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부터 언젠가 산티아고를 걷게 될 날이 오리라, 생각했었고 그 준비를 위해 체력단련과 기본적인 소통이 가능한 언어를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조금씩 체력이 안되는 것을 느끼고 - 사실 언어소통이 안되는 것이야 위기가 닥이면 만국공통인 손발몸짓 언어가 있으니 그건 차후의 문제라고 생각했었고 우선은 체력단련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몸 상태는 나날이 하향선을 타고 있어 산티아고는 포기..라는 생각을 할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가끔 생각나는 걸 보면 아직 완전히 포기는 아닌듯하다. 2022년을 보내며 새로운 한 해의 결심으로 체력을 키우는 것을 끼워놓고 싶은 것도 그런 이유일지도.
우연히 티비를 보다 인생에 한번쯤 킬리만자로를 보게 되었는데 킬리만자로의 생소한 풍경이 좋고 저 착하게 생겨먹은(!) 연예인들이 맘에 들어 계속 보게 되었는데 예전에는 그저 재미있다고 보던 이런 예능프로그램을 이제는 막 부럽다,라는 생각을 하며 보게 된다. 꽃보다 시리즈를 볼때는 나도 다음에 저곳에 가볼 수 있겠지,라는 기대감과 재미가 있었는데 킬리만자로 산행은 내가 쉽게 꿈꾸지는 못하겠다. 그랜드캐넌을 보고 싶기는 하지만 미국여행은 그닥 관심이 없는 것과는 또 다른.
아무튼 인생에 한번쯤,
나는 무엇을 이루고 싶을까 생각해보니. 굳이 이루지 못할 것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십여년 전 아씨시까지 갔지만 수바시오 산에서 늦게 내려오는 바람에 보지 못한 프란치스코성당내부의 조토 프레스코화를 보는 것 - 이건 아씨시에 다시 가보고 싶다는 뜻이다. 처음으로 어딘가에 가서 한달쯤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아씨시였는데.
스페인, 그리스, 튀르키에를 가보고 싶은 건 현실적으로 시간과 돈이 있으면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것 아닌가. 이제는 기회가 되면 무조건 떠나본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탈리아 소도시 여행도 그랬고 동유럽 여행도 준비된 조건은 아니었지만 저질러보는 마음으로 떠났었기에 지금은 그 추억을 가질 수 있었으니.
뛰는 것에 대한 로망도 그리 크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는데 수술후 운동을 위해 생태숲을 걸을 때 체력이 많이 회복되는 걸 느낄 때가 조금씩 걸음이 빨라지고 흙길이 지속될 때는 속도를 높여 뛰기도 했었는데 그때의 느낌이 너무 좋았다. 마라톤 완주는 생각하지 않지만 단축마라톤이라도 할 수 있다면.
퇴직하고 연금으로 여행을 다니는 선생님들을 보면 생활비외에 쓸 수 있는 여유자금이 부러웠는데 도움이 안되는 부러움은 버리고 내 경제적 여유가 되는만큼 노후설계를 해야지.
아무튼 인생에 한번쯤. 연말이 되니 내 마음을 점검해보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