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최근 무지 읽고 싶은 책이었는데 서평신청했다가 똑 떨어지고 이 두껍고 그만큼 비싸고 그렇지만 소장하고 싶은 책 두 권은 언제쯤이면 내 손에 들어오게 되려나..하고 있다. 붉은 지붕은 아무래도 볼로냐가 먼저 떠오르지만 피렌체 역시 뭐. 

피렌체에 가면 내 기필코 우피치에 들어가보리라, 했었지만 드넓은 미술관을 좋아라 할 사람은 나 뿐이고 걷기 힘든 어머니를 모시고 간다는 것은 더더구나 비추라면서 대산 산마르코수도원에 갔었다. 그때 전시된 필사책들도 봤는데 그냥 크기만 큰 것이 아니라 글과 그림이 어우러진 하나의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피렌체에 바로 못가지만 이렇게라도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탈리아 골목길 드로잉 산책,은 저 책탑아래 어딘가에 있는데 그 '어딘가'가 어딘지 확신할 수 없어서 바로 찾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일뿐.


이제 조금씩 위드코로나가 되어가면서 해외여행을 갈 계획을 세워보고 있다. 물론 첫번째로는 어머니 모시고 가 볼만한 료칸 온천 여행. 가족여행으로 컨설팅을 넣으려면 일단 돈을 좀 많이 모아야겠는데.


아무튼 일본이든 이탈리아든 - 얄밉게도 서로 친한 두 나라인데 왜 이 둘이... 뭐 어느곳인들 떠날수만 있다면 가보겠다마는 일본은 비자없이 가까워서 직항으로 쉽게 가볼수있는 곳이고, 이탈리아는 언제든 다시 가보고 싶은 곳이니 어쩔 수 없다. 더구나 아씨시의 성프란치스코 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못봤다는 핑계는, 내 세례명이 프란치스카라는 것 때문에 재속회원이 아니더라도 아씨시는 꼭 가봐야 할 곳이라는 것이 명제처럼 되어버렸으니.

지금 어디론가 떠날 수는 없고. 책으로라도 떠나봐야겠다. 이렇게라도 가고 싶은것일까 싶지만.





그리고 하나 더. 

반지 전쟁 특별판 북펀딩 소식에 이건 무조건! 하며 달려갔다가... 책값이 무려 이십삼만원.

물론 북펀딩에 굿즈도 포함된 것이라 하지만, 내가 돈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이건 안할란다. 

톨킨선생의 친필사인본이라면 사실 펀딩할만하다 생각하지만 이건 책이 아니라 사치품같다는 생각이...

하긴 요즘 그냥 책값도 왠만하면 사오만원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책값이 너무 싸다...라고 했었지만 그건 양장본의 이야기이고 페이퍼백도 덩달아 비싸지고 있으니 책을 마구 사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책사재기가 주춤해진 이유는 더이상 책을 쌓아놓을 공간이 없어서,가 가장 크다. 책을 사모은지 삼십여년이 되어가고 있으니 정리를 하지 않았다면 집이 무너졌을지도.


내가 죽으면 이 모든 것이 다 쓰레기가 되어버릴뿐인데...라고 생각하면 책 욕심이 사라지지만  읽고 싶은 책 실컷 읽기 위해 일하는 것이기도 한데...라는 생각을 하면 또 맘이 흔들리고.


그래도 나름의 위안인 건. 올해 급여 인상이 좀 많았고, 지난 달 이미 기부단체를 한곳 더 늘렸다는 것. 성당 다니면서 십일조를 지키는 것은 아니지만, 누가 들으면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뭐라 하겠지만, 굳이 성당에 십일조를 지키고 싶지는 않다. 급여인상에 주일금을 늘리는 대신 인권단체나 청소년센터에 조금 더 기부를 하는 것이 내게는 더 보람있는 일.

이야기가 산으로 가고 있다... ㅎ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리에르 2023-01-11 15: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랑 같이 응모했다가 같이 똑 떨어지신거 아니세요? ㅎㅎ 재미있을 것 같은데 안되면 안되는갑다 하고 가야죠. 세상은 넓고 책은 무한정인데..^^

chika 2023-01-11 17:57   좋아요 0 | URL
ㅎㅎ 세상은 넓고 책은 무한정...인 것과 같이 책욕심도 무한정 뻗어나가서 말이지요. ㅎ
서점이야기는 재미있을 것 같아서 여유있을 때 도서관찬스를 쓸까도 생각중입니다. 신청도서로 받아주시려나 싶지만;;;;

살리에르 2023-01-11 20: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피렌체 관련 두 책은 저도 욕심이 나서 열심히 응모했는데 다 떨어져버렸어요...ㅎㅎ
책욕심은 인정! 그런데 책보다는 굿즈 욕심이 더 크더라고 누가 카던데요....ㅎㅎ

chika 2023-01-11 22:24   좋아요 0 | URL
설마요... 그렇게 탐내던 어린왕자 에스프레소 잔, 회중시계도 제꼈고 대용량머그도 포기했습니다만?
미니멀과 맥시멈이 오락가락해서 일관성이 없을뿐이지요. ㅋㅋ
 

도서관은 저마다 크기와 형상이 달랐다. 심지어 서가에서 풍기는 냄새까지도 전부 달랐다. 오래된 도서관에선 묵은 책냄새가 났다. 시간의 흐름에 서서히 마모되어 가는 종이에서 나는 특유의 냄새였다. 백 년 이상된 고서에서 풍기는 냄새를 우디woody향이라고 했다. 실제 종이는 썩어가는 과정에서 바닐린, 벤즈알데하이드, 푸르푸랄 같은 화학물질이 만들어졌다. 우리가 헌책에서 바닐라, 아몬드, 단맛과 달콤한 빵 냄새를 맡게 되는 건 바로 이 때문이었다.
49, 도서관의 유령들,라이프가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 주문한 책은 이 한권, 남겨진 이름들.


이벤트 적립금을 주는대로 받아챙겨놓고 장바구니 책을 한 권씩 야금야금 꺼내어 집으로 들이고 있었는데 오늘은 뭔 생각인지 오랫만에 굿즈를 주문하려고 책을 골라넣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런데 말입니다. (티비를 너무 봐서 이런 말투는 이제 너무 자연스럽구나;;;)

굿즈에 맞추려고 책을 끼워넣는 고생을 좀 했는데 결제를 하려고보니 내가 사려고 한 굿즈가 안보인다. 이래도 되는건가, 싶지만.

1월 첫 굿즈라는데 일주일만에 안보여도 된단말인가.

아니, 생각해보니 칠기문양 토깽이컵은 품절,이라 떴지만 아직 작은아씨들 머그는 품절이라 뜨지 않았는데 왜 주문화면에 안뜨는 것인가. 

굿즈 주문하느라 어설프게 끝나는 환혼의 마지막회는 제대로 못봤는데 그래서인지 너무 어이없게 느껴진다는. 











읽을 책이 이렇게나 많이 있건만, 오늘의 원픽은 당연히 이 녀석이었다... 

라고 썼지만 거짓말이다. 이녀석은 아마도 일주일도 전부터 원픽이었을 것이다. 올 해 첫 구매책이 아니라 지난 해 마지막 구매책에 속했던 녀석이었을테니말이다. 책을 받고 바로 원픽이었으나 읽던 책을 마무리 하고 싶어서 미뤄두고 그 다음은 감기앓이로 책에 제대로 집중을 못했고 또 그다음은 마음이 급해져서. 그리고 오늘은.

피곤해서 충분히 잠을 자려고 자다깨다 했더니오전이 그대로 지나가고, 배추속 다듬다 보니 오후가 훅 지나가고 티비보다보니 이시간이 되도록 펼쳐들지 못했다. 에헤라디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3-01-09 00: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칠보 토끼컵은 진짜 눈에 확 띄더니 일치감치 품절이군요. 안타깝네요. 저는 눈 딱 감고 참았습니다. ㅎㅎ

chika 2023-01-09 00:21   좋아요 0 | URL
작은아씨들 머그가 오백오십밀리여서 맘에든데다가 전자렌지 사용가능이어서 저녁에 오트밀이라도 데워먹으려했드만 없네요. 아쉬운대로 데미안을 살까 하다가 뭐하러? 하는 생각에 적립금만 썼다지요. ㅎ
컵은 넘치게 많은데다 제가 물건을 또 오래써서리... 참게되긴하네요.
 

비극은 우리가 환경, 정신, 도덕 측면에서 매우 빈곤한 상태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과학자들은 호박벌이 축구를 배울 수 있으며 벌집에 있는 어린 벌을 돌보기 위해 잠을 자지 않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호박벌은 좋았던 경험과 나빴던 경험을 기억하는데, 이는 벌에게 자각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바이올린 딱정벌레는 놀랍게도 이름처럼 바이올린 같이 생겼다. 옆에서 보면 눈에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납작하기도 하다. 제왕나비는 아름답고 발을 통해서 꽃의 꿀을 맛볼 수 있다. 곤충이 전부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이렇게 경이로운 생명체들이 없어진다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미래에는 생물군이 대단히 단순화될 것입니다. 곤충이 존재하긴 하겠지만, 크고 독특한 것들은 죽어버렸을 겁니다. 우리 아이들은 작아진 세상에서 살게 되겠죠. 그것이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는 유산입니다.˝ 곤충학자 데이비드 와그너의 말이다. 3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곤충의 주요 가치는 인간의 이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수분 매개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거대한 국제 식량 생산 시스템은 기술의도움으로 최대한 다듬어지고 능률화되었다. 그래도 우리는 여전히 굶어죽지 않기 위해 별과 파리를 비롯해 크기가 작은 여러 수분 매개자에 의지한다. 곤충의 위기에 관한 문제 중 가장 무서운 것은 기아 문제다. 우리의 식량을 생산하는 생명체가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꽃이 피는 식물은 대부분 수분 매개자에 의지한다. 이때 말하는 수분 매개자는 주로 곤충을 뜻하지만 새와 박쥐도 해당된다. 새와 박쥐는 의도하지 않게 식물의 수술에서 암술로 수분을 옮겨 식물이 다음 세대를 위한 씨앗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밀, 쌀, 옥수수같이 인간이 주식으로 삼는 농작물은 바람이 수분 매개자의 역할을 대신한다. 하지만 아보카도, 블루베리, 체리, 자두, 라즈베리, 사과처럼 우리 식탁을 화려한 색으로 물들이는 식품은 전부 수분 매개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농작물의 3분의 1 이상이 곤충이 꾸준히 방문해야 무사히 자랄 수 있다. 미국 같은 몇몇 국가는 잘 관리한 꿀벌 집단에 크게 의지한다. 이 꿀벌들은 현대의 대규모 농업에 필요한 정도에 맞추어 수분 매개자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는 과일과 채소의원활한 생산이 야생 곤충의 역할에 달려 있다. 야생 곤충이 인간 활동 때문에 무참히 짓밟히는 것이 문제다.
기계화된 농업과 신속한 무역 회랑 덕택에 지구에 식량이 풍부해졌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말이다. 하지만 30년 안에 세계인구가 100억 명이나 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수분 매개자가 사라지면 식량 시스템이 붕괴할 위험에 놓인다.
116-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