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환의 <당부>라는 곡이죠. 아마도 클릭해도 잘 못들으실 거예요. 음원을 닫아 놓은 것 같습니다. 그냥 폼으로다가...
사실 저는 음악에 대한 리뷰는 안 써 봐서 리뷰라고까지는 할 수 없고, 글구 마노아님 이벤트에 너무 참여들을 안 하시는 것 같아 마노아님이 섭섭해 하실 것 같아 그냥 참여하는 겁니다. 평소 이승환을 좋아 하기도 하구요.
이 노래를 2004년도에 처음 들은 것 같습니다. 이승환이 발라드를 주로 불렀죠. 그런데 유달리 이 노래는 우리나라 국악을 접목시켜 크로스 오버적 시도를 했습니다.
그 노래가 어찌나 간드러지고 애절한지, 그때 지금은 알라딘을 떠나신 어느 님께 저 노래를 좋아하니 올려달라고 부탁했더랬죠. 고맙게도 그 분은 이 노래를 올려 주셨고, 저는 한동안 이 노래에 빠져 살았더랬습니다. 사실 그때 이승환은 라이브로 이 노래를 불렀고, 후렴구인 "제발~ 제발~"하는 부분을 관중들과 함께 불렀습니다.
근데 저는 라이브 보단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노래를 듣고 싶었죠. 라이브의 황제라고는 하지만 유독 이 노래만큼은 아무런 잡음없이 온전히 느껴보고 싶었는데 당시로는 스튜디오 녹음된 것을 찾을 수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또 모르죠. 발품을 팔았더라면 스튜디오 녹음된 저 노래를 찾을 수 있었을런지도...
이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안숙선 명창이던가요? 그의 목소리와 해금의 절묘한 조화가 한층 못다 이룬 사랑을 노래로 풀어 보려는 애절함이 있어 마음 한켠이 무너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한으로 남아도 좋으니 이런 애절한 사랑 가슴 한켠에 시리도록 가져보면 어떨까?란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작년이던가요? <황진이>란 드라마를 본 적이 있었는데, 거기서 보면 한 도령이 황진이를 사모하다 애절한 한을 품고 죽는 시퀀스가 나오죠. 결국 관속에 들어간 도령이 황진이가 사는 집에서 도착하자 그의 시신을 태운 수레가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은 장면이 나옵니다. 그러자 황진이가 그의 넋을 위로하자 그제야 그 수레가 움직였죠. 과연 그게 사실인지 또는 은유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슴 한켠에 이루지 못한 사랑을 품고 사는 건 정말 힘든 것이 될 것입니다.
오늘 이 노래를 떠올리면서 갑자기 그 장면이 생각나 써 봤습니다. 아마도 그 장면에 이 노래가 나왔더라도 좋았겠죠. 아, 도대체 이승환은 무슨 생각으로 이 노래를 부를 생각을 했을까요? 그후 그는 이런 슬픈 노래는 안 부르는 것 같습니다. 그의 노래는 대체로 밝고, 활기차고, 힘있고, 카리스마 넘치는 노래를 부르잖아요. 그런 그가 어느새 불혹의 나이를 넘겼습니다. 예전 같은 생기발랄함은 없는 듯해 보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미소만큼은 천진하더군요.
마노아님 콘서트 가신다니 부럽습니다. 그러고 보니 저는 아직까지 콘서트를 안 가 봤군요. 가끔 뮤지컬이나 연극은 쫓아다녀 봤는데. 모쪼록 좋은 시간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