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하르트 로제,루터 입문, 박일영 옮김, 복 있는 사람, 2019(4).

 

보른캄은 그의 간략한 연구,루터의 신약성경 번역 양식 Die Vorlagen zu Luthers Übersetzung des Neuen Testaments1947을 통하여, 성경 원문,불가타 성경 Vulgata, 그리고 특히 에라스뮈스가 편집한 신약성경에 대한 루터의 번역의 관계를 해명하려고 했다.(236)

 

보른캄은 그의 간략한 연구,루터의 신약성경 번역 저본들 Die Vorlagen zu Luthers Übersetzung des Neuen Testaments1947을 통하여, 성경 원문,불가타 성경 Vulgata, 그리고 특히 에라스뮈스가 편집한 신약성경에 대한 루터의 번역의 관계를 해명하려고 했다.

 

독일어 원문: H. Bornkamm hat in seiner knappen Studie „Die Vorlagen zu Luthers Übersetzung des Neuen Testaments“ (1947) Luthers Übersetzung in ihrer Beziehung zum Urtext, zur Vulgata sowie besonders auch zu Erasmus zu würdigen gesucht.

 

Vorlage = 저본(底本)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른하르트 로제,루터 입문, 박일영 옮김, 복 있는 사람, 2019(4).

 

그의 모든 사상과 마찬가지로 그의 역사 해석도 수많은 신학적 주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몇 가지만 열거해 보면, 역사와 계시,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의 행동, 역사 속에서의 고난과 십자가, 우리의 통제를 넘어선 사건들의 필연성 및 인간의 계획과 행동의 한계, 역사의 의미와 목적, 역사 속에서의 개인의 위치 등이다.(379)

 

그의 모든 사상과 마찬가지로 그의 역사 해석도 수많은 신학적 주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몇 가지만 열거해 보면, 역사와 계시,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의 행동, 역사의 의미에 대한 질문, 역사 속에서의 고난과 십자가, 인간적 계획과 행동의 필연성과 한계, 역사의 목적, 역사 속에서의 개인의 위치 등이다.

 

독일어 원문: Auch hier ist es wieder so, daß die Geschichtsdeutung eng zusammenhängt mit zahlreichen Themen in Luthers Theologie. Um nur einige von diesen zu nennen: Geschichte und Offenbarung; das Handeln Gottes in der Geschichte; die Frage nach dem Sinn der Geschichte; Anfechtung und Kreuz in der Geschichte; Notwendigkeit und Grenze menschlichen Planens und Handelns; das Ziel der Geschichte; die Stellung des Einzelnen in der Geschichte.

 

Geschichte und Offenbarung; das Handeln Gottes in der Geschichte; die Frage nach dem Sinn der Geschichte; Anfechtung und Kreuz in der Geschichte; Notwendigkeit und Grenze menschlichen Planens und Handelns; das Ziel der Geschichte; die Stellung des Einzelnen in der Geschichte

 

= 역사와 계시,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의 행동, 역사의 의미에 대한 질문, 역사 속에서의 고난과 십자가, 인간적 계획과 행동의 필연성과 한계, 역사의 목적, 역사 속에서의 개인의 위치

 

삭제할 것:

 

우리의 통제를 넘어선 사건들의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른하르트 로제,루터 입문, 박일영 옮김, 복 있는 사람, 2019(4).

 

두 저술은 루터 사상의 구체성(마귀나 하나님의 개입, 루터의 자기 이미지 )에 대한 생생한 인상을 준다.(386)

 

두 저술은 루터 사상의 구체성(마귀나 하나님의 개입, 루터의 자기 이해 )에 대한 생생한 인상을 준다.

 

독일어 원문: Bei ihrer Lektüre erhält man auch einen lebendigen Eindruck von der Konkretheit von Luthers Denken (Enigreifen Satans bzw. Gottes; Luthers Selbstverständnis usw.).

 

Selbstverständnis = 자기 이해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른하르트 로제,루터 입문, 박일영 옮김, 복 있는 사람, 2019(4).

 

루터가 국가에 자율성을 부여했다고 비판하고자 한다면, 세속적인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이성이 의심할 바 없이 최고의 권위라고 주장한 루터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373)

 

루터가 국가에 독립성 부여했다고 비판하고자 한다면, 세속적인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이성이 의심할 바 없이 최고의 권위라고 주장한 루터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독일어 원문; Wenn Luthers Auffassung von der Eigenständigkeit des Staates kritisiert werden soll, so könnte das billigerweise nur dann zu Recht geschehen, wennzugleich seine Ansicht abgelehnt wird, daß die Vernuft schlechterdings die höchste Autorität für die Behandlung und Regelung irdischer Fragen ist.

 

Eigenständigkeit = 독립성

 

중요 개념이므로, 앞 부분 371쪽의 번역어와 일치시킬 것:

 

제베르크의 판단은, 칼뱅주의와 비교해 볼 때 루터주의의 토대에서는 율법주의”Gesetzlichkeit가 훨씬 약하다는 점에서 틀리지 않다. 제대로 이해하자면, “율법주의가 아닌 자율성”Eigengesetzlichkeit이라는 단어를 쓰는 게 맞을 것이다. 그러나 1945년 이후의 논의에서 밝혀 온 대로, “자율성보다는 독립성”Eigenständigkeit이라는 말이 더 적절한 것이다.(수정보완 인용)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른하르트 로제,루터 입문, 박일영 옮김, 복 있는 사람, 2019(4).

 

두흐로프는 [...] 두 왕국론의 전승사와 아울러 초기 루터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1520년대 중반 이후 루터가 취한 입장과 19세기와 20세기의 신학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고, 그 대신 두 왕국론을 거의 자신의 관념론에 상응시켜 해석하였다.(374-375)

 

두흐로프는 [...] 두 왕국론의 전승사와 아울러 초기 루터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1520년대 중반 이후 루터가 취한 입장과 19세기와 20세기의 신학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고, 그 대신 두 왕국론을 거의 관념론에 상응시켜 해석하였다.

 

독일어 원문: Während Duchrow [...] selbst die Traditionsgeschichte dieses Topos untersucht und auch noch den jungen Luther berücksichtigt hat, ist teils für den Luther seit der Mitte der 20er Jahre des 16. Jahrhunderts, teils aber für die Theologie des 19. und 20. Jahrhunderts die Untersuchung der weiteren Traditionsgeschichte zurückgetreten zugunsten einer fast ideologidchen Verwendung des Begriffs der Zwei-Reiche-Lehre.

 

zugunsten einer fast ideologidchen Verwendung des Begriffs der Zwei-Reiche-Lehre

 

= 두 왕국론이라는 개념을 거의 이념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삭제할 것:

 

자신의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