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이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시기의 시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런지, 이 시집의 시들에는 가장 밑바닥에 이별과 그리움의 정서가 깔려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추억과 슬픔으로 읽혀지는 시들이 많다... 게다가 시인의 잔병치레는 아픈 가운데 그의 정신을 현실과 상상의 경계와 같은 내면으로 자주 데려가는 듯하다... 


  방송에서 매력적으로 소개되면서, 시집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판매부수를 기록한 시집이다... 자신의 첫 시집에서 이러한 색깔을 형성하게 된 시인이 앞으로는 어떤 색깔의 시들을 써나가게 될지, 이후의 시집들이 더 궁금해진다... 어떤 경험이 어떤 시들을 만들어낼 것인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2-11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대구에 위치한 시인보호구역이라는 문화 관련 공간에 박준 시인님이 특강하러 오셨습니다. 저도 짬을 내서 가려고 했는데, 시간이 나지 않아 그곳에 못 가고 말았어요. ^^;;

라파엘 2016-12-21 13:36   좋아요 0 | URL
요즘에 SNS와 드라마 등으로 시가 대중화되면서, 시와 관련된 문화공간이 많이 생기는 것 같아요. 덕분에 시인이나 작가들을 직접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예전보다 많이 생겨서 좋네요 ~ ^^
 
몸으로 기억하는 수영 - 몸과 물은 하나가 되어야 한다
김종만.이규성 지음 / 스윔닥터(주)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일반인들이 수영을 하면서 느끼게 되는 대표적인 의문점들에 대해서, 각 영법별로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진단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드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미 수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고 구체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때문에, 연수 이상 마스터즈 및 지도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영 마스터 가이드 (부록: 노민상 감독 친필 사인 및 문구) Sports Master Guide 2
고마쓰바라 마키 지음, 김정환 옮김, 노민상 감수 / 싸이프레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수영을 배우면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유용하게 참고한 책이다. 수영의 시작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배우고 익혀야 할 것들이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으며, 초급부터 상급까지 모든 단계의 학습자에게 일반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수영교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ew 수영 교본 - 한권으로 완성하는 이상적인 수영법
시모야마 요시미츠 지음, 신정현 옮김, 이병두 감수 / 삼호미디어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수영을 배우기 시작할 때에, 학교 도서관에서 수십권의 서적을 둘러보고 선택한 책이다. 처음 수영을 배워보려는 사람이 궁금하게 느낄만한 사항들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으며, 각 영법도 전혀 복잡하지 않게 사진과 그림을 사용해서 따라하기 쉽도록 설명되어 있다. 분량이 적고 내용도 단순해서 이미 수영을 잘하는 사람이 도움받을 부분은 별로 없지만, 수영을 배워보려는 사람이나 기초 단계의 학습자에게는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유용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 듀이 교육론 - 존 듀이가 쓴 교육에 관한 기록들
마틴 드워킨 엮음, 황정숙 옮김 / CIR(씨아이알)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듀이의 수 많은 글 중에서 직접적으로 교육에 관련된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그는 인간의 성장이 결국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며, 스스로 처한 상황 가운데서 반성적 사고를 통해서 경험을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 인간 성장의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므로 듀이에 따르면, 교육은 이러한 경험의 재구성을 돕는 활동이며, 학교는 세계 전체의 경험을 학생에게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을 만들어주는 곳이다. 


  그의 이론이 지닌 가장 큰 의미는 경험을 다시 학문의 중심으로 가져왔다는 점에 있다. 서양철학사의 흐름 속에서 언어 논리만이 객관성을 가지는 학문으로 인정되고 경험은 주관적인 믿음이나 종교로 구분되어가는 과정에서, 다시 경험을 학문의 중심으로 위치시키고 이성은 성장하는 경험의 한 요소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이성과 언어 중심으로만 전달되고 평가되는 현대의 교육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수자의 가르침이 단순히 이론이 아니라 학습자의 경험과 실제 삶에 연관되어 있어야 하며, 그럴 때에라야 학습자의 마음에서는 흥미를 통한 진정한 배움과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