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사랑할 용기 - 인간관계를 둘러싼 88가지 고민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
기시미 이치로 지음, 홍성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12월
평점 :
나는 너무 유명해진 책은, 아니 정확히 말해 너무 유명해진 자기 계발서는 읽지 않는 편이다.
이는 몇번의 실패의 경험에 의한 것으로 대표적인 실패작이 <시크릿>과 <몰입>이었다.
이 책들을 읽으면서 감동과 용기를 얻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책을 읽고나서 던지뻔 했던 책이었다.
그후 유명세를 떨치는 책들 특히 자기계발서는 책 소개를 자세히 읽어보고 끌림이나 친구 추천을 통해 선택하는 편이다.
작년부터 맹위를 떨치는 베스트 셀러가 하나 있었는데, 그 책은 바로 기시미 이치로 작가의 <미움받을 용기>였다.
물론 자기계발서보다는 심리학서로 분류되기는 했지만, 선뜻 읽히지는 않았다.
그러나 주변에서 꽤 많이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를 추천해주었고, 이 책이 1편에 이어 2편이 출간되고 이어 <행복해질 용기>까지 출간되었다.
그러던 차에 이번 기시미 이치로의 새책 <나를 사랑하는 용기>에 도전하게 되었다.
제목은 <나를 사랑할 용기>이지만, 이 책의 구성은 기시미 이치로의 즉문즉답이라고 볼수 있다.
아직 <미움받을 용기>를 읽어보질 않아 그 책과는 비교하기 불가능하지만, 이 책의 구성은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래서 약간 더 구체적이었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맞춤형 상담을 모아놓은 느낌이었다.
나는 직장인이고 직장내에서 직장 밖에서도 인간관계에 대해 갈등이 있고, 미래에 대한 불안간에 몇가지 장르는 공감이 가서 두번씩 읽어보게 되었다.
우선 1장 자신에 대한 볼안의 경우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내용이라고 본다.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들 앞에서 긴장하고, 항상 후회가 많은 나였다.
이런 고민들에 대해 답변들을 읽으면서, 감동적이었다.
타인의 삶에 너무 신경쓰고 있었고, 어짜피 긴장하고 후회하는 것이라 스스로 받아들이고 거절해야 했었던 것이었다.
이 간단한 답이 사실 누구나 할수 있는 답일수도 있지만, 나에게는 처음 듣는 답변이었고 꽤 크게 다가왔으나, 한편으로 이러면 괜찮아 질수 있을까라는 의문도 들기는 했다.
이외에도 3장 피하고 싶은 인간관계, 5장 직장 스트레스, 10장 노후에 대한 불안도 공감과 함께 동시에 의문이 동시에 들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피하고 싶으면 피하면 되는 거고, 직장에서 일로 만난 사이에 친분이 중요치 않은거고, 노후에 대한 불안은 살아있는 가치보다는 내가 가난할까봐 걱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책은 좀 다른 시각을 주었다.
작가는 이를 아들러 심리학이라고 표현하고 '열등감 콤플렉스'라고 설명하고 있다.
바꿀수 없는 것에 연연하기 보다는 바꿀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한다고 말이다.
살면서 인간관계는 어렵고 또 어려운 것이다.
너무 어려워서 인간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해결하기가 너무 어렵다.
그동안 나는 여러 경험을 통해서 인간 관계에 문제가 생기면 주로 손을 놓는 편이다.
노력해서 해결할수 없다면, 고민해서 나아질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주로 난 " STOP" 사인을 스스로에게 내린다.
'내가 싫은거야. 나랑 코드가 안 맞는거야. 그렇다면 노력해도 안되니 포기해'라고.
덕분에 인간관계에 있어서 그냥 넘어가고 무시하는 경향성이 컸다.
이 책 <나를 사랑할 용기>를 읽으니 꽤 내가 해왔던 방법이 나쁘지 않았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내가 기존에 했던 포기라는 선택보다는 좀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볼수 있게 도와준 것이 이 책이었다.
다들 그런거야. 이 인간관계를 그럴수 밖에 없지. 좀더 간단하게 바라보자. 등등 이런 약간 다른 시각을 주면서 좀더 나에 대한 위로가 될수 있었다.
그래서 책 제목이 <나를 사랑할 용기>인 거 같았다.
포기는 사실 나에게도 무기력감과 상처를 입히긴 한다.
안그럴려고 노력해도 실패처럼 느껴지는 것은 어쩔수 없다.
하지만, 이책에서 제시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이는 실패가 아니라 당연한 당위인 것이고, 상처받을 이유가 하나도 없는 것이었다.
이런 시각을 가질수 있다는 점에서만으로도 많은 위로와 치유가 되었다.
그래 누구나 열등감이 있다.
인간이면 누구나 그렇다. 다들 아니라고 가면을 쓰고 있을 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