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정감, 정서 02

 

<사랑은 사치일까?> 정서적으로 여성에게 의존하며 얻는 기쁨과 별개로 남성들은 정서적 영역을 평가절하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물론 사랑의 가치절하를 의미했다.

 

<자연의 배신> p251 그는 과학자들은 꽃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한 예술가 친구의 주장

 

어떤 사람은 이성적 활동에 정서가 배제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이와 같은 이야기를 처음 어린 시절 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다. 누군가가 아폴로 우주선, 사람이 달에 착륙하는 바람에 달에 대한 신비감을 없앴고 사람으로부터 달에 정서를 뺐어 버렸다고 했다. 그러나 나는 그 사람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다. 내게는 우주선이 달에 갔다 왔어도 여전히 정서적 감흥을 느끼며, 다른 의미에서 우주선이 달에 갔다 온 것이 정서적 감흥을 일으킨다.

 

시나 소설, 음악을 들을 때는 정서의 인지가 작용하나 수학, 물리학을 공부할 때는 정서가 작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어떤 사람도 있다. 나는 수학 그리고 01’이라는 글을 통해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 수학 그리고 01 http://blog.aladin.co.kr/maripkahn/7180153

 

나는 어떤 남성이 또는 이성을 주로 사용하는 자연과학자가 정서를 평가 절하했다면, 나는 그를 교양이 부족한 사람으로 생각할 것이다. 반대로 이성을 사용하는 집단은 정서를 배제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역시 교양이 부족한 사람으로 생각한다. 아마 수학, 물리학에서 느낄 수 있는 희열을 한 번도 못 느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EBS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 남녀의 차이를 보면 남아는 공감능력과 정서 반응이 여아보다 떨어진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도덕적으로 열등하다는 가치판단이 가능한가?

 

정서적으로 여성에게 의존하며 얻는 기쁨과 별개로 남성들은 정서적 영역을 평가절하하기 시작했다. ; 이 글은 다음과 같은 패러디도 가능하다. 이성적으로 남성에게 의존하며 얻는 기쁨과 별개로 여성들은 이성적 영역을 평가절하하기 시작했다.’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에 의하면 도덕적 기반은 이성도 아니고 정서도 아니다. <바른 마음>의 글쓴이 조너선 하이트는 도덕적 기반을 찾는 것을 포기한다. 대신 사람들이 무엇을 도덕적 기반으로 삼는가를 연구했고, 이 책을 썼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6개의 도덕적 기반 배려-피해, 자유-압제, 공평성-부정, 충성심-배신, 권위-전복, 고귀함-추함중에 정서-사랑 1개만 도덕적 기반이 되어야 할 타당성은 없다고 본다.

 

사랑만을 사용하면 100%이고 6개를 균등하게 사용한다면 16.7%가 될 것이다. 100%에서 16.7%가 된다면 평가 절하라고 판단할 수 있나? ‘사랑은 사치일까의 대척점은 이성은 사치일까가 아니다. ‘이성은 부도덕할까?’

 

* 인지적 진화의 정향성 http://blog.aladin.co.kr/maripkahn/7118337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트랑 2015-06-25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마립간님, 그간 평안하셨는지요.

저는 수학에 유능한 편이 못되어 수학을 잘 아른 분들이 부럽더군요.
그러나 마립간님 덕분에 수학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수학이 아름답다고 느낀 것은
누군가가 과연 빛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을까?를 식으로
설명해준 때 부터입니다.
감동이 아름답게 느껴지더군요.

수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순간이었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마립간님

마립간 2015-06-25 10:57   좋아요 0 | URL
차트랑 님, 안녕하셨어요. 반갑습니다.
차트랑 님이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낄 계기를 가지셨다는 것은 감사할 일이군요.

제가 차트랑 님의 글을 통해 알고 있는 바로는 여성주의에 대한 제 글들이 차트랑 님과 맞지 않았으라 생각합니다. 어째거나 어머니, 안해, 아이를 포함하여 제 주위에 있는 여성들은 저( 또는 제 가치관으)로 인하여 그리 불행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가치관이 맞았는지에 관해서 확신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페크pek0501 2015-06-26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은 사치일까?>를 이달에 구입한다면 그건 순전히 마립간 님 덕분입니다.
잘 읽고 갑니다. ^^

마립간 2015-06-26 14:44   좋아요 0 | URL
저 아직 <사랑은 사치일까?> 안 읽었습니다.^^ 책 제목에 대한 저의 답은 사랑은 사치가 아니라 ...

진리, 소명,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없다. by 마립간
 

 

* 일반정감, 정서 01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의 부분 독후감을 쓰려 던 중 아랫글을 보았다.

 

<사랑은 사치일까?> 정서적으로 여성에게 의존하며 얻는 기쁨과 별개로 남성들은 정서적 영역을 평가절하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물론 사랑의 가치절하를 의미했다.

 

퇴계와 율곡의 핵심 논쟁은 선한정감과 일반정감의 관계다. 퇴계는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통해 절대선을 상정하려 했다.

 

선한 정감으로 표현하든, 절대선 絶對善으로 표현하든, 지고지선으로 표현하든, 종교 기독교의 하나님을 상정하든 이들의 공통된 무엇인가를 사람들은 갈망했다. 일단 선한 정감이라고 하자.

 

퇴계는 순수한 선한정감을 추출하려 했다. (여기서 순환 논리의 모순이 나타나는데,) 선한정감이 아니라면 일반정감이다. 일반정감을 희노애구애오욕 喜怒哀懼愛惡欲이라고 했을 때 (아니면 희노우구애증욕 喜怒憂懼愛憎欲이든지) 그 자체로 선악을 판별하기 어렵다.

 

기쁨을 보자. 불쌍한 사람을 돕고 나서 기뻤다. 이 때의 기쁨은 선한 것이다. 그러나 물건을 훔친 후 짜릿한 기쁨을 맛보았다면 이는 악이다. 퇴계는 선악의 구분을 리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율곡은 맥락에서 선악을 구분하고자 했다.

 

퇴계의 입장에서 본다면 일반정감, 현대적 언어로 표현하자면 정서를 평가 절하할 수밖에 없었다. 사랑을 포함한 정서는 악으로 표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에피쿠로스 철학은 존재에 대해서는 유물론적으로, 행동에 대해서는 쾌락주의적으로, 그리고 인식에 관해서는 감각주의적으로 해석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 학파의 주장은 마약, 섹스와 같은 말초적 쾌락을 지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서적 생활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반동이 일어난다. 스토아 철학 Stoicism이다.

 

헬레니즘 문화에서 탄생해 절충적인 모습을 보이며, 유물론과 범신론적 관점에서 금욕과 평정을 행하는 현자를 최고의 선으로 보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약 사랑(孺子將入於井)이 선이라면 퇴계도 스토아 학파도 폄훼하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사랑을 선을 전제해 놓고 시작하는 것은 순환논리 모순이다.

 

사랑은 선과 동치同値인가? 영화 <마더>의 김혜자의 행동은 사랑인가, 선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5-06-25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이 정서에 속하나요?
사랑으로 인해서 불러일으켜지는 수많은 감정들이 있기 때문에 정서라고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하지만,
모호한 점이 있네요. ^^

마립간 2015-06-25 14:56   좋아요 0 | URL
저는 사랑이 단일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사랑의 사치일까>의 저자 `벨 훅스`의 의견을 전제로 한 제 의견입니다. 그래도 저는 사랑에 정서가 가장 큰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본능, 마지막이 이성이겠죠.

의견 감사합니다.
 

 

* 백조 Swan

 

- 흑백조 黑白鳥, Black swan, Black Cygnus columbianus

 

아이와 그림을 그리다가 아이가 역시 백조는 흰색이 예뻐.”라고 말했다. 분홍색으로 칠할까, 흰색으로 칠할까 고민하다가 흰색으로 결정했다.

 

내가 검은 백조가 있는 것 알아?”라고 물으니,

아이는 알지. 흑백조黑白鳥.” “그런데 흑백조, 이름이 좀 웃겨.” 그리고 이야기가 조금 더 진행을 했다.

 

* 이름 붙이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229348

 

* 합성어의 종류 ; 대등합성어, 수식합성어, 융합합성어

 

융합합성어의 하나인 밤낮을 보면 이 단어는 원래의 의미인 밤 night과 낮 day이라는 뜻은 희박해지고 항상 alway’의 의미를 갖는다. ‘백조라는 흰 새라는 수식합성어의 형태지만, 일단 합성어가 된 후에는 Cygnus columbianus를 의미한다. 의미가 변한 이후에는 하얀 백조가 가능하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목적(플라톤-노자)과 적응(아리스토텔레스-장자)은 유래를 찾는 것이 의미가 있지만 굴절적응(디오게네스-양주)에서는 유래를 확인하는 것이 story-telling이외에 의미가 없다. 이름의 유래도 목적적 변화와 적응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굴절 적응이 있을 경우 굴절 적응 이전의 이름에서는 유래는 의미가 없다.

 

이름이 실체의 핵심을 표현했을 수는 있다. 그러나 이름(평가)은 실체(가치)와 차이가 있다. 더욱이 이름이 본질은 아니다.

 

마립간이 타임머신을 타고 고생대로 날아가 보니, 작은 생물 등에 혈관이 발달한 얇은 막이 있어 체온을 조절하였다. 마립간은 이를 따찬개 (몸의 뜻한 것과 가운 것을 조절하는 기관의 의미)로 이름을 붙였다. 후대에는 이를 (곤충의) 날개로 불렀다. 날개라는 이름으로부터 난다 fly는 본질을 연상하고 따찬개의 옛날 이름은 알지 못하더라.

 

양성 평등은 목적론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최초의 인간 아담

의 성별은 여성, 이브의 성별은 남성

 

나의 기독교 가치관에 대해서 앞에서 이야기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은 누군가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 관해 내용은 아직 다른 곳에서 누군가 나와 같이 생각했다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아직까지는 말이다.

 

<빨래하는 페미니즘>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글쓴이 스테퍼니 스탈가 성경 창세기 부분의 이브가 죄를 범하는 장면을 읽고 부정적 감정을 갖는 장면이 있다.

 

나는 최초의 인간이 있고, 그 인간의 성별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여성이라고 답한다. 따라서 성경에서 말하는 최소의 인간 아담의 성별은 여성이다. 누군가 비성경적이라고 말할지 모른다. 그런데, 나는 하나님이 세상의 창조 따로, 성경책 따로 쓰셨다고 보지 않는다.

 

종족 번식에 기본은 난자卵子. 생물학에서 암컷으로만 사회를 이루고, 필요시 즉 번식에만 수컷이 등장하는 예는 많다. 개미나 꿀의 집단이 그렇다. 단위생식 (처녀생식, 단성생식)이라는 것이 있는데, 암컷만으로 증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단위생식을 하지 않는 종의 난자에 전기적, 화학적 자극을 통해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생물의 정의를 5가지, 그 중에서 핵심적인 2가지에 증식이 포함될 때, 최초의 인간이 남성이라면 생식 능력이 없는 것이고 그 자체가 생명체의 정의에 맞지 않는다. 어느 목사님은 XY의 성염색체로 이를 설명하려하나, 성염색체는 XYZW가 있다.

 

(주류?) 기독교에서도 선악과가 무엇을 상징하느냐의 신학적 해석이 Sex. 재미있는 것은 기독교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사람에게 성경의 선악과를 이야기하면 대개 Sex로 해석한다고 한다. 선악과는 성별의 구분이고, 성역활의 분화이고, 성별 차이고, 성차별의 시작이다.

 

* 양성구유 http://blog.aladin.co.kr/maripkahn/12878

 

인간은 어머니의 뱃속에서 염색체로 말미암아 성별이 확정되었지만, 실체 남녀 신체 구조로 분화하는데, 핵심적인 것은 호르몬이다. 호르몬 중에서도 테스토스테론이다. 그런데, 자극이 없다면? 남녀 구분 없이 여성으로 태어난다. 즉 인간의 기본 청사진은 여성으로 되어 있고, 테스토스테론의 호르몬에 남성으로 전환되느냐 마느냐가 결정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자의 지배적, 공격적, 파괴적 성향, 경쟁 등의 심리에 근간이 된다. 이런 성향은 성경에서 말하는 와 비교적 잘 일치한다.

 

살인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출애굽기 20:13~14)

 

* 테스토스테론 http://blog.aladin.co.kr/maripkahn/7485260

 

그리고 테스토스테론은 수직적 위계질서 성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신격神格과 인격人格의 위계질서를 인간 사회에 구현하려 한다.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창세기 3:5)

 

마지막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예수님이 나신 것도 같은 방식으로 이해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마태복음 1:8)

 

성 분화의 대칭성에서 나는 Sex와 경제력을 대칭으로 놓았다.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창세기 3: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언어와 가치

 

* 가치와 평가

내가 좋아하는 말 중에 가치와 평가는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라는 말이 있다. 평가의 하나에 언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언어와 가치에 격차가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도 (플라톤-노자주의의 관점인) 절대 가치가 존재할 경우 성립하는 말이다. (디오게네스-양주의 관점인) 절대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 상대 가치가 주가 되는 상황에서는 언어가 가치를 만들기도 한다.

 

* 주관적, 객관적, 간주관적

taste ; 1) 맛이 있어 맛이 있다고 하는가? 2) 맛이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생각했기 때문에) 맛이 있는 것인가? <왜 팔리는가>라는 책에 의하면 2)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

여성스럽다. ; 여성은 1) 여성으로 태어나는가? 2) 여성으로 길러지는가?

 

* 논리에서 부정

길다 long’의 부정 not은 무엇일까? ‘짧다일까? ‘빨간색 red’의 부정은 무엇인가? ‘파란색’? 대개의 사람들은 부정과 반대를 혼동한다. ‘길다의 부정은 길지 않다이다. 길지 않은 것은 같거나 짧다이다. 빨간색의 부정은 빨간색이 아닌 것으로 파란색도 있지만, 보라색이나 노란색을 포함한다. 반대말이 존재하려면 단일 개념의 양끝, 즉 이분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만 존재한다. 그리고 배중률이 적용되는 상황에서만 부정과 반대는 동치다.

 

* 반대말 비슷한 말 http://blog.aladin.co.kr/maripkahn/5614559

 

* 반박

수학의 증명의 반박에 국소적 반박과 전면적 반박이 있다. 국소적 반박은 증명 과정의 반박이며 전면적 반박은 내용에 대한 반박이다. 일부 사람들은 국소적 반박을 전면적 반박과 혼동한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1993년에 발표되었고,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 오류를 발견한 반박은 국소적 반박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틀렸다고 증명된 것이 아니고, 옳다고 증명되지 않았음을 말하는 것이다.

 

어떤 정치인은 범죄행위를 해놓고, 검찰이 죄를 증명하지 못한 것을 가지고 무죄가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는 말 그대로 유죄를 증명하지 못한 것이다. 어떤 이는 여성주의에 대한 국소적 반박을 여성주의에 대한 전면적 반박으로 인식한다. 드물지 않는 오류이다.

 

* 편견 prejudice과 정형 stereotype

나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의견, 즉 오류인 것을 편견, 과학적(통계적 근거가 있는) 의견을 정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남자 아이는 수리 능력이 먼저 발달하고 여자 아이는 언어 능력이 먼저 발달한다. 나는 이와 같은 명제를 편견이라고 부르지 않고 정형이라고 부른다. (편견과 정형의 정의는 나의 임의적인 것으로 사회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여자가 남자보다 잘 운다. ; 편견인가, 정형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