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다 - 건강하게 살다 가장 편안하게 죽는 법
우에노 지즈코 지음, 이주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6월
평점 :
우에노 지즈코의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을 꾸준히 추천해오고 있었다. 싱글 노년 시리즈 3권을 마무리하고도 죽을 기미가 보이지 않아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는 책을 쓴 우에노 지즈코 선생님.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 의 주제가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다' 였고, 내용이 겹치는거 아닌가 싶었으나 아주 유익하게 잘 읽었다.
저자는 삶으로, 공부로, 글로 혼자 사는 것이 혼자 살다 죽는 것이 왜 좋은지. 왜 괜찮은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20년 앞서간다고 하고, 그건 지금까지 꽤 잘 맞았고, 이제는 어떤 면에서 우리나라가 더 앞서가는 것도 있다. 매년 세계 기록을 깨는 최저 출생률 같은 것 말이다. 고령화 사회, 초고령화 사회를 미리 맞이한 일본의 사례를 보면서 우리 사회의 미래도 짐작해보게 된다. 초고령화 사회 다음은 뭔지 아는가? 다사 사회다. 사람이 많이 죽는 사회. 대량 죽음의 사회. 우리는 초고령 사회에 이어 다사 사회를 준비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나 개인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이기도 하다.
65세 넘으면 전기 고령자, 75세 넘으면 후기 고령자로 들어간다. 90세를 넘길 확률은 남성은 4명 중 1명 이상, 여성은 2명 중 1명 이상이라고 한다. 100세를 넘긴 장수 노인은 일본에만 약 8만 명에 이른다. 고령자가 되면, 건강했던 사람이라도 '비틀비틀->비실비실->쓰러짐' , 즉 간병의 시기가 온다. 누구에게나 오는 그 시기를 건강할 때 준비해야 한다.
1인가구와 2인가구, 3인, 4인 가구를 조사해보았을 때 2인 가구의 만족도는 최저라고 한다. 2인 가구는 남녀 양쪽 모두 싱글보다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만족도가 남성보다 더 낮다. 책에 인용된 쓰지가와 씨의 말을 빌리면 '2인 가구는 아내의 단독 패배' 라고 한다.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이 지적에 대한 부가 설명은 필요 없다. 남녀건 여여건 남남이건 '2인 가구 노후의 이상적인 모습은 혼자 사는 사람 2명을 한 지붕 아래에서 살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건 노후가 아니라 어느 연령대의 어느 성별에게라도 적용되는 말이라고 늘 생각했다.
만족도와 '고민도' 를 함께 조사한 것이 인상깊었다. 1인가구가 만족도도 높지만, 고민도가 현저히 낮다.
가지 많은 나무가 바람 잘 날도 많아서일 것이다. 하다못해 자녀가 가까이 사느냐 멀리 사느냐에 따라 멀리 살면 고민도가 더 떨어지기도 한다. 눈에 안 보이면 마음도 멀어져서?
EBS 에서 혼자 사는 5-60대 여자 3명의 한 달살이 다큐를 본 적 있다. '외로움은 대부분 일시적인 감정'으로 '일정 시기가 지나면 익숙해진다.' 따라서 싱글이 된 지 얼마 안 된 초보 싱글은 외로움을 느끼지만 '처음부터 혼자라면 외로워하지 않는다.' 라는 글을 읽으며 남편이 죽고 자식들이 나가고 혼자가 되어 외로워하며 우는 여자의 인터뷰가 떠올랐다. 그렇게 늘 같이 이다 혼자가 되어 외로워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나는 애초에 외동으로 자라서 전혀 외롭지도, 불안하지도 않아요. 다른 사람들이 외롭다고 하면 잘 이해가 안 됐어요. 왜 외롭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70대 여성)
가장 외로운 사람은 마음이 통하지 않는 가족과 함께 사는 고령자라는 말에 공감. 고령자가 아니라도. 책 읽으며 시간을 많이 보내는 나는 함께 하는 사람을 외롭게 할거라는 이야기를 들어봤다. 그러니, 나는 혼자 책읽으며 살거나 혼자 책 읽는 사람 둘이 살거나여야 하나 생각했다.
"가족이 많고 몸 상태도 좋아서 외로움과 불안 모두 전혀 없어요. 하지만 만족도는 아무리 높아도 60점 정도예요. 가족과 함께 살면 아무래도 나를 억누르고 가족을 먼저 생각해야 하니까요. 당연히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질 수밖에요." (60대 여성)
가족과 함께 살 때 자신을 억누르는 사람이 가족 중에 누구인가.
저자는 고독사라는 말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재택사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재택사로 변화하는 흐름은 절대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재택'이라고 해도 그곳에는 이미 가족이 없거나 있어도 간병을 기대할 수 없다."
죽음에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다. 간호사만 있어도, 아니, 요즘은 간병인만 있어도 죽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일본의 경우 간병보험과 간병에 민간과 공기관의 실험과 투자가 있어서 여기까지 왔는데,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떤지 모르겠다. 간호 비용 또한 병원> 시설 > 재택이라고 하니 과도기만 지난다면, 재택사가 장려되고 재택사를 자진해서 선택하는 경우가 자연스레 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몇 가지 싱글에 대한 편견을 부셨는데, 그 중 하나가 임종시 참관이다.
"고령자의 죽음은 서서히 진행된다. 간병인은 평소 노인의 일상을 지켜보기 때문에 그때가 슬슬 오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떨어져 있는 가족에게 상복을 준비해오라고 말해줄 수도 있다. 그러니 혼자서 죽고 싶지 않고 누군가가 지켜볼 때 죽고 싶다면 그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나처럼 평소에는 혼자 지내던 사람이 임종 때만 친족에게 둘러싸인다고 생각하면 너무 부자연스럽다. 가능하면 조용히 가게 해주면 좋겠다." (79)
그러네. 고독사건 재택사건 죽으면 끝이지 상관없다는 사람도 있지만, 사회 통념은 아무도 없이 혼자 외로이 죽는 불쌍한 노인. 이라는 거였는데, 혼자 잘 살다 죽는 사람이 굳이 죽는 순간에 사람들로 둘러 싸이기를 원할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죽을 때는 혼자 조용히 가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별 인사와 감사는 여력이 될 때 해두기.평소에 하며 살기.
고독사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고독사에 대한 유품정리인의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묘사가 담긴 책을 읽고 마음 한편으로 안심했다고 한다.
"왜냐하면 고독사하는 사람들은 압도적으로 남성이 많았고 주로 50대 후반에서 60대였기 때문이다. 그 정도는 고령자라고 할 수도 없다. 즉, 중장년 남성의 문제이지 고령자 여성의 문제는 아니다.
고독사한 사람들은 살아 있을 때부터 이미 고립된 인생을 살았다. 고립된 인생이 고독사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살아 있는 동안 고립되지 않는다면 고독사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84)
고립 말고 자립할 것.
이 책은 치매에 대해서도 한 장을 할애하고 있다. 노후와 간병, 죽음에 대한 눈을 넓혀줬다. 나는 치매에 걸리면 죽어야지 생각하고 있었고, 안락사든 존엄사든 열려 있는 입장이었다. 당연히 그렇게 간단한 이야기는 아니다. 생각이 완전히 바뀌지는 않았지만, 치매에 걸려도 혼자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내가 치매 걸리는 상황에 대해 확고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 나조차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되는 이야기다.
팔팔하게 살다가 어느 날 덜컥 죽는 것은 바랄 일이 아니다. 사람은 천천히 내리막길을 걸어갈 뿐이다. 주변의 많은 노인들을 보면서 나는 그것을 깨달았다. 조만간 움직이지도, 먹지도, 마시지도 못할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호흡이 멈춘다. 이를 임종이라고 부른다. 혼자 사는 내가 이대로 내리막길을 걸어가다가 어느 날 홀로 집에서 죽을 수는 없을까? 그동안 혼자 살아왔는데 임종이라고 해서 거의 만나지 않던 일가친척이 전부 모이는 것도 이상하다. 혼자 조용히 죽고, 어느 날 그 사실을 발견해도 ‘고독사‘라 부르지는 않았으면 한다. 이게 이 책을 쓴 동기다. - P210
고작 10년 만에 노후의 상식이 180도 바뀌었다. ‘자녀와 함께 사는 것이 행복하다‘에서 ‘함께 살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로 바뀌었다. ‘혼자 사는 것은 불쌍하다‘에서 ‘혼자 사는 것은 편하다‘ 로 바뀌었다. - P211
"우에노 씨, 앞으로 간병 보험은 어떻게 되나요? 간병 업계는 노동 붕괴가 진행되겠죠?" 나는 이런 질문을 자주 받는데 그때마다 이렇게 답한다. "어떻게 될지가 아니라 당신이 어떻게 하고 싶은지를 생각해주세요."
간병 보험은 우리 유권자가 만든다. 우리 유권자가 간병 보험을 좋게도, 나쁘게도 만들 수 있다. 늙는 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사망률은 100%이다. 5명 중 1명이 치매에 걸린다고 한다. 간병 없이 살겠다며 열심히 운동하고, 치매를 예방한다고 두뇌 체조에 매달리기보다는 간병이 필요해져도 안심할 수 있는 사회, 안심하고 치매에 걸릴 수 있는 사회, 장애가 있어도 죽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아직 너무나 많다.
당신도 함께 싸워준다면 기쁘겠다. - P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