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그림 동화 2, 전영애·김남희 옮김, 민음사, 2023(12).

 

농부 아낙은 마침 작은 누이의 유모였어서 그게 누구인지 금방 짐작하고 함께 마녀에게 갔다. 그러자 마녀가 어린 양과 어린 물고기에게 축복의 말을 해 주었고, 둘은 사람의 모습을 되찾았다.(426)

 

농부 아낙은 마침 작은 누이의 유모였어서 그게 누구인지 금방 짐작하고 함께 어떤 지혜로운 여자에게 갔다. 그러자 그 지혜로운 여자가 어린 양과 어린 물고기에게 축복의 말을 해 주었고, 둘은 사람의 모습을 되찾았다.

 

독일어 원문: Die Bäuerin war aber gerade die Amme von dem Schwesterchen gewesen, vermutete gleich, wer’s sein würde, und ging mit ihm zu einer weisen Frau. Da sprach die weise Frau einen Segen über das Lämmchen und Fischchen, wovon sie ihre menschliche Gestalt wiederbekamen, [...].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그림 동화 2, 전영애·김남희 옮김, 민음사, 2023(12).

 

그런데 교회 집사가 제단 뒤에 서서 이 소리를 듣다 쉰 목소리로 소리쳤다. “너는 남편을 못 얻어, 너는 남편을 못 얻어!”(420)

 

그런데 성당지기 제단 뒤에 서서 이 소리를 듣다 쉰 목소리로 소리쳤다. “너는 남편을 못 얻어, 너는 남편을 못 얻어!”

 

Der Küster stand aber hinter dem Altar und hörte das, da rief er mit seiner krächzenden Stimme: »Du kriegst ihn nicht! Du kriegst ihn nicht!«

 

번역을 바로잡았다.

 

문맥에 맞게 가톨릭 또는 개신교 용어를 사용할 것:


Küster = (여기서는) 성당지기

 

https://www.dwds.de/wb/K%C3%BCster

 

https://de.wikipedia.org/wiki/K%C3%BCst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그림 동화 2, 전영애·김남희 옮김, 민음사, 2023(12).

 

419, 각주 20

 

성 안나는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다. 큰 의미 없는 산 이름인 헨넨(Hennen)’안나와 운이 맞게 변형했다.

 

성 안나는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다.

 

두 번째 문장은 삭제할 것.

 

헨넨(Hennen)’힌넨(Hinnen)의 오기(誤記)은 산 이름이 아닌 성() 이름.

 

https://entdecke.dein-nrw.de/de/dein-nrw/streaming/detail/POI/p_100038773/hinnenburg-bei-brake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그림 동화 2, 전영애·김남희 옮김, 민음사, 2023(12).

 

어떤 브라켈 출신 소녀가 힌나부르크 기슭의 성 안나 예배당에 갔다.(419)

 

어떤 브라켈 출신 소녀가 힌넨부르크 성() 아래에 있는 성 안나 예배당에 갔다.

 

Es ging einmal ein Mädchen von Brakel nach der St.-Annen-Kapelle unterhalb der Hinnenburg, [...].

 

() 이름과 번역을 바로잡았다.

 

 

• 독일 브라켈 ()의 <그림 동화> 관련 사이트를 참고할 것:

 

https://www.brakel.de/Freizeit-G%C3%A4ste/Kultur/M%C3%A4ken-von-Brakel/

 

https://pr-brakel.de/glaubensorte/kirchen-und-kapellen/annenkapel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그림 동화 2, 전영애·김남희 옮김, 민음사, 2023(12).

 

417, 각주 18

 

독일 북부 사투리인 자우어란트어로 적힌 이야기다.

 

독일 중서부 사투리인 자우어란트어로 적힌 이야기다.

 

각주를 바로잡았다.

 

 

아래, 자우어란트Sauerland의 위치를 볼 것:

 

https://de.wikipedia.org/wiki/Sauerla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