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명찰순례 1
최완수 지음 / 대원사 / 1994년 1월
평점 :
품절


 절은 언제나 찾아간 이의 마음을 평안하게 감싸주는 곳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탈의 도장을 자주 찾지 못하는 것이 저마다 하루하루를 바쁘게 사는 오늘, 우리의 아쉬움이다. 나 역시 그런 아쉬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차에 시중에 있는 다양한 사찰 순례기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저명한 미술사가 이신 최완수 선생님께서 쓰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다행히 내 선택은 어긋나지 않았다. 이 책은 단순히 절의 풍광(風光)과 지은이의 감흥만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그 절의 창건 및 중창 시의 미술사조와 시대 배경까지 날카롭게 서술하는 데서 전문가의 면모가 확연히 드러났다. 특히 절과 전각들의 얼굴이라고 할 현판(懸板)에 대한 이야기까지도 세세히 기록하셔서 서예 분야에 소견이 얕은 나에게는 큰 도움이 되었다.

 이렇듯 이 책은 절이라는, 시(詩) 문(文) 서(書) 화(畵), 조각, 건축 등이 모인 종합 문화재에 대한 지식을 매우 충실하게 소개한 점이 특기할 만 했다. 그러나 한정된 지면에 많은 것을 소개한 탓인지 지은이 개인의 감상은 상당히 축소되었다. 본디 자신의 감정 드러내기를 꺼리는 선비 정신의 발현일까? 여정과 견문에 밀려서 같이 느끼고 싶은 감상의 자리가 줄어든 것이야말로 이 책의 가장 큰 아쉬움이다. 이런 허전함을 안고 떠난 길이었지만 그 여로(旅路)에서 얻은 배움만큼은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 그 중에서도 많은 가르침을 주었던 곳으로는 조선의 실학 부흥을 위해 힘썼던 정조(正祖)가 비명에 떠난 부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위한 원찰(願刹)로 세운 용주사가 있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널리 읽히는 부모은중경의 대부분이 바로 이곳 용주사 판(版)이라는 것도 효의 결정체로써의 이 절의 성가(聲價)를 높이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더군다나 이 절의 대웅전에 모셔진 삼계여래탱화가 전에 단원 김홍도 탄신 250주년 기념전에서 감상한 작품이어서 더욱 반가웠으며, 그림에 쓰인 서양화법이 정조의 영도 아래 실학의 물결이 넘실대던 당시 시대상의 훌륭한 반영임을 비로소 알 수 있어서 기뻤다.

 이 곳을 떠나니 우리나라 최대의 비구니 강원이라는 청도 운문사가 있었다. 흔히 '사연 있는 여자' 정도로 생각하는 여승들도 교과 과정부터 심지어는 방학에 이르기까지 일반 학생들과 다름없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 곳에서 무엇보다도 절실하게 느낀 점은 관점의 차이였다. 바로 유홍준 교수가 생각 난 탓이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운문사의 새벽 예불을 절찬한 바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에 대해서 일절 언급이 없었다. 일순 서운했으나 그 후 생각한 것은 제도권과 비(非) 제도권이라는 두 학자의 근본적인 성향 차이였다. 유 교수는 대게 비 제도권 쪽의 입장에 있었고, 사찰 답사에 있어서도 제도권에서 확립한 정형화된 지식과 풍경보다는 그들이 지나친 유물과 경관을 자신의 축으로 삼았다. 반면 지은이는 제도권, 곧 그동안의 전통에 충실했으며, 그 자신이 바로 새로운 전통이었다. 다르게 생각한다면 유 교수는 그 자신이 이야기했듯이 불교에 관심이 없었으나 지은이는 그에 통달한 이였다. 그래서인지 절을 볼 때도 유 교수는 그 아름다움을 보다 폭넓은 시야로써 찾았고, 지은이는 오직 그 절 자체에서 찾았다. 누가 낫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배우는 이로써는 그 두 가지 모두를 배우고 갖추기 위해서 애쓰며, 배우는 것을 즐길 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4-05-13 16:37   좋아요 0 | URL
종교를 떠나 사찰은, 왠지 모를 맘의 더께를 덜고 싶을 때 발걸음하고 싶은 곳이죠.
그냥 사찰에 들러 풍경 소리에 귀기울이고 , 스님들의 예불 소리에 숙연해 지고, 불당에서 퍼져오는 은은한 향내에 취해 보고, 그리고 탱화가 주는 흡입력에 잠시 이 세상이 아닌 곳에 와 있다는 느낌을 안고 오는 것만으로도 족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사찰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사찰에 들렀을 땐 또 다른 차원의 세계를 만나게 되리라 확신합니다.
불교 사상과 미술에 관심이 있어서인지...님의 리뷰, 더 반갑고 유익하네요. 유홍준 교수의 집필관과 저자의 그것을 비교 분석하신 점..리뷰의 백미같아구요. 잘 읽고 갑니다.

2004-05-13 16: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