋아한다. 사실 이것은 사라지지 말라는, 옆에 사라지려는 여자가 있다면 붙들라는 이야기로 이어진다. 사라지지마.
모든 챕터에 나의 공감을 드리지만, '익명과 크레딧' 도 특히 좋았다. 내가 기성 세대로서 느꼈던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에 대한 생각이 여기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최신의 이야기들을 하고 있지만, 사회가 너무 빠르게 변한다. 이 이야기가 나온 지금보다 더 나빠질지, 더 나아질지, 지금을 글로 박제해두었다. 동시대를 지나며, 차갑고, 동시에 뜨거운 이야기 잘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