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둥. 드디어 역사를 들여다 볼 시간.


What place has humanity allotted to this part of itself that has been defined in its core as Other? What rights have been conceded to it? How have men defined it?


인류는 그 중심에서 타자로 규정된 쪽에 어떤 자리를 할당했나? 어떤 권리를 내주었고, 어떻게 규정했나?


제도와 법률이 등장한 것은 유목민이 땅에 정착하고 농부가 되었을 때다.

It is when nomads settled the land and became farmers that institutions and law appeared.


하지만 많은 원시인은 출산에 아버지의 관여를 몰랐고,

아이의 출생에 어머니는 역할은 너무도 분명했다.

그래서! 공동체의 재산이 여자들에 의해 전해진 것. 

But many primitives are unaware of the father’s role in the procreation of children. The mother is clearly necessary for the birth of the child. So communal property is transmitted through women.


The land can thus be considered as mystically belonging to women: their hold on the soil and its fruits is both religious and legal. The tie that binds them is stronger than one of ownership; maternal right is characterized by a true assimilation of woman to the land.


땅은 그렇게 여성에 강력하게 묶여있었다. 


The earth is woman, and the woman is inhabited by the same obscure forces as the earth.


커지는 여성들의 위상에 따라 여신들이 등장한다. 아스타르테, 가이아, 레아, 키벨레, 이시스 등 풍요의 상징들이다. 


“여성의 관점에서 보면 브라만 시대는 리그베다 시대에 비해 퇴보했고, 리그베다 시대는 그 이전의 원시 시대보다 퇴보했다.”


예술적 관점에서 보면 신석기 예술은 구석기 예술보다 퇴보했다. 

<If women rose rooted> 읽으면서 켈틱 신화에서 전율했는데, 우리가 잃어버린 신화를 찾는 과정도 잃어버린 여성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아, 한참 신나게 읽다가 다른 책들에 정신이 팔려 끝을 내지 못했는데, 것도 한 자 한 자 점자책 읽듯 새기면서 다시 읽고 싶다.)



하지만 보 여사, 여성의 신화가 득세했던 것이 여성의 황금시대였던 것은 아니라고 선을 긋는다. 인간계 너머, 인간계 바깥에 존재했던 여성이었기에.


But in reality his golden age of Woman is only a myth. To say that woman was the Other is to say that a relationship of reciprocity between the sexes did not exist: whether Earth, Mother, or Goddess, she was never a peer for man; her power asserted itself beyond human rule: she was thus outside of this rule. Society has always been male; political power has always been in men’s hands.


모권에서 부권으로의 이행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명확하게 내용이 손에 잡히지는 않는다. 추가 확인이 필요할 듯.



역사편을 읽는 것은 고되다.

아랍민족이 여성을 향해 드러낸 경멸과 유대인들이 여성을 다룬 관습과 법을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동양이라고 심하면 심했지 다르지 않다. 유독 이집트에서만 여성들이 위엄을 간직했는데, 이는 토지가 승려와 전사들에게 속해 있었기 때문이었다! 공유재산제가 우세한 스파르타는 여자가 남자와 동등하게 취급받은 유일한 도시국가였다.

결국 사유재산을 지키고 상속하기 위해 그토록 엄청난 착취가 이뤄졌단 말인가?


ㅎㄷㄷ


로마에서는 여성을 가족으로부터 독립시키면서 동시에 중앙정부가 후견인이 되었다. 이런 게 조삼모사, 눈가리고 아웅, 줬다 뺐기 같은 양아치 짓이라는 것을 로마 부인들이 모르지 않았을 터. 광장에서 시위를 벌인 끝에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여성들이 실질적으로 가장 해방되었을 때, 여성의 열등함이 선포되었으며 ‘여성의 멍청함과 나약함’을 구실로 삼았다.


The Roman woman of the ancient Republic has a place on earth, but she is still chained to it by lack of abstract rights and economic independence; the Roman woman of the decline is typical of false emancipation, possessing, in a world where men are still the only masters, nothing byt empty freedom: she is free “for nothing.”


Christian ideology played no little role in women’s oppression.

적지 않게? 지대하게!


Through Saint Paul the fiercely antifeminist Jewish tradition is affirmed. 

“For the husband is the head of the wife, even as Christ is the head of the church.”

바울이 앞장섰고.


“Adam was led to sin by Eve and not Eve by Adam. It is right and just that the whom she led into sin, she shall receive as master.”

바로 여기서부터 잘못된 역사의 시작. 저 퍼셉션이 서구 역사를 규정해버렸다. 저 가정을 뒤집으면? 저기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In a society where all capacity was rooted in brute force, woman was entirely powerless. Since her incapacity was rooted in her physical frailty, it was not considered an expression of moral inferiority.

게르만족들은 그랬다고 한다.


A woman who has proved herself fertile is worth three tines a free man; but she loses all worth when she can no longer be a mother. She first finds herself denied all private rights because she lacks political capacity. She is part of the real property. The woman also belong to the lord. He is the one who chooses a spouse for her; when she has children, she gives them to him rather than to her husband: they will be vassals who will defend his property.

중세로 내려오면 가임여성만이 대우를 받고, 정치적으로는 불능자, 부동산에 딸린 존재. 다 영주꺼. 여성의 status가 역사상 가장 저점일 때.



As the feudal busband was both a guardian and a tyrant, the wife sought a lover outside of marriage; courtly love was a compensation for the barbarity of official customs.

기사와 공주, 궁정풍의 사랑은 야만성에 대한 보상이었을 뿐.

결혼이 간통으로 보완되듯.


Unmarried or widowed, she has all the rights of men; property grants her sovereignty: she governs the fief that she owns, meaning she dispenses justice, signs treaties, and decrees laws.

영주의 권력이 줄어들고, 봉토의 가치가 세습 재산으로 떨어지고, 여성이 봉토를 소유하게 되면서 변화가 일어남.


Feminine subordination remains useful to society in cases where the woman is married.

누군가의 예속을 담보로.


From feudality to today, the married woman is deliberately sacrificed to private property. It is important to see that the greater the property owned by the husband, the greater this servitude. On the contrary, shared destitution makes the conjugal link reciprocal.

공동의 빈곤이 부부관계를 대등하게 만든 비결이었다니….


In all these countries,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e “honest wife’s” servitude to the family is prostitution.

음, 그럼 결혼은 간통과 매춘으로 보완된다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겠다.


The Revolution might have been expected to change the fate of woman. It did nothing of the kind. This bourgeois revolution respected bourgeois institutions and values; and it was waged almost exclusively by men. It must be pointed out that during the entire ancien régime working-class women as a sex enjoyed the most independence.

혁명보다는 공동의 빈곤이 여성의 평등에 더 기여했구나.


Men’s economic privilege, their social value, the prestige of marriage, the usefulness of masculine support - all these encourage women to ardently want to please men. They are on the whole still in a state of serfdom. It follows that woman knows and chooses herself not as she exists for herself but as man defines her. She thus has to be described first as men dream of her since her being-for-men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of her concrete condition.

남자가 꿈꾸는 여자의 모습이 무엇이었는지.

신화 속으로 고고~~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페미니즘, 여성주의책같이읽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10-17 21:2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원서랑 함께 읽고 계시군요👍👍

나뭇잎처럼 2021-10-18 13:44   좋아요 0 | URL
진도는 더딘데 영어로 읽을 때 뭔가 짜르르 흐르는 전기 같은 게 있어요. 우리말로 풀어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장황해질 수밖에 없는데, 영어의 명사와 동사로 문장 자체가 굉장히 깔끔하게 떨어지거든요. 프랑스어로 쓴 걸 영어로 번역한 거지만 뭔가 사고의 접근 자체가 좀 루트가 다르다는 느낌이 들어서 영어로 읽을 때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때가 많아요. (물론 사전 찾는 수고를 감수해야 하지만요.;;;;)

막시무스 2021-10-18 11:5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결국에는 육체적이든 경제적이든 유무형의 이익이 중요하다는!ㅠ

나뭇잎처럼 2021-10-18 13:49   좋아요 1 | URL
보 여사는 인간을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환원해서 보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했지만 매케닉을 이해하는 데 경제기반을 무시하고서는 절대 설명이 안되는 거겠죠? 지금 이대남이 페미니즘에 대해 느끼는 위협, 공포, 저항, 혐오도 큰 맥락에서는 같은 기제가 작동한다고 보여요. 내 것을 뺏길 수 없다는 생각, 저들이 내 밥그릇을 위협한다는 생각. 인간은 어떤 식으로든 혐오를 풀어낼 만만한 대상을 찾았으니까요. 결국 철저하게 기득권의 체제를 유지하는 데 이용당하기는 하지만.
 

앗. 그러고보니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을 읽지 않았다.

잽싸게 뒤져보니 452페이지. 

헉. 이거 읽고 와야 하나. ㅜㅜ

일단 직진.


하지만 엥겔스조차 보 여사에게 걷어차임.

The whole account pivots around the transition from a communitarian regime to one of private property: there is absolutely no indication of how it was able to occur. 


It is unclear if private property necessarily led to the enslavement of woman. 

사유재산제가 여성의 예속을 가져왔는지도 확실하지 않고,


It posits the interest that attaches man to property without discussing it; but where does this interest, the source of social institutions, have its own source?

인간을 재산에 붙들어매는 interest(이해)를 상정하는 데, 그게 뭔지 밝히지도 않고,


Historical materialism takes for granted facts it should explain.

암튼 설명해야 하는 사실을 걍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게 문제.


인간은 전인격적으로 다뤄져야지 호모 이코노미쿠스란 추상적 개념으로 다뤄질 수 있는 게 아니니까.

It cannot provid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 indicated, because they concern the whole man and not this abstraction, Homo economicus.


To know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historical materialism, which only sees man and woman as economic entities.


The value of muscular strength, the phallus, and the tool can only be defined in a world of values: it is driven by the “fundamental project” of the existent transcending itself toward being.


폭력이 금지된 사회에서 완력은 위력을 발휘할 수 없다. 한 사회가 어떤 것에 가치를 두느냐, 어떻게 두게 되었느냐가 보 여사의 여정이 밝혀낼 핵심이다. 여기서 핵심이 되는 단어는 “fundamental project”. 나는 이걸 “존재를 향해 자신을 초월하려는 실존자에게 “중요한 계획 실행”에 의해 추동된다.”고 바꾸고 싶다. (자꾸 project가 해석할 때마다 걸리는데… 아. 이래서 프랑스어를 배워야 하나….)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성, 페미니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막시무스 2021-10-17 23:0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실존주의적 용어로 정리하면, 결국 가치는 즉자존재가 아니라 대자존재를 지향하는 실존자에게만 의미를 가진다?ㅎ 다시보니 더 햇갈리네요!ㅠ

나뭇잎처럼 2021-10-18 13:41   좋아요 0 | URL
실존자는 도약, 초월, 비약할 때 의미를 갖는 존재라고 보는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같은 의미를 동어반복한 거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해석은 자기 맴이니까..ㅎㅎ)
 

This book’s main purpose is not to add new information or beliefs to your mind or to try to convince you of anything, but to bring about a shift in consciousness; that is to say, to awaken.

요가를 배우는 목적과 똑같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 안에 있는 것들을 발견하기 위해서.


It can only awaken those you are ready.

아무 생각 없이 오더블로 듣다가 죽비로 후두려 맞는 듯한 문장들에 화들짝 놀라 원서로 한 자 한 자 정독해서 읽기 시작했다. 


If the awakening process has begun in you, the reading of this book will accelerate and intensify it.

뭐 눈엔 뭐만 보이는 식인 거지.


An essential part of the awakening is the recognition of the unawakened you, the ego as it thinks, speaks and acts,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the collectively conditioned mental processes that perpetuate the unawakened state. That is why this book shows the main aspects of the ego and how they operate in the individual as well as in the collective. This is important for two related reasons: 


  • The first is that unless you know the basic mechanics behind the workings of the ego, you won’t recognize it, and it will trick you into identifying within it again and again. This means it takes you over an impostor pretending to be you.
  •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act of recognition itself is one of the ways in which awakening happening.


내가 나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에고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에고의 작동원리는 뭘까?

깨달음이란 자유는 언제 어떻게 얻어질 수 있는가?


You cannot fight against the ego and win, just as you cannot fight against darkness. The light of consciousness is all that is necessary. You are that light.


어둠은 싸워서 이기는 게 아니라 빛으로 거둬내는 것이리니….


Fear, greed, and the desire for power are the psychological motivating forces not only behind warfare and violence between nations, trives, religions, and ideologies, but also the cause of incessant conflict in personal relationships. They bring about a distortion in your perception of other people and yourself. Through them, you misinterpret every situation, leading to misguided action designed to rid you of fear and satisfy your need for more, a bottomless hole that can never be filled.


멋진 철학과 경구로 인생을 묘사하는 건 쉽지만 일상의 순간에서 일어나는 두려움과 시기, 공포와 욕망, 탐욕과 무지, 판단과 단정을 마주하고 휘둘리지 않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Trying to become a good or better human being sounds like a commendable and high-minded thing to o, yet it is an endeavor you cannot ultimately succeed in unless there is a shift in CONSCIOUSNESS.


You do not become good by trying to be good, but by finding the goodness that is already within you, and allowing that goodness to emerge.

목적을 버려야 얻을 수 있다.

그런 상태가 되어야 한다.


Their teachings, although both simple and powerful, became distorted and mis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as they were recorded in writing by their disciples. Over the centuries, many things were added that had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al teachings, but were reflections of a fundamental misunderstanding. Some of the the teachers were ridiculed, reviled, or killed; others came to be worshipped as gods. Teachings that pointed the way beyond the dysfunction of the human mind, the way out of the collective insanity, were distorted and became themselves part of the insanity.

오늘날 종교가 사람을 살리지 못하는 망령이 된 이유.


Through them, they could make themselves “right” and others “wrong” and thus define their identity through their enemies, the “others,” the “nonbelievers” or “wrong believers” who not infrequently they saw themselves justified in killing. 

특히 유일신을 믿는 쪽들이 심하다.


They realize that how “spiritual” you are has nothing to do with what you believe but everything to do with your state of consciousness. This, in turn, determines how you act in the world and interact with others.

내 말이!!


WHAT KIND OF WORLD DO I CREATE?


Since human life and human consciousness are intrinsically one with the life of the planet, as the old consciousness dissolves, there are bound to be synchronistic geographic and climatic natural upheavals in many parts of the planet, some of which we are already witnessing now.

인간의 존재가 그 어느 때보다 지구에 위협인 때, 우리는 우리가 가진 의식을 통해 이 세계를 구원할 수 있을까?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문화에서 자란 영적지도자가 인간의 의식과 깨달음, 세계와 올바른 관계 맺기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할지 (약간은 의심어린 눈으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르켈 리더십 - 합의에 이르는 힘
케이티 마튼 지음, 윤철희 옮김 / 모비딕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제2의 성>을 열독하고 있다. 

이걸 왜 지금 읽게 되었나 싶을 정도로 단박에 인생책 1위로 뛰어올랐다.

(미안해, 나의 애장서들아 … 나의 기억은 늘 최신순이라…)

작년 한 해 내 마음속으로 정한 목표가 <A quest for my lost femininity>였다.

오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진정한 자아찾기 와중에 ‘페미니즘’, 

아니 내 안의 ‘여성성’을 직시하기로 마음 먹었던 것이다.

왜 갑자기 페미니즘이냐?

내 안의 여성성을 들여다보기로 했다는 말에 

이대남 조카는 ‘아, 요즘 그런 거 공부하세요?’ 하면서 묘한 비웃음을 흘렸다.

어디서 많이 본 표정이다.

오래도록 내가 피하고자 했던 표정이다.


맞다. 나는 내가 스스로 페미니스트라 말해 본 적이 없다.

페미니스트라고 물어보면 아니, ‘인간의 평등에 관심이 있는 한 사람이지’, 하고 얼버무렸다.


아마 첫 직장에서 만난 풍경이 너무 내게 세게 각인된 탓일 테다.

마초 사장은 이상한 성고정관념을 시도 때도 없이 나불거렸고,

나는 ‘여성’이기 이전에 ‘인간’이라고 항변했지만,

결정적 순간마다 ‘여자라서’ ‘여자니까’ ‘역시 여자란’ 말을 들어야 했다.


그때부터 나는 남자들보다 세 배로 일을 했던 것 같다.

아무도 나서지 않는 험한 일을 자원했고(덕분에 내 무릎은 작살이 났었지),

밤새는 것 따위는 정말 ‘두주불사’의 자세로 임했다.

절대로 ‘여자라서’ ‘여자니까’ 이런 말 따위는 듣고 싶지 않았다.


덕분에 그 마초 사장은 내가 퇴사한 이후에도 몇 년 동안 월요조회 시간마다 내 이름을 들먹였다고 한다.

“00씨는 말이야, 그렇게 일했는데. 너희는 왜 그렇게 못해? 열정을 가져, 열정을!”

옛 직장 동료들은 나의 망령이 아직도 사무실을 떠돌고 있다며 OB모임에서 불평을 쏟아냈다.


진심, 새로 온 남자 상사는 나를 따로 불러 말했다.

“00씨, 그렇게 일하는 거 아니야. 그거 다른 사람들한테 민폐야.”


믿을 건 내 몸뚱아리 하나, 착취할 수 있는 건 내 노동력밖에 없던 내게

유일했던 ‘자기 착취’는 그렇게 시작해 몇몇 회사를 거쳐 그만둘 때까지 고착되었다.


메르켈은 재임 시 “페미니스트냐?”라는 질문에 얼버무린 것으로 유명하다.

나는 그녀의 심정을 누구보다 이해했다.

직장에서 ‘나는 페미니스트요’라고 선언하는 것은 낙인효과를 자처하는 일이었다.


대신 그녀는 누구보다 많은 여성들로 내각을 구성했고,

이른바 Girls Club이라고 불리는 참모진을 이끌었다.

누구보다 학구적이고, 누구보다 전문적인 인력들로 말이다.


그녀는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페미니즘을 실현했다.

그리고 퇴임을 얼마 앞두지 않고 ‘페미니스트’임을 인정했다.


나는 많은 남성들이 일이 아닌 ‘사내정치’로 입신양명을 위해 애쓰는 것을 보면서

‘일의 본질’에 충실했다. 

회의시간에 정성들여 경청하고, 다른 의견들에 대해 열린 자세를 취하고,

주어진 일은 최선을 다해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합심하는 것.

그동안 눈 앞에서 연줄을 동원해 세를 불리던 무리가 한순간에 사라지는 것을 보았고,

일이라는 것 역시 무수한 Stakeholder(이해관계자)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라는 것을 배웠다.


메르켈 리더십이 출간된다는 소식에 서둘러 읽어보았다.


정말 리더십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페미니스트가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녀는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헝가리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자신의 부모가 역시 스파이 혐의로 체포된 저널리스트 부부였던 작가는 이미 전기작가로 유명한 사람이다. 덕분에 지루함 1도 없는 인물 이야기가 속도감 있게 펼쳐진다. 죽은 전 남편이 독일주재대사였고, 본인은 서독 특파원이었던 데다가, 최근 4년간은 메르켈 집무실을 드나들 수 있는 ‘특권’까지 부여받아 메르켈 주변의 인물을 광범위하게 인터뷰한 결과가 진땀나는 메르켈 다큐의 성공 요인인 듯. 


인물 이야기는 이렇게 쓰는 거구나, 하는 배움까지. 


기후회의에서 땡깡 부리던 트럼프가 ‘나한테 얻을 게 하나도 없다는 말은 하지 마쇼’ 하며 툭 던진 막대사탕, 개 무서워하는 거 알면서도 송아지만 한 자기 개를 풀어놓은 푸틴, 말 하나는 정말 청산유수지만 결국 메르켈을 도청하다 딱 걸린 오바마.


메르켈 언니는 참 상대하기 힘든 남자들을 거느리고 무려 16년을 총리직을 수행했다.

신문이나 단편적인 이야기로는 절대 알 수 없었던 메르켈의 내면을 들여다 본 것 같아 너무도 뿌듯한 책.

어려울 때마다 묻고 의지하고 싶은 멘토를 얻은 것처럼 심장이 꽉 찬 기분이 든다.



메르켈, 리더십, 인생책, 페미니즘, 제2의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10-12 16: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앗 저도 이 책 읽어보겠습니다!

나뭇잎처럼 2021-10-12 17:24   좋아요 1 | URL
최근 읽었던 인물 이야기 중에 가장 잼났던 거 같아요. 누구를 다루느냐 못지 않게 누가 쓰느냐가 중요하니까요. 저렇게 쓰려면 색인 프로그램 뭐 썼는지 저자한테 묻고 싶어지더라구요. ㅎㅎ 저런 게 이론서와 또 다른 실제 이야기가 갖는 힘이 아닌가 싶어요. 현실의 파고와 장벽 앞에서 인물은 어떻게 돌파했나? 하는 질문에 직접적인 답을 준달까.. 암튼 다락방님 덕분에 잃어버린 ‘서재‘ 열정을 불지피게 되어서 다시 한 번 감사올립니다. (-.-)(_._) ‘쓰는 게 남는 거다‘란 심정으로! 함 해볼라구요. (또 얼마나 갈진 몰겠지만 ㅋㅋ) 보 언니, 메 언니에 이어 또 어떤 언니를 영접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ㅎㅎㅎ
 

프로이트는 여자가 자신을 페니스가 잘려 나간 남자로 느끼다는 것을 전제로 했다. 

He assumes that a woman feels like a mutilated man; but the notion of mutilation implies comparison and valorization. 

불구가 되었다는 생각은 어떤 것과 비교해서 가치평가되었다는 생각을 의미한다.

즉, 무엇을 정상으로 볼 것인가. 무엇을 원형으로 볼 것인가. 

그 완성체에서 무언가 결핍된 상태. (아 여기서 다시 아리스토텔레스의 망령이….)


프로이드는 실존적 선택에서 충동과 금기를 제거했기 때문에 그것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 그는 그것들을 주어진 것으로 보았다.

Cutting out drives and prohibitions from existential choice, Freud fails to explain their originL he takes them as givens.


“태초에 말씀이 있으시되… 내가 말하노니… 그러므로 선언한다…”

그들의 발화법은 어쩌면 그리도 닮았는지.

자신이 말하면 모두 맞다고 고개를 끄덕여야 하는 걸 당연하게 여기는 것.

나는 그것을 감히 ‘남성성’이라고 말하고 싶다.


40-50대 남자들이 쉽게 빠지는 사(오)춘기의 근저에는 

그렇게 늘 내 말이 법이요 하고 외치면 되던 것들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을 맞닥뜨린 당황스러움에 있다.

지나친 자기 연민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도 바로 이 대목에 기인한다.

추하지 않게 나이들기란 얼마나 많은 공력을 요구하는가.

그것은 그 순간의 공력 못지 않게 그동안 얼마나 군림하고 살아왔는지 그렇지 않았는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Freud is forced to invent strange fictions to reunite them(individual & society). Adler saw clearly that the castration complex could be explained only in a social context; he approached the problem of valorization, but he did not go bak to the ontological source of values recognized by society, and he did not understand that values were involved in sexuality itself, which led him to misunderstand their importance. 

보 여사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하다니! 

이미 섹슈얼리티에 내재화된 가치, 그게 중요한데 프로이트도, (프로이트가 집착했던 리비도에서 나아가) 지성에 큰 지위를 부여한 아들러도, 모두 그 대목을 놓쳤다는 얘기. 


Sexuality must not be taken as an irreducible given; the existent possesses a more primary “quest for being”; sexuality is only one of these aspects.


정신분석학은 여자가 왜 타자인지 설명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Supremacy의 원천을 밝혀내지 못하니까.

In particular, psychoanalysis fails to explain why woman is the Other. Even Freud accepts that the prestige of the penis is explained by the father’s sovereignty, and he admits that he does not know the source of male supremacy.


아들러는 여자아이가 나무에 기어오르는 것은 사내아이와 대등해지기 위해서라는데, 남자는 인간, 여자는 암컷이라고 인식하는 그들의 함정을 왜 스스로 알아채지 못하는 걸까?


For us woman is defined as a human being in search of values within a world of values, a world where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we will study her from an existential point of view, taking into account her total situation.


이 문장에서 진심 떨림. 에피소드 절묘하게 끝내는 절단 신공을 본 것처럼. 이러면 다음 화를 안볼 수 없쟈나. 보 언니 넘 멋지신듯!



시몬 드 보부아르, 보여사, 보언니, 제2의성, 페미니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21-10-11 19: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도 꼼꼼하게 읽으셨네요!ㅎ 정신분석학 부분을 읽으면서 철학에서도 무의식에 관해서 전문가들이 일단 존중하고 들어가니까 그러려니 생각하기도 하지만, 인간이 과연 정말 그럴까?하는 의심은 지울수가 없는것 같습니다.ㅎ 담주에는 공장이 정신없이 돌아갈것 같아서 오늘 극단의 조치로 스터디카페에 가서 하루종일 진도를 제법 달렸네요!ㅎ 오늘 저녁에도 보 누님을 좀 더 영접하겠습니다. 화이팅 하시고 즐건 한주 되십시요!ㅎ

나뭇잎처럼 2021-10-12 13:32   좋아요 1 | URL
아 보 누님이신건가요? ㅎㅎ 시작할 때만해도 보부아르였는데, 보 여사에서 다시 보 언니로... 점점 가깝게 바짝 다가앉게 되는 거 같아요. 무의식, 아주 중요한 대목이죠. 그래서 저도 모르게 <The mind is flat>을 덥석 집어버렸는지도 모르겠어요. 인간의 의식을 밝히려는 시도는 치열하게 진행 중이고, 저는 그 현재를 알고 싶으니까요. 어마무시한 융을 다시 읽는 건 지금 옳지 않다는 잠정적 결론을 내렸구요. (아 뭐 다시 맘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휴일이라 그래도 차분히 집중할 수 있었는데... 한 주 또 결기를 내야 할 것 같습니다. 응원해주셔서 감사해요. 막시무스님도 팟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