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29.


《후쿠시마 사고 Q&A》

 고이데 히로아키 글/고노 다이스케 옮김, 무명인, 2012.10.25.



새벽에 다시 길을 나선다. 순천으로 건너간다. 이태 앞서 ‘세빛중’으로 이름을 바꾼 예전 ‘순천여중’에서 푸른씨를 만난다. 누구는 ‘요즘 푸른씨 걱정’을 하지만, 누구는 ‘한결같이 푸른씨 곁에서’ 함께 배우고 가르친다. 걱정하자면 예나 이제나 끝없을 테지만, 그저 곁에서 함께 배우고 가르치고 나누고 베풀면 한 가지씩 차분히 풀어낸다. 《후쿠시마 사고 Q&A》를 돌아본다. 문득 태어났고 조용히 사라진 책이다. 우리는 체르노빌이든 드리마일이든 후쿠시마이든 쉽게 잊는다. 이웃나라나 먼나라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날마다 터지고 죽고 무너지고 아픈 목소리가 넘쳐나지만, 정작 이런 목소리를 찬찬히 받아서 가만히 알리는 길(언론)은 너무 드물다. 새길을 밝히지 못하는 붓이 춤추고, 오래길을 헤아리는 붓은 뒷전이다. 삶이란, ‘배우기’만 해서는 곯는다. 배울 적마다 곧장 익힐 노릇이요, 익힌 뒤에는 읽고 일구고 이으며 이야기로 지펴서, 저마다 이곳에 있는 님(임)으로 피어나야지 싶다. 나라 곳곳에서 펑펑 터지고 죽을 적에 무엇을 느끼고 배우는가? 푸른별 여기저기에서 싸우고 죽일 적에 무엇을 보면서 어깨동무하는가? 이 땅에 ‘왼길’ 같거나 ‘오른길’ 닮은 무리는 안 보이는데, 다들 왼오른으로 가르기만 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