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 2 - 푸른 늑대
장룽 지음, 송하진 옮김 / 동방미디어 / 2006년 6월
품절


사람들도 늑대의 본성을 어느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만 성공한다고. 내가 늑대를 잡지 못하는 건 기술이 모자라서가 아니야. 담력이 부족해서 차마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지.

-13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2-22 2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랑 1 - 초원의 바람
장룽 지음, 송하진 옮김 / 동방미디어 / 2006년 6월
품절


몽골 초원에서는 풀과 초원이 가장 큰 생명체이고, 나머지는 전부 작은 생명체에 불과해. 작은 생명체들은 큰 생명체에 의지해야만 살아갈 수 있다. 늑대와 사람조차도 작은 생명체에 속하지. 그래서 풀을 먹어치우는 것은 고기를 잡아먹는 것보다 더 나쁜 해악이야. 너는 가젤이 가련하다고 하지만 그렇다면 혹시 풀은 가련하다고 생각하지 않느냐?
....
-78-79쪽

풀은 큰 생명체라고 하지만 그 일생은 가장 보잘것없고 고될 뿐이야. 누구든 그것을 밟을 수도 먹을 수도 깨물 수도 짓밟을수도 있지. 말의 오줌 한 번에 풀이 타 죽을 수도 있어. 풀은, 만일 모래밭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면 딱하게도 꽃도 피우지 못하고 종자도 열리지 않아. 초원에서 불쌍하기로 치자면 풀만큼 불쌍한 생명체가 없어. 몽골인들이 가장 불쌍하게 여기고 마음 아파하는 게 바로 풀과 초원이야. 살생이라고? 가젤무리가 필사적으로 풀밭을 물어뜯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살생이 아니냐? 초원의 큰 생명체를 죽이니 말이다. 초원의 큰 생명체를 죽이면 초원에 있는 작은 생명체들도 모두 죽게 된다! 가젤무리는 늑대떼보다도 두려운 재앙인거다. 초원에는 폭풍한설로 인한 백재나 가뭄이 들어 농작물이 시커멓게 타는 흑재만 있는 게 아니야. 누런 가젤로 인한 황재도 있지. 황재가 닥치면 그야말로 가젤이 사람의 목숨을 잡아 먹는거나 다를 바 없어!-79쪽

초원 민족이 지키려는 것은 큰 생명체다. 그래서 그들은 초원과 자연의 생명은 사람의 생명보다 더 소중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농경민족이 지키고자 하는 것은 작은 생명체다. 그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사람의 목숨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큰 생명체가 사라지면 작은 생명체도 전부 죽게 된다.
큰 생명체의 입장에서 본다면 농경민족은 대량으로 화전을 일구고 황무지를 개간하면서 초원과 자연의 큰 생명체를 파괴했고, 그럼으로써 인류라는 작은 생명체까지도 위협했다. 그들에게 있어 이보다 더 야만스러운 짓이 있었을까? 동서양을 막론하고 대지는 인류의 어머니라고들 말한다. 하지만 과연 어머니를 참혹하게 해치고도 문명이라고 할 수 있을까?-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기율표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장바구니담기


매우 용기있게 죽음을 기다리고 있던 그 며칠 동안 나는 모든 일을,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모든 인간적인 경험들을 하고 싶은,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픈 바람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조금밖에 그리고 그것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던 것 같은 지금까지의 내 삶을 저주했다. 시간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 같았고 1분 1초가 멈추지 않고 흘러나오는 피처럼 내 몸에서 빠져나가는 것 같았다. 물론 난 금을 찾을 것이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실험해보고 흙과 공기와 물을 다시 보고 싶어서다. 매일 더 깊어지는 심연이 흙과 공기와 물과 나를 갈라놓고 있다. 그리고 중요하고도 본질적인 그 형태, 바로 맥석에서 금속을 분리하는 기술인 사이데쿤스트를 통해 화학자로서 내 직업을 되찾아보고 싶었다.-202쪽

도라강뿐만 아니라 친구들을 모두 잃었다. 젊음과 기쁨 그리고 아마도 삶까지 모두 잃은 거겠지. 도라 강은 얼음이 뒤섞인 자신의 심장 속에 금을 싣고 옆으로 무심히 흘러갔다. 불안정하지만 너무나 자유로운 자신의 생활로, 금이 끝없이 흐르는 그 강물로, 영원히 이어질 나날들로 돌아갈 수 있는 그 정체불명의 죄소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가슴이 조여드는 것 같았다.-203쪽

나는 인간이 모두 영웅으로 태어나는 것은 아니며 모두가 그처럼 솔직하고 무방비 상태인 세상이라도 그러저럭 살아갈 만은 하리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런 세상은 비현실적이다. 현실 세계에는 무장한 이들이 존재했고 그들이 아우슈비츠를 만들었으며 솔직하고 무방비 상태인 사람들은 무장한 이들의 길을 닦아야 했다. 그러니까 아우슈비츠에 대해서는 모든 독일인이, 아니 모든 인간이 대답해만 한다. 아우슈비츠 이후에는 무방비로 있는다는 게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3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기율표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장바구니담기


뭔가를 하는 것보다 차라리 안 하는 게 낫고, 행동하는 것보다 관조하는 게 낫고, 인식할 수 없는 것의 문턱에 있는 자신의 천체물리학이 악취와 폭발, 시시하고 보잘것없는 비밀들이 뒤섞인 내 화학보다 낫다는 말을 하는 것 같았다. 나는 더 세속적이고 구체적인 또 하나의 도덕률을 생각했는데, 전투를 좋아하는 화학자라면 누구나 그에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거의 같은 것(나트륨과 칼륨은 거의 같다. 하지만 나트륨을 썼더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같은 것, 유사한 것, '혹은' 이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는 것, 대용품, 미봉책은 믿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차이는 아주 작을지 몰라도 결과는 엄청나게 다를 수 있다. 마치 철로의 선로변환기처럼 말이다. 화학자 일의 상당 부분은 바로 그러한 차이에 주의하고, 그것을 제대로 알고서 결과를 예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화학자에게만 해당하는 일은 아니다.-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세 번째 이야기
다이안 세터필드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07년 1월
구판절판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너무 소중하게 생각하는 나머지, 세상의 모든 것이 자신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다고 믿곤 하지. 태초에 아무것도 없었고, 그곳에 내가 태어났노라! 하는 식으로 말이야. 하지만 그렇지가 않아. 인간의 삶은 그보다 앞서 살아간 사람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네. 가족이란 마치 거미줄과 같은 것이지. 어느 한 곳을 만져도 다른 곳에 파장을 일으키지 않을 수가 없어. 전체를 이해하지 않으면 아무도 이해할 수 없다는 뜻이야....................
태어난 순간이 시작이 아니라네. 우리의 삶은 처음부터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니었어.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가 이어지는 것일 뿐이지. -86-87쪽

사람은 자신이 지니고 있는 끔찍한 고통에는 쉽게 익숙해지는 법이라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이는지를 종종 잊곤 하지.-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