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6
펄 벅 지음, 안정효 옮김 / 문예출판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제목만으로도 유명한 책을 이제야 읽는다.  극도로 혼란한 청말기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에서 그들(중국인)만의 삶이 아닌 바로 우리들의 삶도 읽을 수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리라.  그 시대, 일찌감치 개화한 일본(극히 일부분이긴 하지만)을  빼놓고는 동양인의 삶이 대지에 나오는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기에.

왕룽은 그 시대의 보편적인 시각이 마련해둔, 철저한 남성적인 삶을 산다. 못 생긴 종 오란을 황씨댁에서 사 와 결혼 생활을 시작한다.  늙고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볼품없는 남자에겐 그 정도도 호사라고 스스로 생각한다.

오란 역시 그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적 삶을 잘 이끌어간다. 자신의 운명을 때론 거부하고, 때론 원망도 해보지만 현실을 받아들인 채 자신의 삶을 묵묵히 이끌어가는 것 외에 나은 방법을 알지 못한다.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오란이 있는한 왕룽의 대지는 안전할 것이다.

가뭄으로 힘든 역경을 겪기도 하지만 그마저 자연의 법칙이니 순응할 수밖에 없다. 그들에게 대지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최상위 마니페스토는 단연 노동의 신성함(독자로서는 신산함으로 보이는)이다. 밤새 눈구덩에 쓰러진 아비를 구하기 위해 제 목숨마저 버리는 소년처럼  그들은  제 한몸 투신하는 것이다. 비록 보석과 재물을 훔치는 편법을 쓰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대지의 소중함을 신앙처럼 고수했기 때문에 때문에 땅 가진 부자가 될 수 있었다. 

가뭄과 홍수를 겪으면서도 그들이 의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땅이었다.  부자가 되고 난 뒤에 갖는 허망함을 떨쳐버리기 위해 왕룽은 롄화에게 빠질 수 밖에 없었다.  시간 나고 돈 남는 남자가 딴 생각을 하지 않는 게 이상하다는 듯 왕룽은 한동안 롄화에게 빠져지낸다. 그래도 땅은  새로운 곡식을 주인에게 선사한다. 잔잔한  일상 또한 겉으로 보기에 무리가 없다.

롄화의 존재가 있거나 말거나 오란은 묵묵히 자신의 길만 간다. 때론 현실적으로, 때론 영악하게도 보이나 근본적인 성정은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보수적인 여성의 삶일 뿐이다. 자식을 건사하고, 바람 피우는 왕룽에게도 큰 모반을 꾀할 정도의 반항심도 없다. 여성의 삶은 으레 남성의 뒤치닥거리나 하고, 자식의 안녕을 비는 것이라 생각하며 견뎌낼 뿐이다. 

서양식  문명의 사고에 익숙한  사람들에겐 펄벅여사가 본 이러한 동양적 삶들이 이채롭게 보였을 것이다. 그것이 이 책을 퓰리처와 노벨상이라는 큰 상을 움켜 쥐게한 원동력이 된 것은 아닌지.  서양인의 눈에 비친 동양인의 삶이  어느 정도 객관성이 유지된 채 사실적으로 그려졌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

왕룽 일대기를 보면서 아직도 우리네 삶은 완전히 왕룽식에서 벗어났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어느 정도 권위적인 남성과  그 권위의 그늘 아래서 자신이 억압받고 있다는 사실조차도 인식하지 못한 채 편안함을 가장하며 살고 있는 여성들이 얼마나 많을 것인가.  

대지를 지키며 산 왕룽의 불유쾌한 자유와 유쾌하다고 자기 최면을 걸면서 그 밭고랑을 걸어간 숱한 오란들이 행간에서 느껴지는 작품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sanna 2009-05-15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hey,find wow power leveling click here
 
세월 1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참으로 오래 기다린 책이었다.

절판된 책을 구하지 못해 안달할 정도로 읽어보고 싶은 책이었다.  아마도, 김형경에 대한 개인적인 호기심과 관심이 그러한 충동을 느끼게 했을 것이다.

내가 김형경을 처음 만난 것은 <죽음잔치>를 통해서였다.  그 당시 문학사상이라는 잡지를 구독하고 있었는데 그 해 신인상 당선작품이었다.  이십대 초반으로 나는 어렸고, 막연하나마 문학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을 때였다.  이십여년이나 지난 이야기라 정확한 스토리는 기억하지 못하지만 약간은 엽기적인 사진 작가를 남편으로 둔 여자의 이야기였으리라, 설흰가, 설인가 하는 어린 딸아이도 등장했다. 어린 나이에도 참신하다, 야무지다는 느낌을 받은 작품이었다. 그 외 여러 신인 작품들을 읽을 기회가 있었지만 죽음잔치만큼 내게 강열한 인상을 남긴 작품은 없었다.

각설하고 왜 이런 이야기를 하나?  아마도 죽음잔치 작품의 이미지가 내게 너무 강열하게 각인된 나머지 작가도 그러하리라는 편견이 생겨버렸다. 어딘지 모르게 야무지고, 단호하며, 냉정하고도 사리분별이 있는 작가일 거라고.  해서 그녀의 시집 <모든 절망은 다르다>까지 어렵게 구해서 읽은 기억이 난다. 지금 죽음잔치가 실린 잡지는 내 손에 없어도 그녀의 시집(어쩌면 처음이자 마지막인)은 아직도 내 책꽂이 한 편에 자리잡고 있다.

이런 인연으로 세월을 펼쳤다. 단숨에 읽었다. 세 권을 읽어내리는 동안 화가 났다. 그것도 참을 수 없을 만큼.  알라딘에서 많은 책을 구입하지만 한 번도 리뷰를 써 본 적이 없다. 쓸 만한 뚜렷한 계기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은 다르다. 내가 느끼고, 간직하고 싶어했던 작가에 대한 환상을 여지 없이 무너뜨리게 하는 작품이었다.

예의 앞에서 말했던 이십대 때 작가에게 가졌던 야무지고, 냉정하며, 동시에 열정적인 작가일 거라는 환상을 깨게 한 이 작품을 어떻게 용서할 것인가?  왜 작가는 자신이 겪은 아픔을 순결 이데올로기의 모순과 도덕적 교육의 한계에서 찾으려 하는가?  그 모든 사회적 잘못을 수용하고서라도 작가는 스스로 자기애를 너무 일찍 버린 식물성의 존재로 다가온다.

처음 한 두 번 당하는 고통은 백번 이해하도록 하자.  하지만 여러 정황상 잘못된 관계에 대한 판단이 섰을 땐 미련없이 박차고 나오는 용기가 필요했다. 두려움과 공포 때문이라고 두둔하기엔 너무 작가 스스로가 움츠러들었다.  당당하지 못했고, 소극적이었고, 운명에 순응하는 모습이었다.  일방적인 상대에 저항조차 하지 않는 삶의 결과는 뻔하지 않겠는가?  한 번도 주체적이지 못한 관계를 왜 그토록 질질 끌고 나가는지? 그런 관계의 종식을 선언할 기회가 작가 스스로에게 올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인데 왜 상처를 받고 아파하는지.  식물성의 자아는 동물적이고 파괴적이고 일방적인 상대에게 끊임없이 상처를 받는다.  이것이 사랑이라고, 운명이라고 받아들이려 노력한 그 점을 나는 이해할 수 없다. 용서할 수 없는 자를 용서하며 순응하는 게 사랑의 방식인가? 

끝까지 상대를 배려하는 그 휴머니즘적 태도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어렸을 때는 몰라서 힘들었다해도, 조금만 자신에게 당당했더라면 이런 아픔을 조금 더 덜 수 있지 않았을까? 왜 이런 작품을 독자가 읽어야 하나?  여성에 대한 모욕 같아 분노가 치민다.  아마 작가에 대한 연민 보다는 작가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싶어하는 욕심이 컸기 때문에 화가 났을지도 모른다.

이십 년 이상 갖고 있었던 작가에 대한 환상을 접어야 하는 스스로에게 화가 치밀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