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

 

잘 알다시피 루터는 그의 소교리문답에서 일용할 양식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음식, 음료, 의복, 신발, , 마당, 농장, 가축, , 물건, 경건한 아내, 경건한 자녀, 경건한 친구, 경건하고 신실한 상전, 좋은 정부, 좋은(너무 덥거나 춥지 않은) 날씨, 건강, 결혼, 좋은 친구, 신실한 이웃.(162)

 

잘 알다시피 루터는 그의 소교리문답에서 일용할 양식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음식, 음료, 의복, 신발, , 마당, 농장, 가축, , 물건, 경건한 아내, 경건한 자녀, 경건한 , 경건하고 신실한 상전, 좋은 정부, 좋은(너무 덥거나 춥지 않은) 날씨, 건강, 결혼, 좋은 친구, 신실한 이웃.

 

독일어 원문: So erklärt Luther bekanntlich in seinem Kleinen Katechismus den Sinn des Wortes «Brot»: Essen, Trinken, Kleider, Schuh, Haus, Hof, Äcker, Vieh, Geld, Gut, fromm Gemahl, fromme Kinder, fromm Gesinde, fromme und getreue Oberherren, gut Regiment, gut Wetter (nicht zu heiß und nicht zu kalt!), Gesundheit, Ehre, gute Freunde, getreue Nachbarn.

 

번역을 바로잡았다.

 

Gesinde = , 하인

 

https://www.dwds.de/wb/Gesinde

 

https://fwb-online.de/lemma/gesinde.s.0m?q=Gesinde&page=1

 

 

아래, 루터 성경(1545)창세기 26:14을 볼 것:

 

das er viel guts hatte an kleinem vnd grossem vieh / vnd ein gros Gesinde. Darumb neideten jn die Philister /

 

그는 양떼와 소떼와 많은 종들을 거느리게 되어 불레셋 사람들의 시기를 사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

 

나중의 세 가지 기도문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매우 실제적으로 우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행복과 안녕, 우리의 육체적이고 정신적이고 영적인 구원을 다룹니다.(151)

 

나중의 세 가지 기도문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매우 실제적으로 우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행복과 안녕, 우리의 육체적이고 영적이고 천상적 구원을 다룹니다.

 

독일어 원문: Die drei letzten Bitten betreffen uns direkt und sehr real. Es handelt sich da um unseren Wohlstand, unser Wohlergehen, unser leibliches sowie unser geistliches und himmlisches Heil.

 

번역을 바로잡았다.

 

geistlich = 종교적, 영적

 

정신적’ = geistig

 

himmlisch = 천상의, 신적인

 

 

위 바르트(K. Barth)의 글Das Vaterunser에서 다른 geistlich의 용례를 볼 것:

 

영적 필요들:

 

Vielleicht ist dies das Zeichen einer Krankheit in der Kirche, wenn Fragen wie diese auf tauchen können: Wie soll ich in meinem Kämmerlein für meine geistlichen Bedürfnisse beten? Und die Kirche ihrerseits, wie soll sie beten? Und man fängt an, ein Sonderinteresse an dem Gebet in der Kirche, an der „liturgischen Frage“ zu hegen! Ist da nicht ein Anzeichen von Krankheit?

 

영적 약함:

 

Für die Reformatoren gibt es keine „liturgische Frage“; man betet in der Kirche und man betet im Haus. Ihre Hauptbeschäftigung ist nicht, zwischen dem privaten Gebet und dem gemeinschaftlichen Gebet eine Unterscheidung zu machen. Was sie interessiert, ist die Notwendigkeit, zu beten und recht zu beten. Das möchte vielleicht ein Wink zur Zurückhaltung sein. Sobald man zweitrangige Dinge zu sehr betont, ist dies das Zeichen einer gewissen geistlichen Schwäch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

 

다만 이와 같은 감사의 시편을 노래한 사람은 유감스럽게도 그가 아니라 시편 작가입니다. 시편 작가가 이 노래를 짓고 부른 것은그도 당연히 하나님의 은혜를 노래하지만, 체념과 행동 속에서 그리합니다!전적으로 하나님의 놀라운 업적을 널리 알리려는 목적 때문입니다.(131)

 

다만 이와 같은 감사의 시편이 노래하는 것은 유감스럽게도 시편 작가 자신입니다. 시편 작가가 이 노래를 짓고 부른 것은그도 당연히 하나님의 은혜를 노래하지만, 그것은 표면적일 뿐 실상 자신의 금욕과 행위를 노래합니다!전적으로 하나님의 주의를 자신의 놀라운 업적으로 돌리려는 목적 때문입니다.

 

독일어 원문: Nur daß dieser Dankpsalm eben leider doch ganz und gar von dem Psalmsänger selbst natürlich unter dem Vorzeichen der Gnade Gottes, aber von ihm, von seinen löblichen Unterlassungen und Taten! handelt und offenbar zu dem Zweck gesungen wird, Gott auf dieses sein so herrlich gelungenes Werk gebührend aufmerksam zu machen.

 

번역을 바로잡았다.

 

nur daß dieser Dankpsalm eben leider doch ganz und gar von dem Psalmsänger selbst handelt

 

= 이 감사 시편은 바로 유감스럽게도 하지만 전적으로 시편 작가 자신을 다룰 뿐이다

 

[nur daß dieser Dankpsalm] zu dem Zweck gesungen wird,

 

= 이 감사 시편은 이 목적으로 불려질 뿐이다

 

Gott auf dieses sein so herrlich gelungenes Werk gebührend aufmerksam zu machen

 

= 하나님에게 이 자신의 이토록 훌륭하게 성취한 업적에 지당한 주의를 환기시키려고

 

natürlich unter dem Vorzeichen der Gnade Gottes, aber von ihm, von seinen löblichen Unterlassungen und Taten [handelt]!

 

= 물론 하나님의 은혜를 내세우면서, 그러나 자신을, 자신의 칭찬할 만한 포기들과 행위들을 (다룬다)!

 

 

감사 시편’ = ‘바리새파 사람의 기도’ = 누가복음 18장을 볼 것:

 

11 바리새파 사람이 서서 속으로 이렇게 기도드렸어요. ‘하나님, 제가 다른 사람들과 같지 않은 것을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억지로 빼앗아 가는 사람들, 불의한 사람들, 바람피우는 사람들과 같지 않습니다. 이 세금업자하고도요.

12 저는 한 주에 두 번 금식합니다. 제가 벌어들이는 것은 뭐든지 다, 10분의 1을 바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

 

그러므로 두 번째 문장에서 내가라는 말은 확실히 교회의 동반자, 방관자를 뜻하거나 교회의 조력자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두 문장은 마태가 인용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으로서 예수님이 제자들을 파송하시면서 주신 명령을 상기시킵니다. 그래서 두 문장은 예수님의 명령 어떻게 수행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줍니다. 이제 시작되는 중간시기 동안에 예수님은 교회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교회와 함께하시기를 원하시며, 그렇게 하실 것이라는 말입니다.(125)

 

그러므로 두 번째 문장에서 내가라는 말은 확실히 교회의 동반자, 방관자를 뜻하거나 교회의 조력자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문장은 마태가 인용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으로서 예수님이 제자들을 파송하시면서 주신 명령을 상기시킵니다. 그래서 두 번째 문장은 예수님의 명령 어떻게 수행 것인지를 분명히 밝혀줍니다. 이제 시작되는 중간시기 동안에 예수님은 교회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교회와 함께하시기를 원하시며, 그렇게 하실 것이라는 말입니다.

 

독일어 원문: Und so kann «Ich» in der zweiten Stelle sicher nicht nur einen Begleiter, Zuschauer und gelegentichen Beistand ihrer Gemeinschaft bezeichnen, blickt sie doch als letztes vom Evangelisten angeführtes Wort Jesu zurück auf seinen den Jüngern gegebenen Befehl ihrer Sendung: offenbar um hervorzuheben, wie es zu dessen Ausführung kommen wird: indem nämlich Jesus selbst seiner Gemeinde in der ganzen nun anhebenden Zwischenzeit nicht fern, sondern unmittelbar gegenwärtig sein will und wird.

 

번역을 바로잡았다.

 

blickt sie[=die zweite Stelle] [...] zurück auf seinen [...] Befehl

 

= 두 번째 문장은 그의 명령을 회상한다

 

 

두 번째 문장 = 마태복음 28:20

 

Denn siehe, ich bin bei euch alle Tage bis an der Welt Ende.

 

보라, 바로 내가 너희와 함께 있다. 날마다, 세상이 끝날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하르트 그루노브 엮음,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0(초판 2).

 

그분은 오직 이 한 가지 의무에만 순종하셨습니다. 물론 임의로 순종하지 않으셨으며, 그 누구의 충동과 강요도 받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위엄이 넘치는 모습으로 왕래하고, 꾸짖고, 가르치셨습니다.(124)

 

그분은 오직 이 한 가지 의무에만 순종하셨습니다. 물론 임의로 순종하지 않으셨으며, 그 누구의 충동과 강요도 받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위엄이 넘치는 모습으로 왕래하고, 자유롭게 행하셨습니다.

 

독일어 원문: Diesem einen Müssen unterworfen und also nicht willkürlich, aber auch von nirgendswoher gedrungen und gezwungen, sah man ihn überlegen kommen und gehen, schalten und walten, [...].

 

번역을 바로잡았다.

 

schalten = 처리하다, 다루다

 

꾸짖다’ = schelten

 

 

독일어 숙어(熟語):

 

schalten und walten = nach eigenem Belieben verfahren

 

= 마음대로 처리하다

 

https://www.duden.de/rechtschreibung/schalt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