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꾸는 책들의 도시 - 전2권 세트
발터 뫼르스 지음, 두행숙 옮김 / 들녘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책에 관한 모든 것이 존재하는 곳이 있다. 오래되어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져 버린 책들도, 제목마저 생소한 온갖 종류의 책들이 있는 수천 개의 고서점들, 책으로 깊이 빠져들게 만들어주는 기호식품들, 출판사들과 종이 공장, 인쇄소, 장서표와 책 받침대 등을 파는 가게, 시인들의 낭독회가 열리는 찻집 등 책에 관한 모든 곳이 존재하는 곳. 마치 꿈에서나 가능할 것만 같은 오로지 책을 위한 도시가 있다. 바로 꿈꾸는 책들의 도시, 부흐하임이다. 발터 뫼르스는 오직 책을 위한 책으로만 꾸며진 책의 도시를 한 권의 책 속에서 환상적으로 재현해냈다.
미텐메츠가 부흐하임에서 겪게 되는 모험담을 그리고 있는 이 소설은 다양한 캐릭터와 좀 더 이야기에 깊이 빠져들게 만들어 주는 삽화들, 온갖 비유와 상징들로 읽는 재미를 더해주고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젊은 공룡 미텐메츠와 미텐메츠의 정신적 지주이자 미텐메츠가 모험을 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준 그의 대부 단첼로트, 생각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 서점 주인 키비처, 책 사냥꾼 중 전설적인 인물로 알려진 레겐샤인, 미텐메츠를 지하 미로에 가두는 스마이크, 한 개의 눈을 가지고 있는 그야말로 책을 먹고 사는 종족인 부흐링족들. 이렇게 다양한 캐릭터들이 서로 얽히어 미텐메츠의 흥미진진한 모험 속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특히나 인상적이었던 캐릭터 중의 하나가 부흐링족이었는데 그들은 그야말로 책을 먹고 사는 이들이다. 영양가 풍부한 고전 소설을 읽으면 서정시 몇편으로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 책이 삶의 든든한 영양식이 되는 종족들이다. 이들의 생활을 보며 탄성을 지르지 않을 수 없었는데 오로지 책 그 자체만으로 살아가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작가의 놀라운 상상력에 다시 한 번 감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꿈꾸는 책들의 도시, 부흐하임은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황홀함 그 자체로 보이는 도시이지만 책을 읽어 내려갈수록 그 도시의 이면에 존재하는 어둠, 즉 책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나 사랑이 자본의 힘에 의해 변질되어 버린 출판계의 현실을 고발하는 듯해서 씁쓸하기도 했다. 돈이 되는 책들만 찍어내는 출판사들이나 책 사냥꾼들의 책을 얻기 위한 전쟁, 작가가 아니라 신문사를 위해 비평을 쓰는 비평가들의 모습 등은 그런 씁쓸한 현실의 반영이다. 생명까지 위협하는 책들의 모습은 바로 그런 출판계의 현실을 비유하는 듯해서 더욱 암울하게 느껴졌다.
그렇지만 미텐메츠의 흥미진진한 모험의 결말에 이르게 되면 마치 작가들이 위대한 작품을 쓸 때 경험한다는 그 오름의 경지에 이른 듯 황홀한 느낌이 든다. 책 속에 숨겨져 있었던 책에 대한 다양한 빛깔의 이야기들이 찬란하게 쏟아져 내린 듯한 느낌. 책에 대한 상상력의 어떤 극한까지 간 듯한 느낌. 어쩌면 작가 발터 뫼르스는 책 그 자체를 통해서 오름을 경험한 것은 아닐까. 이 소설은 조금 어두운 빛깔도 담고 있지만 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푹 빠져볼만한 책 속으로의 여행이다. 책, 오로지 책 그 자체에 푹 빠져보고 싶은 이들이라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