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84, 각주 39

 

이 텍스트 분석은 P. Lampe, Die stadtrömischen Christen(2.8.1을 보라.) 람페는 도미틸라를 그리스도인으로, 플라비우스 클레멘스는 도미티아누스의 후계자라는 이유로(참조. Suet, Dom 15, 1.) 처형당했다고 본다.

 

이 텍스트 분석은 P. Lampe, Die stadtrömischen Christen(2.8.1을 보라.) 람페는 도미틸라를 그리스도인으로, 플라비우스 클레멘스는 도미티아누스의 잠재적 후계자의 부친이라는 이유로(참조. Suet, Dom 15, 1.) 처형당했다고 본다.

 

독일어 원문: Zur Analyse des Textes vgl. P. Lampe, Die stadtrömischen Christen (s. o. 2.8.1), 166172. Er sieht nur in Domitilla eine Christin, Flavius Clemens sei hingegen als Vater möglicher Nachfolger Domitians (vgl. Suet, Dom 15, 1) hingerichtet wor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아래, 수에토니우스의 참조문(參照文)을 볼 것:

 

C. Suetonius Tranquillus, Die Kaiserviten = De vita Caesarum. Berühmte Männer. Lateinisch-deutsch, Hrsg. und übers. von Hans Martinet, Düsseldorf 1997, 915, 9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기원후 95년에는 사촌 플라비우스 클레멘스(Flavius Clemens)를 처형하고 아내 플라비아 도미틸라(Flavia Domitilla)를 추방했다. 그녀는 그리스도인이었을 것이다.(883-884)

 

기원후 95년에는 사촌 플라비우스 클레멘스(Flavius Clemens)를 처형하고 그의 아내 플라비아 도미틸라(Flavia Domitilla)를 추방했다. 그들은 그리스도인이었을 것이다.

 

독일어 원문: [Er] veranlasste 95 n. Chr. die Hinrichtung seines Vetters T. Flavius Clemens und die Verbannung dessen Frau Flavia Domitilla, die wahrscheinlich Christen waren.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82, 각주 32

 

W. Bousset, Offb, 386은 요한계시록 14:11에서 계시록의 경향성을 명시적으로 언급한다. “그것은 황제 숭배에 반대하는 선전포고여야 한다.”

 

W. Bousset, Offb, 386은 요한계시록 14:9-11에서 계시록의 경향성을 명시적으로 언급한다. “그것은 황제 숭배에 반대하는 선전포고여야 한다.”

 

독일어 원문: W. Bousset, Offb, 386, vermerkt mit ausdrücklichem Bezug auf Kap. 14, 9-11 zur Tendenz der Apokalypse: „Sie will ein Kriegsmanifest gegen den Cäsarenkultus sein.“

 

누락 보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요한계시록 4:11에서 우리 주 하나님’(ὁ κύριος καὶ ὁ θες μν) 용법은 수에토니우스(Dom 13, 2)의 기록에 나오는 도미티아누스가 명령한 칭호였던 우리 주 하나님’(dominus et deus noster)과는 다르다.(880)

 

요한계시록 4:11에서 우리 주 하나님’(ὁ κύριος καὶ ὁ θες μν) 용법은 수에토니우스(Dom 13, 2)의 기록에 나오는 도미티아누스가 명령한 칭호였던 우리 주 하나님’(dominus et deus noster)에 대한 직접적인 대립에서 생겨났다.

 

독일어 원문: Die Wendung ὁ κύριος καὶ ὁ θες μν (‚Unser Herr und Gott‘) in Offb 4, 11 ist in direkter Antithese zu der nach Suet, Dom 13, 2, von Domitian geforderten Anrede ‚dominus et deus noster‘ gebildet (vgl. auch Offb 15, 4; 19, 10; 20, 4; 22, 9).

 

번역을 바로잡았다.

 

A ist in direkter Antithese zu B gebildet

 

= AB에 대한 직접적인 정반대에서 형성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요한계시록 6:6은 분명 도미티아누스가 명령을 내린 92년경을 가리킨다. 소아시아에서 포도원을 없애라는 도미티아누스의 법령은 시행되지는 않았다.(수에토니우스, Dom 7,2; 14,2)(880)

 

요한계시록 6:6은 분명 도미티아누스가 92년경에 내린 명령을 가리킨다. 속주들에서 포도원을 없애라는 도미티아누스의 법령은 시행되지는 않았다.(수에토니우스, Dom 7,2; 14,2)

 

독일어 원문: Offb 6,6 bezieht sich offensichtlich auf den um 92 n. Chr. von Domitian angeordneten und dann nicht durchgeführten Erlass (Suet, Dom 7, 2; 14, 2), in den Provinzen die Weinberge zu zerstören.

 

번역을 바로잡았다.

 

Offb 6,6 bezieht sich offensichtlich auf den [...] Erlass

 

= 요한계시록 6:6은 명백하게 칙령을 가리킨다

 

Provinz = 속주(屬州)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