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판
57쇄).
“그런데 연구자들이 자주 시험해 본
바로는,
이 나방들
중에 암컷이 하나 있으면 밤에 이 암컷에게로 수나방들이 날아오는데,
그것도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오는 거야,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 그건 일종의 후각이거나 아니면
그런 무엇일거야.
[...] 이 나방들에게서 암컷이 수컷처럼
흔했더라면,
수컷들의
코는 그렇게 예민해지지는 못했을
거라고 말야.
수컷들에게
그런 예민한 코가 있는 것은
다만,
스스로를
그렇게 조련시켰기 때문인 거야.”(75쪽,
부분삭제
인용)
→ “그런데 연구자들이 자주 시험해 본
바로는,
이 나방들
중에 암컷이 하나 있으면 밤에 이 암컷에게로 수나방들이 날아오는데,
그것도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오는 거야,
여러 시간
떨어진 곳에서!
[...] 그건 일종의 후각이거나 아니면
그런 무엇일거야.
[...] 이 나방들에게서 암컷이 수컷처럼
흔했더라면,
수컷들의
후각은 그렇게 예민해지지는 못했을
거라고 말야.
수컷들에게
그런 예민한 후각이 있는 것은
다만,
스스로를
그렇게 조련시켰기 때문인 거야.”
독일어 원문:
Wenn du nun von diesen Nachtfaltern ein Weibchen hast -- es ist von
Naturforschern oft probiert worden -- so kommen in der Nacht zu diesem Weibchen
die männlichen Falter geflogen, und zwar stundenweit! Stundenweit, denke dir!
[...] Es muß eine Art Geruchssinn oder so etwas sein, [...] Nun sage ich aber:
Wären bei diesen Schmetterlingen die Weibchen so häufig wie die Männchen, so
hätten sie die feine Nase eben
nicht! Sie haben sie bloß, weil sie sich darauf dressiert haben.
• die
feine Nase = 예민한 후각
곤충의 경우,
Nase는
‘코’가 아니라 ‘후각’.
문맥과 상황에 맞게 어휘를 선별해 쓰는 게 번역/편집의 기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