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정교회 황금 지붕

 

사비나를 만난 후, 프란츠는 기분이 좋아졌다. 프란츠는 공원에서 제네바 풍경을 바라본다.

 

"[...] 저 먼 곳 너머로 정교회 성당의 원형 지붕이 아른거리며 공중에 떠 있는 듯했다. 황금 총알 같은 교회 지붕은 과녁을 때리기 직전, 눈에 보이지 않는 에게 붙들려 공중에 멈춘 것 같았다."(147)

 

"[...] 저 먼 곳 너머로 정교회 성당의 원형 지붕이 아른거리며 공중에 떠 있는 듯했다. 황금 포탄 같은 교회 지붕은 과녁을 때리기 직전, 눈에 보이지 않는 에게 붙들려 공중에 멈춘 것 같았다."

 

프랑스어 원문:

 

des boulets d’or = 황금 포탄

 

une force invisible =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번역문은, 원문과 대조하지 않으면, 작가의 진의를 감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칭대명사

 

1. 카레닌의 크루아상

 

테레자는 아침마다 애완견 카레닌과 먹을거리를 사온다.

 

테레자는 개에게 목줄을 매고 장을 보러나간다. 그녀는 우유, , 버터를 사고 여느 때와 다름없이 토마시를 위해 크루아상 하나를 산다. 돌아오는 길에 카레닌은 크루아상을 물고 그녀 곁에서 타박타박 따라온다.”(214)

 

이 크루아상의 주인은 토마시가 아니라 카레닌이다.

 

테레자는 개에게 목줄을 매고 장을 보러나간다. 그녀는 우유, , 버터를 사고 여느 때와 다름없이 카레닌을 위해 크루아상 하나를 산다. 돌아오는 길에 카레닌은 크루아상을 물고 그녀 곁에서 타박타박 따라온다.”

 

프랑스어 원문: un croissant pour lui

 

이는, 인칭대명사 lui를 카레닌이 아닌, 토마시로 읽었기 때문이다.

 

다음 두 번역문을 참고할 것.

 

카레닌이 병이 나 움직일 수 없게 되자, 테레자는 빵을 사러 혼자 갔다. 카레닌을 위한 크루아상 하나를 이미 준비해 두었던 빵집 여주인은 <카레닌은 어디 있어요?>하고 물었다.”(473, 문장부호 수정 인용)

 

카레닌이 개가 아니라 인간이었다면 틀림없이 테레자에게 오래전에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이봐 매일같이 입에 크루아상을 물고 다니는 게 이제 재미없어. 이제 뭔가 다른 것을 찾아 줄 수 있겠어?”(483)

 

2. 그의 깨달음

 

토마시는 카레닌을 테레자에게 가져다준다. 테라자의 고통을 덜어줄 심산으로.

 

그러나 카레닌의 도움에도 그는 그녀를 행복하게 해 줄 수 없었다. 그녀는 이 사실을 소련 탱크가 전국을 점령하고 열흘이 지난 후에 까달았다.”(44-45)

 

그러나 카레닌의 도움에도 그는 그녀를 행복하게 해 줄 수 없었다. 는 이 사실을 소련 탱크가 전국을 점령하고 열흘이 지난 후에 깨달았다.”

 

프랑스어 원문: Il le comprit [...].

 

남성 인칭대명사 il, 여성 elle로 잘못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병명(病名)

 

1. 64: 편도선 뇌막염

 

토마시가 테레자를 만난 것은 몇 개의 우연이 겹친 결과다.

 

칠 년 전 테레자가 살던 도시의 병원에 우연히 치료하기 힘든 편도선 환자가 발생했고, 토마시가 일하던 병원의 과장이 급히 호출되었다. 그런데 우연히 과장은 좌골 신경통 때문에 꼼짝도 할 수 없었다. 그는 자기 대신 토마시를 시골 마을에 보냈던 것이다.”(64)

 

프랑스어 원문: méningite = 뇌막염

참고로, 편도선 = amygdale

 

칠 년 전 테레자가 살던 도시의 병원에 우연히 치료하기 힘든 뇌막염 환자가 발생했고, 토마시가 일하던 병원의 과장이 급히 호출되었다. 그런데 우연히 과장은 좌골 신경통 때문에 꼼짝도 할 수 없었다. 그는 자기 대신 토마시를 그 지방 병원에 보냈던 것이다.”

 

2. 314: 외과 과장의 관절염 외과 과장의 좌골 신경통

 

아울러, 312쪽과 353쪽 외과 과장의 좌골신경통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20여 년 전 밀란 쿤데라의 문학(1997, 민음사)을 번역했다.

그때 쿤데라의 한국어 번역본들을 살펴보았다.

꽤 오역이 많았다.

이를 정리해 한 인터넷 사이트에 발표했다.

http://web.archive.org/web/20030604180402/http://bookmesse.com/serien/jingon/jingon-index.htm

 

3년 전, 15권의 <밀란 쿤데라 전집>(2013, 민음사)이 완간되었다.

20여 년 전 오역이 어떻게 수정되었는가, 다시 살펴보았다.

수정된 오역도 있다.

하지만 아직도 꽤 많은 오역이 그대로 있다.

 

2

완벽한 번역자는 없다.

번역자는 '한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순간적인 착독(錯讀).

언어적, 어학적, 문법적 오독으로 인한 오역.

문화적, 전문적 지식의 부재로 인한 오역.

옮겨 쓰는 과정의 오류 등등.

 

이를 바로잡는 게 출판사의 편집자다.

완벽에 가까운 번역은 꼼꼼한 편집자의 손에 달렸다.

이는, 지금까지 번역서 읽기의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