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장 좋아하는 하늘은 어린 왕자의 하늘이다.
단 한 번도 보지 못한 사막의 밤하늘이지만 난 분명 그 하늘을 제일 좋아할 거다.
옆지기와 언젠가는 사하라 사막에 가자고, 그게 안 되면 고비 사막에라도 꼭 가자고 약속했다.
그 다음으로 좋아하는 하늘은 청회색의 파리의 하늘이다. 중학교 때 본 만화일 터인데, 지금은 내용은 하나도 기억이 안 난다. 그러나 이 만화의 표지와 제목을 좋아해서 소장했더랬고, 고등학교 때 책장 정리를 하면서 만화가 지망생인 친구에게 준 만화책 목록에 이 책도 포함되어 있었다. (화나는 건 그 친구 어머니가 공부는 안 하고 만화만 그린다고 내가 준 만화책들을 몽땅 버렸단다. 족히 100권도 넘었는데, 버릴 거면 나에게 돌려주지 그랬냐고 그 친구에게 화를 냈었다. 그러고보니 걘 지금 뭐하나... 결국 만화가 데뷔는 못 하고 팬시 디자이너로 취직한 뒤 몹시 힘들어 했는데, 살다 보니 소식이 끊겼다.)
각설하고 내게 청회색은 어떤 색인가 잘 표현할 자신이 없어 작가님 블로그까지 찾아가 책 표지를 다운 받는데 성공했는데, 사실 딱 이 색의 하늘은 아니다. 내가 '청회색'이라고 표현하는 색은 해가 지고 노을은 사라졌으나 아직 어두워지기 전, 그 검고 푸른 하늘색이다. 참 묘한 기억의 왜곡이다. 어쨌든 난 지금도 '청회색'을 가장 좋아한다고 말한다.
우열을 가릴 수 없는 건 히드클리프의 하늘과 마그리뜨의 하늘이다. 회색구름이 낮게 깔리고(먹구름은 아니다), 바람이 휘몰아치는 날이면 난 언덕 너머로 달아나야 할 것 같은 강박에 시달리며 살짝 미친다. 사실 오늘 아침 출근하면서, 여기서 바람만 좀 더 불면 난 미칠 수 있어 라며 좋아했는데, 비가 와서 김이 좀 새긴 했다.
마그리뜨의 하늘도 내 기억의 왜곡을 증명하는데, 마그리뜨는 사실 양떼구름이나 뭉게구름을 많이 그렸음에도 불구하고, 난 새털 구름이 걸린 파란 하늘을 볼 때면 늘 마그리뜨를 떠올린다. 검은 우산만 있다면 둥실 떠오를 수 있을 거 같고, 내 눈동자는 하늘색이라 믿게 되버린다. 이런 날은 검은 현실을 버리고 땡땡이를 쳐야 하는데, 실제로 성공해본 건 대학교 때 밖에 없다. ㅠㅠ
그 다음으로 좋아하는 가을은 이영춘님의 하늘이다. 내 기억 속의 시는 맑고 밝은 느낌이었는데, "쨍그렁 깨질 듯한"이라는 시귀만 기억에 남아 그랬나 보다. 이 시가 이렇게 애잔했나 사뭇 놀라는 중이다. 어쨌든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가을 하늘을 볼 때마다 "쨍그렁"을 생각하게 되고, 쨍한 가을이라고 내 마음대로 부르곤 했다.
슬픈 가을 / 이영춘
쨍그렁 깨질 듯한 이 가을 하늘
눈물겹다
무거움의 존재로 땅 끝에 발붙인 짐승
부끄럽다
멀리 구름은 유유히 흘러가고
가을 잠자리들 원 그리며 무리 짓는다
유리구슬처럼 반짝이는 이 가을 햇살 아래
아, 아프구나! 가볍지 못한 존재의 무게가
바스락대는 잎새의 온갖 새들
깃 털고 일어서는 이 가을날
밤새 무명의 화가로 벽화 그리던 거미들도
하루살이도, 쓰르라미도, 풀벌레도, 오소리도
제 모게 이기지 못하여 모두 털고 일어서는 이 가을날에
나는
무엇이 이토록 무겁게 허리를 잡아당기고 있는가
<뱀꼬리> 하늘바람님과 북플로 수다떨다 두서없이 적다.