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 저작의 배후에는-하이데거에게서와 마찬가지로- 제대로 말해지지 않은 치명적인 공리가 숨어 있다. 고대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거거는 거대 진리들의 사체가 묻힌 광대한 묘지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26

푸코는 이 묘지의 문제를 공격하고 나섰고, 이를 예기치 못한 개인적인 각도에서 연구했다. 그것은 바로 ‘담론‘에 대한 심층적인 발굴이었고, 역사적 구성물들 간의 궁극적 차이에 대한 규명이었으며, 이를 통한 최신 일반론들의 종식이었다. - P26

지나기는 참에 말해 두자면 각 역사적 구성물, 각 학문 분야, 각 실천의 궁극적 차이인 이러한 담론들은 한 시대 전체에 공통된 사유 스타일이나 시대정신(Zeitgeist)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총체화하는 역사"와 "한 세기의 정신"을 조롱했던 푸코는 슈펭글러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 P33

이는 이해관계가 "어떻나 보편적 형식도 결여"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니까 계급 이해관계라는 개념은 가능하지만, "이 보편적 형식의 작동은 그 자체로 역사적이다[...] 바로 거기에 특이성의 원리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는 역사를 단절들의 연속으로 만든다. - P34

철학자 푸코는 역사학자들의 방법을 실천하도록 인도할 뿐이다. 이는 각각의 역사적 질문을 그 자체로 논의하는 것이지, 일반적인 문제나 철학적 질문의 한 가지 사례로 그것에 접근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그리하여 푸코의 저작은 역사학자들의 방법보다는 철학 그 자체를 겨냥한 비판이 된다. 그에 따르면 역사의 질문 속에는 철학의 중대한 문제가 용해되어 있는데, "모든 개념은 생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 P35

사실 푸코는 자신이 생각한 것만큼 주변화되어 있지 않았다. 그의 역사 쓰기 방식은 심성사(histoire des mentalites)라는 분야를 표방하던 사람들의 호감을 샀다. 그는 아날 학파보다는 필리프 아리에스 쪽에 더 가까웠다. 미셸 페로, 아를레트 파르주, 조르주 뒤비는 푸코의 책들을 높이 평가했다. 그럼에도 역사학자들의 동업 조합에 대한 푸코의 원한은 온전히 남아있을 것이었다. - P40

푸코식 역사의 그림 안에는 무언의 형이상학적 감수성이 있다. 아무 때 아무것이나 생각할 수 없기에, 우리는 어떤 시기의 담론의 경계 안에서만 생각한다. 우리가 안다고 믿는 모든 것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제한된다. 우리는 그 한계를 보지 않으며, 그런 것이 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한다. - P44

이 어항 또는 담론을 한마디로 "우리가 역사적 아프리오리(a priori historique)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확실히 이 아프리오리는 인간 사유를 압도하며 지배하는 부동의 층위가 아니다. 그것은 변화하는 것이며, 우리가 결국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무의식적이다. 동시대인은 언제나 자기들의 고유한 한계가 어디인지 모른다. 우리는 우리 한계를 파악할 수 없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학으로의 초대 - 인간주의적 시각 문예 인문클래식
피터 L. 버거 지음, 김광기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연구용으로 쓰인 게 아니라, 그저 읽히기 위해 쓰였다. 이 책은 교과서도 아니고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도 아니다. 내가 진정 흥미를 느끼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어떤 지적 세계로의 초대이다.

이것은 이런저런 이유로 사회학에 대해 궁금해하거나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내 생각엔, 그런 사람들 가운데는 소위 "교육받은 공중"이라 불리는 다소 신화적인 실체의 좀 더 사려 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심각하게 사회학을 배워볼까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보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나는 오늘날 취할 수 있는 학문적 오락 중에서 사회학이 가장 고상한 "귀족적 게임"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솔직히 인정해야겠다.

이어지는 장들 가운데 하나에서 나는 모든 세계관은 음모의 결과라는 입장을 취했다. 이것은 학문관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 P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7-20 2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가 아는 바로는, 비인간도 그들 자신의 존재론이 있다는 급진적인 주장을 한 연구는 퍼스의 기호학을 사용해 연구한 에두아르도 콘의 <How forests think(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국역본으로 에두아르도 콘, <숲은 생각한다-숲의 눈으로 인간을 보다>, 차은정 옮김[사월의책, 2018])밖에 없다.
-애나 로웬하웁트 칭 <세계 끝의 버섯-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삶의 가능성에 대하여>(노고운 옮김, 현실문화), 54쪽 주석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극의 탐험 - 남극 횡단의 역사가 된 남자
데이비드 그랜 지음, 박설영 옮김 / 프시케의숲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극 단독 횡단에 도전했다가 숨진* 영국 탐험가 헨리 워슬리(1960~2016)에 관한 짧은 전기


*부고 기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12616181462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스테르담
이안 맥완 지음, 서창렬 옮김 / 현대문학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일 때문에 오랜만에 다시 읽었는데 역시나. 독자가 비평가연할 생각을 조금도 하지 못하고 이야기에 몰입하도록 하는 압도적 재능. 파리리뷰의 작가 인터뷰 한 대목을 옮긴다. 아마도 1998년 이 작품을 출간한 지 얼마되지 않아 진행된 듯.(출처: <작가란 무엇인가> 1권)

-<암스테르담>을 쓰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
=이것은 저의 오랜 친구이며 하이킹 동료인 레이 돌란과 오랜 시간 나누었던 농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는 가벼운 마음으로 우리가 서로 동의할 만한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중의 하나가 알츠하이머 같은 병을 앓게 된다면, 병에 걸린 친구가 치욕적인 소모성 질환에 굴복하게 놓아두느니 차라리 암스테르담에 데리고 가서 법적으로 죽을 수 있게 하자는 것이었지요. 그래서 우리들 중의 하나가 매우 중요한 하이킹 장비를 잊거나 엉뚱한 날 비행장에 나타날 때마다-이런 일들은 사십 대 중반부터 일어난다는 것을 아시겠지만-다른 친구가 ˝자, 자네는 곧 암스테르담에 가야겠군˝이라고 말하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