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을 딛고 서는 힘


사람의 삶이라는 게 제멋대로 움직이는 동물의 삶 같지만,
실은 한자리에 꽂혀 한자리에서 늙어가는 식물의 삶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제 수명 다한 식물을 뽑아내다보면 흙 위에서 어떤 꽃을 피웠고 어떻게 시들었든 한결같이 넓고 깊은 흙을 움켜쥐고 있다. 바닥을 치고 딛는 힘이 강할수록 꽃도 열매도 실하다. 사는 게 어려울 때, 마음이 정체될 때, 옴짝달싹할 수 없게 이것이 내 삶의 바닥이다 싶을 때, 섣불리 솟구치지 않고 그바닥까지도 기어이 내 것으로 움켜쥐는 힘, 낮고 낮은 삶 사는 우리에게 부디 그런 힘이 있었으면 좋겠다. 182



*******


바닥을 치고 딛는 힘.
막장이 끝이 아니라 그곳이 새로운 시작이라는 걸 의식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뉴브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지음, 이승수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하는 바다로 가볍게, 조용히, 편안히 흘러간다. 이제 더는 운하도 경계도 레귤레이션도 없다. 강물은 자신을 활짝 열고 전 세계의 물과 대양에, 그 깊은 곳에 사는 피조물들에게 자신을 내맡길 뿐이다. 마린은 시에서 노래했다. ˝주여, 나의 죽음이 거대한 바다로 들어가는 강물의 흐름 같게 하소서.˝



이것이 끝은 아닐터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 돌아가시고난 후,
마당에 화사하거나 소박하게 피어나던 꽃들이 절로 피어난것이 아님을 깨달았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어느날 어머니마저 병원에 몇달 입원하신동안 더 많은 집안일들이 저절로 해결되는것이 아님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자꾸만 언젠가 어머니의 부재를 느끼게 될 날이 오리라는 생각은.
회피하고만싶지만. 그럴수록 더 함께하는 시간을 소중히 여겨야할텐데 오늘도 여지없이 피곤하다며 잠만자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출근해서 화분을 들여다보니 드디어 꽃받침이 맺혔다. 이제 노랗게 해바라기 피어날 것이다 생각하니 가슴이 떨렸다. 아버지에게 들고 가서 나도 이렇게 잘 키운 식물 있다고 자랑하고 싶은데, 이 세상에 계시지 않으니, 아버지가 밥상에 풋고추 따서 올려주던 것처럼 꽃봉오리 맺힌 날 무덤가에 올려놓으면 기뻐하시려나.
나이 먹어 처음 식물을 기르면서 그리움을 배운다. 해바라기를 다 키우고 나면 제대로 된 화분에 씨앗을 심어볼까. 조금 더 용기가 나면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베란다에 고추 모종을 심을지도 모른다. 마음에 그리운 것 있는 분들은 화분에 씨앗 한번 뿌려보면 어떨지. 어떤 그리움은 꽃으로 피어나기도 한다. 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살던 골목에는




이제 그 길은 없다. 나는 여전히 그 길 위에 살고 있지만,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길은 거미줄처럼 가늘게 얽히고 꼬인 길을 툭 터서 하나로 만든 길이다. 한 사람도 지나가기 어려웠던 길을 이제는 자가용 두어 대가 나란히 달리기도 한다. 공중변소앞에서 다리를 꼬고 줄 설 필요도 없다. 칸칸이 늘어선 방들이모두 층층이 올라가 아파트가 되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미로 같은 골목에서 길 한 번 잃지 않고 살았던 나는 눈 한 번 휘두르면 끝이 보이는 넓은 길에서 오히려 막막하다. 꿈마다 내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너무 좁아 담벼락이 어깨를 스치는바로 그 길이다. 걸을 때마다 길 위에서 길이 그리워 나는 더러 눈물이 나기도 한다. 42









어렸을 때는 눈이 내리면 마냥 신나고 즐겁더니 나이를 먹으면서는 마음이 애틋해진다. 그게 "괜찮다" 소리를 듣고 난 이후부터 생긴 감정인지는 잘 모르겠다. 어쨌거나 그 소리와 함께내 서른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누구도 듣지 못하는 소리를 비로소 들으면서, 내 삶도 한결 깊어졌다. 춥고 흐린 날, 그게 창밖의날씨는 내가 처한 인생이든 마음을 낮추면 세상 모든 만물은, 그 안에 깃든 마음은 다 괜찮아질 수 있다. 나는 우선 그것만으로도 고맙다. 6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2-06 0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훗날 문학 수업을 받으면서 ‘리얼리즘에 대해 배울 때, 나는반사적으로 이주홍의 못나도 울 엄마를 떠올렸다. 『나도 울엄마는 내게 리얼리즘을 가르쳐준 최초의 책이었다. 그리고 그책이 가르쳐준 의문은 지금도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다. 못나고 더럽고 가난하고 지저분한 얼굴로 나타나는 인생의 수많은 진짜 엄마를 나는 어떤 방식으로 껴안아야 할까. 몇번은 품었고, 몇 번은 모른 척 도망쳤던 것 같다. 작가로서도 고민은 남는다. 무엇을 쓸 것인가. 빛과 어둠, 무엇을 증명해야 할까. 어찌할 도리가 없는 삶들에 대해 쓸 때 어떻게 말해야 할까.
희망을 노래해야 하나. 희망을 조롱해야 하나, 인생은 비극이고, 인간은 그 비극을 통해 성장한다는 서사는 궁극의 비극일까, 아니면 희망일까. 나는 지금도 그 답을 잘 알지 못하겠다. 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